||<-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Warriors_F.C._Logo.png|width=200]] || ||<-2> '''{{{#ffffff 워리어스 FC}}}''' || ||<-2> '''{{{#ffffff Warriors FC}}}''' || || '''정식 명칭''' || Warriors Football Club || || '''창단''' || [[1975년]] || || '''해단''' || [[2020년]] || || '''소속 리그''' || [[싱가포르 프리미어 리그]] || || '''연고지''' || 주롱 이스트 (Jurong East) || || '''홈 구장''' || 주롱 이스트 스타디움(Jurong East Stadium) [br] 2,700명 수용 || || '''구단주''' || 필립 람 틴 싱 || || '''감독''' || 라지프 온 || || '''애칭''' || The Warriors || || '''공식 홈페이지''' || [[http://www.warriorsfc.org.sg]] || [목차] == 개요 == '''Warriors FC''' [[싱가포르]]의 프로[[축구]] 클럽. [[싱가포르 프리미어 리그]] 소속이며 주롱 이스트 스타디움을 홈 경기장으로 쓰고 있다. 2013년 1월 20일까지는 싱가포르 암드 포스 축구 클럽(Singapore Armed Forces Football Club, SAFFC)으로 불렸다. 이후 현재의 이름인 워리어스 FC로 개칭하였다. 이름 때문에 싱가포르의 [[김천 상무]] 같은 팀이 아니냐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엄밀히 말하면 다른 경우이다. 원래 태생이 싱가포르 군인 축구단이었던 것은 맞지만, 1975년부터 1995년까지 김천 상무 처럼 싱가포르 리그에 참가했다가 1996년 S리그 출범 후 스폰서를 군대로 해 놓고 정식 프로 클럽으로 재창단되었다. 그래서 현재는 프로 선수라면 누구든지 이 클럽에서 뛸 수 있다. 싱가포르 역사상 최고의 팀으로 9번의 우승과 4번의 준우승 등 싱가포르 축구를 대표하는 클럽으로 자리메김하고 있다. 올해의 선수상은 4번을, 리그 득점왕은 9번을 배출할 정도로 명망있는 팀. [[AFC 챔피언스 리그]]에는 두 시즌 연속으로(2009년 시즌과 2010년 시즌) 싱가포르 리그 대표 클럽 자격으로 참가한 바 있다.[* 당시 국내 언론에서는 구단명을 싱가포르 국군이라고 소개했다.] 그러나 두 시즌 모두 조별 예선에서 [[광탈]]했다. 2009년 1무 5패로 조 4위, 2010년엔 1승 1무 4패로 조 3위를 기록했다. 재미있는 것은, 그 두 시즌 모두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 같은 조였고, 그때 수원과 맞붙었던 4경기 모두 패배했다.[* 2009년 홈 0:2 패, 원정 1:3 패, 2010년 홈 0:2 패, 원정 2:6 패.] == 우승 기록 == 워리어스는 싱가포르 내에서 가장 많은 우승컵을 거머쥐었다. [[싱가포르 프리미어 리그]]와 [[싱가포르 컵]], [[싱가포르 FA컵]] 등에서 총 23회의 우승과 8회의 준우승을 기록하였다. 특히 2008년에는 리그와 싱가포르 컵, FA컵을 우승하며 트래블을 기록하기도 하였다. || {{{#ffffff '''대회''' }}} || {{{#ffffff '''우승횟수''' }}} || {{{#ffffff '''우승년도''' }}} || || [[싱가포르 프리미어 리그]] || '''9회''' || '''1997, 1998, 2000, 2002, 2006,[br]2007, 2008, 2009, 2014''' || || [[싱가포르 컵]] || '''4회''' || '''1999, 2007, 2008, 2012''' || || [[싱가포르 FA컵]] || '''4회''' || '''1997, 2006, 2008, 2017''' || || [[프레지던트 컵]] || '''3회''' || '''1975, 1984, 1986''' || || [[싱가포르 커뮤니티 실드]] || '''3회''' || '''2008, 2010, 2015''' || == 개인 수상 == ||<-4> {{{#ffffff '''올해의 선수상'''}}} || || {{{#ffffff '''성명''' }}} || {{{#ffffff '''국적''' }}} || {{{#ffffff '''수상년도''' }}} || {{{#ffffff '''비고''' }}} || || [[이비차 라구즈 (Ivica Raguž)]] || [[크로아티아]] || 1996 || - || || [[미르코 그라보바치 (Mirko Grabovac)]] || [[크로아티아]] || 2000 || 득점왕 동시 수상 || || [[테르삭 차이만 (Therdsak Chaiman)]] || [[태국]] || 2002 || - || || [[알렉산다르 쥬리치 (Aleksandar Đurić)]] || [[싱가포르]] || 2007 || 득점왕 동시 수상 || || [[알렉산다르 쥬리치 (Aleksandar Đurić)]] || [[싱가포르]] || 2008 || 득점왕 동시 수상, 2년 연속 수상 || || [[미슬라프 카롤란 (Mislav Karoglan)]] || [[보스니아]] || 2011 || 득점왕 동시 수상 || || [[하산 써니 (Hassan Sunny)]] || [[싱가포르]] || 2014 || 골키퍼 최초 수상 || ||<-5> {{{#ffffff '''득점왕'''}}} || || {{{#ffffff '''성명''' }}} || {{{#ffffff '''국적''' }}} || {{{#ffffff '''수상년도''' }}} || {{{#ffffff '''득점 수''' }}} || {{{#ffffff '''비고''' }}} || || [[주레 에레스 (Jure Ereš)]] || [[크로아티아]] || 1996 || 28 || || || [[미르코 그라보바치 (Mirko Grabovac)]] || [[크로아티아]] || 1999 || 23 || || || [[미르코 그라보바치 (Mirko Grabovac)]] || [[크로아티아]] || 2000 || 19 || 올해의 선수상 동시 수상 || || [[미르코 그라보바치 (Mirko Grabovac)]] || [[크로아티아]] || 2001 || 39 || 리그 최다 득점 1위 || || [[미르코 그라보바치 (Mirko Grabovac)]] || [[싱가포르]] || 2002 || 34 || 리그 최다 득점 3위 || || [[알렉산다르 쥬리치 (Aleksandar Đurić)]] || [[싱가포르]] || 2007 || 37 || 리그 최다 득점 2위 || || [[알렉산다르 쥬리치 (Aleksandar Đurić)]] || [[싱가포르]] || 2008 || 28 || || || [[알렉산다르 쥬리치 (Aleksandar Đurić)]] || [[싱가포르]] || 2009 || 28 || || || [[미슬라프 카롤란 (Mislav Karoglan)]] || [[보스니아]] || 2011 || 33 || || 미르코 그라보바치는 2002년을 기점으로 싱가포르로 귀화, 국가대표 12경기를 뛴 후 2008년 국적을 포기하였다. == AFC 챔피언스 리그 성적 == * 2009 시즌: 예비 플레이오프를 통과하였으나 조별 예선에서 탈락. || 경기 일시 || 경기 장소 || 라운드 || 상대 클럽 || 점수 || 승패 || || 2.18(수) 20:00 || 태국 방콕 || 동아시아 예비 준PO || (THA) PEA F.C. || 4-1(1-1, 1-1) || {{{#blue,#0000ff '''승'''}}}[br]{{{#blue,#0000ff (연장)}}} || || 2.25(수) 20:30 || 싱가포르 || 동아시아 예비 PO || (IDN) PSMS 메단 || 2-1(1-1, 1-0) || {{{#blue,#0000ff '''승'''}}}[br]{{{#blue,#0000ff (연장)}}} || ||<-6> 동아시아 예비 라운드 우승으로 조별 예선 진출 || || 3.11(수) 21:00 || 중국 상하이 || 동아시아 G조 || (CHN) 상하이 선화 || 1-4(0-1) || {{{#red,#ff0000 '''패'''}}} || || 3.18(수) 20:30 || 싱가포르 || 동아시아 G조 || (KOR) 수원 블루윙즈 || 0-2(0-0) || {{{#red,#ff0000 '''패'''}}} || || 4.7(화) 20:30 || 싱가포르 || 동아시아 G조 || (JPN) 가시마 앤틀러스 || 1-4(1-2) || {{{#red,#ff0000 '''패'''}}} || || 4.22(수) 19:00 || 일본 가시마 || 동아시아 G조 || (JPN) 가시마 앤틀러스 || 0-5(0-2) || {{{#red,#ff0000 '''패'''}}} || || 5.5(수) 20:30 || 싱가포르 || 동아시아 G조 || (CHN) 상하이 선화 || 1-1(1-0) || {{{#orange '''무'''}}} || || 5.19(수) 19:30 || 한국 수원 || 동아시아 G조 || (KOR) 수원 블루윙즈 || 1-3(1-2) || {{{#red,#ff0000 '''패'''}}} || ||<-6> 6전 1무 5패(4득 19실), 동아시아 G조 4위로 16강 진출 실패 || * 2010 시즌: 예비 플레이오프를 통과하였으나 조별 예선에서 탈락. || 경기 일시 || 경기 장소 || 라운드 || 상대 클럽 || 점수 || 승패 || || 1.30(토) 20:30 || 싱가포르 || 동아시아 예비 준PO || (IDN) 스리위자야 || 3-0(1-0) || {{{#blue,#0000ff '''승'''}}} || || 2.6(토) 20:30 || 싱가포르 || 동아시아 예비 PO || (THA) 무앙통 Utd. || 0-0 || {{{#orange '''무'''}}}[br]{{{#blue,#0000ff (PK 4-3 승)}}} || ||<-6> 동아시아 예비 라운드 우승으로 조별 예선 진출 || || 2.24(수) 21:00 || 중국 정저우 || 동아시아 G조 || (CHN) 허난 젠예 || 0-0 || {{{#orange '''무'''}}} || || 3.10(수) 20:30 || 싱가포르 || 동아시아 G조 || (KOR) 수원 삼성 블루윙즈 || 0-2(0-1) || {{{#red,#ff0000 '''패'''}}} || || 3.23(화) 20:30 || 싱가포르 || 동아시아 G조 || (JPN) 감바 오사카 || 2-4(1-1) || {{{#red,#ff0000 '''패'''}}} || || 3.31(수) 19:00 || 일본 스이타 || 동아시아 G조 || (JPN) 감바 오사카 || 0-3(0-1) || {{{#red,#ff0000 '''패'''}}} || || 4.13(화) 20:30 || 싱가포르 || 동아시아 G조 || (CHN) 허난 젠예 || 2-1(0-0) || {{{#blue,#0000ff '''승'''}}} || || 4.27(수) 19:30 || 한국 수원 || 동아시아 G조 || (KOR)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6(1-4) || {{{#red,#ff0000 '''패'''}}} || ||<-6> 6전 1승 1무 4패(6득 16실), 동아시아 G조 3위로 16강 진출 실패 || * 2015 시즌 : 플레이오프에 나섰으나 2차 예선에서 떨어졌다. [[분류:워리어스 F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