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레젠다리움/등장인물|{{{#ff0000 레젠다리움의 등장인물}}}]][br]{{{+1 웅골리안트}}}[br]{{{#!htmlUngolian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웅골리안트.jpg|width=100%]]}}} || ||<-2> 웅골리안트와 협상하는 [[멜코르|{{{#FF0000 멜코르}}}]]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static3.wikia.nocookie.net/Melkor-and-Ungoliant.jpg|width=100%]]}}} || ||<-2> [[발리노르의 두 나무|{{{#FF0000 발리노르의 두 나무}}}]]의 수액을 빨아먹는 웅골리안트 || || '''본명''' ||'''Ungwë liantë / Ungoliant'''[br]웅궤 리안테 / 웅골리안트[br]Delduthling[br]델두슬링 || || '''이명''' ||Gloomweaver[br]우울함을 짜내는 자 || || '''종족''' ||[[거미(가운데땅)|거미]]의 형상을 취한 영 || || '''성별''' ||여성 || || '''출생''' ||[[아이눌린달레]] 이전 || || '''거주지''' ||[[공허(가운데땅)|공허]] → [[에아(가운데땅)|에아]] → [[아만(가운데땅)|아만]]{{{-2 (아바사르)}}} → [[벨레리안드]]{{{-2 ([[공포산맥|난 둥고르세브]])}}} || || '''가족관계''' ||[[쉴로브]] {{{-2 (후손)}}} || [목차] [clearfix] == 개요 == [[아르다]]에 살았던 가장 극악한 존재들 중에 무지막지하게 [[거미(가운데땅)|거대한 거미]]들이 있었고, 그 거미의 형체를 취한 존재들 가운데 가장 위대한 것이 바로 웅골리안트였다. 사악하고 음험했으며 독으로 가득찬 존재였다고 한다. == 이름 == * '''웅궤 리안테(Ungwë liantë)'''[*Q [[퀘냐]]]/'''웅골리안트(Ungoliant)'''[*S [[신다린]]] - '검은 거미(Dark Spider)'라는 뜻이다. * '''웅궤 리안테(Ungwë liantë)''' - '''ungwë'''[* Spider(거미), 원시 요정어 어근인 '''UÑG'''에서 파생했다.] + '''liantë'''[* 뜻이 불명이다. 아마 shadow(그림자)일 것으로 추정된다.] * '''웅골리안트(Ungoliant)''' - '''ungol'''[* Spider(거미), 원시 요정어 어근인 '''UÑG'''에서 파생했다.] + '''liant'''[* 역시 뜻이 불명이다.] * '''위릴로메(Wirilomë)'''[*Q]/'''그월룸(Gwerlum)'''[*G 놈어] - '우울함을 짜내는 자(Gloomweaver)'를 의미한다. 초창기 원시 요정어 어근 '''GWERE'''에서 파생했다.[* 이 두 이름은 1910~1930년대에 만들어진 초창기 설정으로 후대까지 유지되었는지는 불명이다.] == 행적 == 정체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발리노르의 두 나무]]가 만들어지기 전, [[아르다]] 밖의 [[공허(가운데땅)|어둠]]에서 왔다고 한다. 멜코르가 [[발록|발로그]]와 함께 부하로 삼았던 위력 있고 사악한 영이며, 빛을 증오했다. 그녀의 모습은 그 모습을 목격하는 것만으로도 공포스럽고 혐오스러웠다 웅골리안트는 어느 시점부터 멜코르의 지배에서 벗어났는데, [[오로메]]와 부하들에게 쫓겨나 [[펠로리 산맥]]과 남쪽의 망망한 추운 바다 사이 버려진 땅 '아바사르'에서 오랜 세월을 홀로 살았다. 그녀는 항상 허기가 져 있었고 그 공복을 채우기 위해 모든 것을 먹어 치웠다. 아바사르에서 검은 거미줄을 치며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해 가던 도중, [[페아노르]]를 속이려다 실패한 [[모르고스]]가 웅골리안트를 찾아왔다. 모르고스는 그녀의 허기가 서서히 한계에 이르고 있었으며, 허기를 채우기 위해 그녀가 무슨 짓이든 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한 가지 제안을 한다. 바로 자신의 계획을 성공시켜 주기만 한다면 웅골리안트가 요구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두 손 가득 담아서 주겠다'는 것. 굶주림에 시달리던 웅골리안트는 모르고스의 제안을 흔쾌히 수락하였다. 웅골리안트와 모르고스는 웅골리안트의 장막으로 몸을 가리고 [[발리노르]]에 잠입하여 에젤로하르에 당도했다. 모르고스는 [[발리노르의 두 나무]] [[텔페리온]]과 [[라우렐린]]에 창으로 깊은 상처를 냈고, 웅골리안트는 나무의 수액을 빨아먹어 시들어 죽게 했다. 하지만 여전히 배고픈 웅골리안트는 바르다의 우물물[* 나무들에게서 떨어진, 빛이 담긴 이슬들을 담기 위해 [[바르다(가운데땅)|바르다]]가 나무 주위에 만들어놓은 호수이다.]을 모두 들이마시고 검은 증기를 뿜으며 거대하고 무시무시한 형체로 부풀어 올랐다.[* 이 때의 웅골리안트의 모습에 멜코르마저 두려워 떨었다고 한다.] 이후 [[모르고스]]는 [[핀웨]]를 살해하고 [[실마릴]]과 여러 보물을 훔친다. 그리고 둘은 같이 도망쳤으나 나무 두 그루와 우물물 정도로 그녀의 배는 차지 않았고, 게다가 웅골리안트와의 약속을 지킬 생각이 없던 모르고스는 자신의 옛 부하들이 남아 있을 [[앙반드]]로 방향을 잡았다. 웅골리안트는 모르고스의 속셈을 간파하고 모르고스를 세우며 약속을 지키라고 요구했다. 모르고스는 웅골리안트에게 줄 것이 없다고 우겼지만, 웅골리안트는 발리노르에서 훔쳐온 보물을 요구했다. 모르고스는 [[울며 겨자 먹기]]로 실마릴을 제외한 보물을 주었고 웅골리안트는 더욱 강해졌으나, 배가 차지 않는다며 [[실마릴]]까지 요구했다. 모르고스는 실마릴만은 절대로 줄 수 없다며 거절했고, 웅골리안트는 [[거미줄]]로 모르고스를 속박하고 목을 조르기 시작했다.[* 이 때 모르고스가 비명을 지른 지역은 람모스, 즉 "메아리의 땅"이라고 불렸는데, 누구라도 람모스 내에서 소리를 지르면 즉시 모르고스의 비명이 되살아나 쩌렁쩌렁 울렸다고 한다.] [[파일:웅골리안트2.jpg|width=100%]] 당시의 모르고스는 실마릴에 걸린 바르다의 축성 때문에 손이 불타고 있어 힘을 제대로 내지 못했고, 웅골리안트는 두 나무의 수액은 물론이고 바르다의 우물과 발리노르의 보물까지 먹어치운 후라 엄청난 힘을 자랑했다. 허나 모르고스의 비명을 들은 [[발록]]들이 화염 채찍을 들고 나타나 웅골리안트의 거미줄을 찢어 버렸고, 웅골리안트는 도망쳐서 벨레리안드로 내려가 [[에레드 고르고로스]] 아래의 골짜기에서 살게 되었다. 그녀가 살았던 골짜기는 이후 끔찍한 죽음의 골짜기라는 뜻의 난 둥고르세브라고 불렸으며 골짜기 주변의 물이 독으로 가득차 마실 수 없게 되었다고 한다. 그곳에서 웅골리안트는 끔찍한 형상의 다른 거대 거미들과 교미를 했고,[* 이를 볼 때 비슷한 종족, 혹은 동족들이 있기는 했던 모양이다.] 자식을 낳은 후에 교미 상대를 먹어치우고 자식들과 교미하는 행위를 반복했다. 후에는 다른 곳으로 떠났는데, 극도의 굶주림 끝에 자기 자신의 몸을 먹어치우는 것으로 생을 마감했다고 한다.[* 자신의 몸을 먹어치우며 파멸을 맞는 이야기는 [[데메테르#s-2.3|그리스 로마 신화의 에리시크톤 왕 이야기]]에도 나온다. 물론 끝없는 식욕으로 자신의 몸까지 먹어치운다는 이야기와 신성한 나무를 훼손했다는 점에서 유사함을 보이지만 에리시크톤은 신이 직접 개입해서 징벌을 내려서 끝없는 공복을 느끼는 경우이고 웅골리안트는 딱히 누가 특별한 간섭을 해서가 아니라 원래부터 그랬다는 이야기로 전개된다.] [[키리스 웅골]] 근처에 거주하는 [[쉴로브]]는 웅골리안트의 마지막 후손이다. == 기타 == [[아르다]] 밖의 어둠에서 왔다는 서술이 있다. 웅골리안트 말고도 [[물 속의 감시자]]라는 이름의 문어형 생물도 있는데 [[크하잣둠|모리아]]의 서쪽 문 근처에 위치한 호수에 잠들어있다가 [[보로미르]]에게 자극받아 프로도를 공격했다.[* 영화에서는 [[툭 집안 페레그린|피핀]]과 [[강노루 집안 메리아독|메리아독]]이 자극한 걸로 변경됐다.] 이 녀석도 웅골리안트처럼 아르다 밖에서 와서 [[사우론]]도 그 존재를 모른다고 한다. 위의 행적으로 보듯 멜코르를 속박시키는 등 사실상 적대 관계인데 멜코르랑 유일하게 동등한 관계에다 잠깐이나마 협력한 여성 캐릭터라는 점에서 멜코르의 아내 겸 여신이라는 농담 겸 멸칭이 쓰이고 있다. [[분류:레젠다리움/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