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울트라사우루스--}}}[br]--Ultrasaurus--}}}''' || ||<-2> || ||<#F93> '''학명''' || --''' ''Ultrasaurus tabriensis'' '''--[br][[김항묵|Kim]], 1983 || ||<-2><#F96> '''분류''' || ||<#FC6>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FC6>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FC6>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FC6>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용반목]]^^Saurischia^^|| ||<#FC6> '''아목''' ||†용각아목^^Sauropodomorpha^^ || ||<#FC6> '''하목''' ||†용각하목^^Sauropoda^^ || ||<#FC6> [[생물 분류 단계#계통군|{{{#000 '''계통군'''}}}]] ||†신용각류^^Neosauropoda^^|| ||<#FC6>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울트라사우루스속^^''Ultrasaurus''^^'''--||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 * †--울트라사우루스 타브리엔시스 (''U. tabriensis'')^^{{{-1 [[모식종]]}}}^^--|| [목차] [clearfix] == 개요 == [[백악기]] 전기 [[대한민국]]에 서식한 것으로 추정되는 [[용각류]] [[공룡]]. 속명의 뜻은 '극단적인 도마뱀'인데, 이 화석이 매우 거대한 공룡의 것이라고 추정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 연구사 == [[경상북도]] [[의성군]] 탑리에서 1973년 발견된 단편적인 앞다리뼈 일부에 [[김항묵]] 교수가 1983년에 지금과 같은 학명을 붙였다. 당시에는 이 뼈를 척골이라 판단했는데, 그 크기가 40cm에 육박할 만큼 상당히 크다는 점에 주목해 이 공룡이 이제까지 발견된 공룡 중 가장 거대하다고 생각하고 이러한 학명을 부여했던 것. 하지만 이 뼈는 척골이 아니라 상완골이었음이 밝혀졌고, 설상가상으로 새로운 종으로 동정할 만한 추가적인 정보가 부족하다고 판단되어 결국 의문명 신세가 되었다. 해당 표본은 원래 [[경북대학교]]에 보관되어 있었으나, 이후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천연기념물센터로 옮겨졌다고 한다. 사실 이 학명에는 다른 이야기가 하나 더 있다. 김항묵 교수의 울트라사우루스 명명 이후 미국의 제임스 앨빈 젠센(James Alvin Jensen)이 미국에서 발견된 새로운 용각류를 울트라사우루스 매킨토시(''Ultrasaurus macintoshi'')라고 명명하려 했는데 알고보니 속명이 이미 선점된 상태였다. 결국 젠센은 이 공룡의 속명을 울트라사우로스(''Ultrasaur'''o'''s'')로 재명명했지만 이마저도 해당 표본 자체가 [[브라키오사우루스]]와 [[수페르사우루스]]의 유해가 뒤섞인 것임이 밝혀져 결국 유효하지 않은 학명이 되었다. 이는 국내에 전해진 울트라사우루스 관련 정보 중 가장 유명한 편이다. == 대중문화 == 위의 국내 울트라사우루스 이야기는 학습만화 [[Why?]] 공룡 편에서 의문명된 예시로 [[브론토사우루스]]와 함께 언급된다. 당시에는 브론토사우루스가 [[아파토사우루스]]의 일종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별개의 속으로 분류된 상태다. 도미타 교우이치의 만화 공룡은 왜 사라졌을까 만화에선 작가가 이 두 이야기를 자세히 알지 못했는지 울트라사우루스를 미국에 사는 공룡으로 소개한다. 얼굴에 흉터가 난[* 어릴 때 둥지에서 코일루루스 무리에 습격을 당해 도망가려다가 대장놈에 의해 흉터가 그어졌기 때문. 다행히 새끼 시절에도 한 덩치 해서 그럭저럭 버티다가 타이밍 좋게 아버지가 나타나 쫒아내버렸다.] 울트라사우루스 수컷이 주인공인데 여러 위기를 헤쳐나가며 강자로 성장, 대형 [[알로사우루스]]에게 잠깐 밀리다가도 물가로 가 일격에 골로 보내버리는 등 거의 [[세계관 최강자]]스럽게 묘사되지만 정작 마지막은 조각류 공룡들과의 생존경쟁에 밀려 굶주림에 시달리는 결말을 맞는다. [[분류:신용각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