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울산광역시의 시내일반버스)] || [[파일:울산_472번.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000000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472번}}} || ||<-2> 기점 || 울산광역시 북구 창평동(농소공영차고지) ||<-2> 종점 ||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대복리(한솔그린빌) || ||<|2> 종점행 || 첫차 || 05:27 ||<|2> 기점행 || 첫차 || 05:50 || || 막차 || 22:25 || 막차 || 22:30 || ||<-2> 배차간격 ||<-4> 80~85분 || ||<-2> 운수사명 || [[유진버스]] ||<-2> 인가대수 || 4대 || ||<-2> 노선 ||<-4> 농소공영차고지 - 울산공항 - 북구청남문 - 원연암마을 - 대신강업 - 세종공업 - 효문사거리 - 울산종합운동장 - 학성초등학교 - 학성공원 - 신중앙시장 - KBS방송국 - 하나이비인후과병원(달동현대아파트) - 공업탑 - 옥동초등학교 - 법원 - 신복로터리 - [[울산대학교]] - 문수초등학교 - 쌍용하나빌리지(입구) - 대복입구 - 한솔그린빌 || == 개요 == 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http://naver.me/FBRJnlD6|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구 81번(무거-연암동(옥천암), 공동운수협의회 회원사)과 구 301번(구치소-연암동(옥천암), 대우여객)의 전신으로 301번이 먼저 생겼으며 이후 81번이 생겼다. 이 때는 연암동(옥천암)이 종점이었으며 시청과 옥교동(성남동)을 경유했다. * 2003년 8월에 두 노선이 통합되었으며 번호가 472번으로 바뀌었다. * 2004년에 경진여객이 폐업하고 유진버스가 설립되면서 유진버스와 대우여객이 운행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 이후 연암, 효문공단 순으로 연장되었다. * 종점이 효문공단이라 추후 개편 시 효문공단 루트를 칼질하고 농소차고지로 종점 연장 후 과거 폐선되었던 [[울산 버스 204|204번]]을 이어받지 않을까 싶었는데 [[2014년]] [[11월 1일]]에 [[태화강역]]으로 연장되었다. * [[2018년]] [[10월 1일]]에 농소차고지로 연장했다. 다만 효문공단 루트는 그대로 거치게 되었다. 종합운동장 방향으로 학성공원을 가기 때문이다. 이로서 사실상 폐선된 204번을 계승하게 되었다. * [[2019년]] [[1월 1일]]부터 대우여객이 철수하고 유진버스 단독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 특징 == * 주로 대복리 사람들이 많이 이용한다. * 남구 무거동과 북구를 이어주는 노선으로 형제노선으로는 [[울산 버스 402|402번]], [[울산 버스 412|412번]], [[울산 버스 422|422번]], [[울산 버스 432|432번]], [[울산 버스 442|442번]], [[울산 버스 453|453번]](!), [[울산 버스 482|482번]][* 원래는 1402번이었으나 2014년 10월 5일자로 형태전환.], 그리고 [[울산 버스 492|492번]], [[울산 버스 712|712번]]이 있다.[* [[울산 버스 452(폐선)|452번]]과 [[울산 버스 462|462번]]도 있었지만, 각각 2011년 11월 1일자, 2018년 12월 22일자로 폐선.] 다른 노선들과는 다르게 율리차고지가 아닌 한솔그린빌아파트가 기점이다. * 노선지정 배차제가 되기 전 대우여객과 유진버스가 공동 배차로 운행했던 유일한 노선이다.[* [[울산 버스 431|431번]]은 7개 회사 전부 참여해서 애매하다.] * 유진버스는 원래 이 노선에 중형차량(현대 글로벌900)을 굴렸으나, 구 732번과 맞바꿔 대형차량이 운행되고 있다. 가끔 중형 차량이 투입되는 듯하다. * 농소 방향은 달동현대아파트까지는 [[울산 버스 108|108번]], [[울산 버스 126|126번]], [[울산 버스 401|401번]]을 보조한다. * 신중앙시장을 양 방향 경유하는 세 노선 중 하나이다.[* 다른 노선은 [[울산 버스 411|411번]]과 [[울산 버스 421|421번]]] 예전에는 137번과 1124번(좌석버스)도 있었으나 1124번은 경로가 바뀌어 더 이상 경유하지 않고 137번은 폐선되었다. * [[태화강역]] 착발 시절에는 울산시 시내버스 최초로 태화강역에서 바로 명촌교 북단으로 운행하는 노선이었다. 다만 태화강역으로 가기 전에 [[번영로(울산)|번영로]], 학성공원, 북구청, 효문공단까지 크게 돌아서 갔기 때문에 남구 지역에서 태화강역으로 가려거든 다른 노선을 타야 했다. * 난데없이 3223호와 3237호가 트레이드되면서 8년만에 저상차량이 돌아오게 되었다. * 북구청과 북구청남문 정류장 두 개 모두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 노선 === ||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0]] {{{#ffffff 울산광역시 일반버스 472번}}} || ||<^|1>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 [[삼동로(울주)|{{{#353535,#eee '''삼동로'''}}}]] || || {{{-2 쌍용하나빌리지 ▼}}}||{{{-2 ▲ 대복입구}}} || ||<-2> [[웅촌로|{{{#353535,#eee '''웅촌로'''}}}]] || || {{{-2 우신고등학교입구 ▼}}}||{{{-2 ▲ 문수실버복지관}}} || ||<-2> [[대학로(울산)|{{{#353535,#eee '''대학로'''}}}]] || || {{{-2 옥현주공아파트앞 ▼}}}||{{{-2 ▲ 신복로터리}}} || ||<-2> [[남부순환도로|{{{#353535,#eee '''남부순환도로'''}}}]] || || {{{-2 공원묘지입구 ▼}}}||{{{-2 ▲ 성광여고앞}}} || ||<-2> [[문수로(울산)|{{{#353535,#eee '''문수로'''}}}]] || || {{{-2 공업탑 ▼}}}||{{{-2 ▲ 신정고등학교앞}}} || ||<-2> [[삼산로(울산)|{{{#353535,#eee '''삼산로'''}}}]] || || {{{-2 제니스성형외과 ▼}}}||{{{-2 ▲ 현대해상앞}}} || ||<-2> [[번영로(울산)|{{{#353535,#eee '''번영로'''}}}]] || || {{{-2 중앙전통시장 ▼}}}||{{{-2 ▲ KBS방송국앞}}} || ||<-2> [[구교로(울산)|{{{#353535,#eee '''구교로'''}}}]] || || {{{-2 학성공원 ▼}}}||{{{-2 ▲ 학성공원}}} || ||<-2> [[가구거리|{{{#353535,#eee '''가구거리'''}}}]] || || {{{-2 학성초등학교 ▼}}}||{{{-2 ▲}}} || ||<-2> [[염포로|{{{#353535,#eee '''염포로'''}}}]] || || {{{-2 시민의 발 서비스 ▼}}}||{{{-2 ▲ 효문사거리}}} || ||<-2> [[효자로(울산)|{{{#353535,#eee '''효자로'''}}}]] || || {{{-2 대신강업 ▼}}}||{{{-2 ▲ 세종공업}}} || ||<-2> [[효문2로|{{{#353535,#eee '''효문2로'''}}}]] || || {{{-2 원연암마을 ▼}}}||{{{-2 ▲ 대신강업}}} || ||<-2> [[효암로|{{{#353535,#eee '''효암로'''}}}]] || || {{{-2 북구청남문 ▼}}}||{{{-2 ▲ 덕양산업}}} || ||<-2> [[무룡로|{{{#353535,#eee '''무룡로'''}}}]] || || {{{-2 북구청앞 ▼}}}||{{{-2 ▲ 북구청남문}}} || ||<-2> [[산업로(울산)|{{{#353535,#eee '''산업로'''}}}]] || || {{{-2 원지마을입구 ▼}}}||{{{-2 ▲ 유아교육진흥원}}} || ||<-2> [[호계로(울산)|{{{#353535,#eee '''호계로'''}}}]] || }}}}}}}}} || || || == 연계 철도역 == 없음. [[분류:울산광역시의 시내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