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시적 넘겨주기, other1=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관련 상황, rd1=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경과/23년 12월, anchor1=오늘)] [include(틀:우크라이나 관련 문서)] ||
[[파일:우크라이나 국장.svg|width=28]] '''{{{#ffd500 우크라이나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우크라이나의 역사)] [include(틀:동유럽의 국가)] [include(틀:유럽안보협력기구)] [include(틀:남극조약 회원국)] [include(틀:GUAM)] [include(틀:발트해 국가 이사회)] [include(틀:프랑코포니)] [include(틀:북대서양 조약 기구)] [include(틀:구 소련 구성 공화국 목록)] [include(틀:여행금지 목록)]}}} || ||<-3> '''{{{#ffd500 {{{+1 우크라이나}}}[br]Україна[* ''Ukrajína''] | Ukraine}}}''' || ||<-2>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68%]] || [[파일:우크라이나 국장.svg|width=42%]] || ||<-2> {{{#0c1c8c '''국기'''}}} || {{{#0c1c8c '''국장'''}}} || ||<-3> '''우크라이나에 영광을! 영웅들에게 영광을!'''[* 어순까지 고려하여 직역하면 '영광이(영광은) 우크라이나에!, 영웅들에게(는) 영광이!'라고도 할 수 있다.][br]'''Слава Україні! Героям слава!''' || ||<-3> {{{#ffffff '''상징'''}}} || || {{{#0c1c8c '''국가'''}}} ||<-2>〈[[우크라이나의 국가]]〉[br]〈''Державний Гімн України''〉 || || {{{#0c1c8c '''국화'''}}} ||<-2>[[해바라기]], 유럽백당나무[* 학명은 Viburnum opulus, [[백당나무]]는 변이종이라고 한다. [[https://tnknam.tistory.com/508|#]] 영어로 이를 가리키는 경우 원어대로 '칼리나(kalyna)'라고도 한다.], [[버찌]] || || {{{#0c1c8c '''국조'''}}} ||<-2>홍부리황새^^(비공식)^^ || ||<-3> {{{#ffffff '''역사'''}}} || ||<-3>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 건국''' [[1917년]] [[11월 20일]] [br] '''[[우크라이나 SSR]] 건국''' [[1919년]] [[3월 10일]] [br] '''[[소련]]으로부터 독립''' [[1991년]] [[8월 24일]] [br] '''[[유로마이단 혁명]]''' [[2013년]] [[11월 21일]] [br]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2년]] [[2월 24일]] || ||<-3> {{{#ffffff '''지리'''}}}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0c1c8c '''수도[br]최대도시'''}}} ||<-4>[[키이우]] || ||<-2> {{{#0c1c8c '''면적'''}}} ||<-4>603,628km² / 세계 45위[* 다만 이 면적은 [[돈바스 전쟁]] 이전의 면적이자 국제적으로 인정된 면적으로, 실효 지배 면적은 현재 러시아로 편입된 세바스토폴과 크림 공화국, 러시아의 지원을 받는 도네츠크 인민공화국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이 차지한 면적까지 제외한 560,417km²이다. 물론 그래도 여전히 [[유럽]]에서 [[러시아]], [[프랑스]] 다음으로 면적이 넓다. 특히 우크라이나는 해외 영토를 제외한 [[프랑스]]보다 면적이 넓다. 더군다나 지금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15%이상의 지역을 뺏긴 상황이다.] || ||<-2> {{{#0c1c8c '''접경국'''}}} ||<-4>• [include(틀:국기, 국명=러시아)][br]• [include(틀:국기, 국명=벨라루스)][br]• [include(틀:국기, 국명=폴란드)][br]• [include(틀:국기, 국명=슬로바키아)][br]• [include(틀:국기, 국명=헝가리)][br]• [include(틀:국기, 국명=루마니아)][br]• [include(틀:국기, 국명=몰도바)][br]• [include(틀:국기, 국명=트란스니스트리아)][*미승인국 우크라이나와 국제사회에서는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몰도바의 영토로 인정하고 있다.] ||}}}}}}}}} || ||<-3> {{{#ffffff '''하위 행정구역'''}}}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0c1c8c '''주, 특별시'''}}} ||<-4>24개 주, 1개 특별시[br](명목상 24개 주, 2개 특별시, 1개 자치공화국)[* 러시아가 점령한 세바스토폴 특별시와 크림 자치공화국에 대해 우크라이나가 영유권 주장중.] ||}}}}}}}}} || ||<-3> {{{#ffffff '''인문 환경'''}}}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0c1c8c '''인구'''}}} || {{{#0c1c8c '''총인구'''}}} ||41,167,337명^^(2022년 1월,크림 반도 제외)^^ | 세계 35위 [br]37,422,206명 ^^(2022년 1월, 크림 반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제외)^^ [[https://ukranews.com/en/news/679223-ukraine-s-population-is-37-3-million-dubilet|#]] || || {{{#0c1c8c '''인구밀도'''}}} ||<-4>73명/km^^2^^^^(세계 94위)^^ || || {{{#0c1c8c '''출산율'''}}} ||<-4>세계은행 자료 1.20명(2020년)[*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SP.DYN.TFRT.IN?locations=UA|출처]]] CIA 자료 1.56명(2022년)[* [[https://www.cia.gov/the-world-factbook/field/total-fertility-rate/country-comparison|출처]]] || || {{{#0c1c8c '''출생인구'''}}} ||<-4>271,984명^^(2021년)^^ || || {{{#0c1c8c '''기대수명'''}}} ||<-4>73세^^(2020년)^^ || ||<-2> {{{#0c1c8c '''공용어'''}}} ||<-4>[[우크라이나어]] || ||<-2> {{{#0c1c8c '''공용 문자'''}}} ||<-4>[[키릴 문자]][* 우크라이나어의 발음을 표기하기 위한 독자적인 문자를 사용한다. 자세한 내용은 [[우크라이나어#s-2|해당 문서]] 참조.] || ||<-2> {{{#0c1c8c '''종교'''}}} ||<-4>'''국교 없음'''[br][[정교회]](61%)[* 모스크바/키이우 총대주교청 합계.], [[가톨릭]](11%)[br][[무신론]](9.5%) || ||<-2> {{{#0c1c8c '''군대'''}}} ||<-4>[[우크라이나군]] ||}}}}}}}}} || ||<-3> {{{#ffffff '''정치'''}}}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0c1c8c '''정치 체제'''}}} ||<-4>[[공화제]], [[단일국가]], [[이원집정부제]] || ||<-2> {{{#0c1c8c '''민주주의 지수'''}}} ||5.42점, {{{#ff8c00 '''혼합된 체제'''}}}^^(2022년)^^[br](167개국 중 '''87위''') || ||<|3> {{{#0c1c8c '''정부 요인'''}}} || [[우크라이나 대통령|{{{#0c1c8c '''대통령'''}}}]][br][[국가원수|{{{#0c1c8c '''(국가원수)'''}}}]] ||<-4>[[볼로디미르 젤렌스키]][br](Володимир Зеленський) || || [[우크라이나 총리|{{{#0c1c8c '''총리'''}}}]][br][[정부수반|{{{#0c1c8c '''(정부수반)'''}}}]] ||<-4>[[데니스 시미할]][br](Денис Шмигаль) || || {{{#0c1c8c '''최고 라다 의장'''}}} ||<-4>루슬란 스테판추크[br](Руслан Стефанчук) ||}}}}}}}}} || ||<-3> {{{#ffffff '''경제'''}}}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GDP|{{{#0c1c8c '''명목 GDP'''}}}]] || {{{#0c1c8c '''전체GDP'''}}} ||<-4>1,645억 달러^^(2021년)^^ || || {{{#0c1c8c '''1인당 GDP'''}}} ||<-4>3,984달러^^(2021년)^^ || ||<|2> [[GDP(PPP)|{{{#0c1c8c '''GDP(PPP)'''}}}]] || {{{#0c1c8c '''전체 GDP'''}}} ||<-4>5,761억 달러^^(2021년)^^ || || {{{#0c1c8c '''1인당 GDP'''}}} ||<-4>13,943달러^^(2021년)^^ || ||<-2> '''[[국부#s-3|{{{#0c1c8c 국부}}}]]''' ||<-4>[[https://www.credit-suisse.com/about-us/en/reports-research/global-wealth-report.html|$4,540억]] / 세계 51위^^(2020년)^^ || ||<|2> {{{#0c1c8c '''수출입액'''}}} || {{{#0c1c8c '''수출'''}}} ||<-4>492억 달러 || || {{{#0c1c8c '''수입'''}}} ||<-4>541억 달러 || ||<-2> '''[[외환보유액|{{{#0c1c8c 외환보유액}}}]]''' ||<-4>261억 달러 || ||<-2> {{{#0c1c8c '''신용 등급'''}}} ||<-4>'''[[Moody's]]''' Ca[br]'''[[S&P]]''' SD[br]'''[[Fitch]]''' CC[*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2022년 2월 25일 기존 B등급에서 하향조정되었다.] || ||<|2> {{{#0c1c8c '''화폐'''}}} || {{{#0c1c8c '''공식 화폐'''}}} ||<-4>[[흐리우냐]] || || [[ISO 4217|{{{#0c1c8c '''ISO 4217'''}}}]] ||<-4>UAH || ||<|2> '''{{{#0c1c8c 국가 예산}}}''' || '''{{{#0c1c8c 1년 세입}}}''' ||<-4>391.4억 달러 || || '''{{{#0c1c8c 1년 세출}}}''' ||<-4>476.1억 달러 ||}}}}}}}}} || ||<-3> {{{#ffffff '''단위'''}}}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0c1c8c '''법정연호'''}}} ||<-4>[[서력기원]] || ||<-2> {{{#0c1c8c '''시간대'''}}} ||<-4>UTC+02:00([[서머타임]] 적용 시 UTC+03:00) || ||<-2> {{{#0c1c8c '''도량형'''}}} ||<-4>[[국제단위계|SI 단위]] ||}}}}}}}}} || ||<-3> '''{{{#ffffff 외교}}}''' || ||<-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0c1c8c 대한수교현황}}}''' ||<-4>[[대한민국]][br][[1992년]] [[2월 10일]] 수교[br][br][[북한]][br][[1992년]] [[1월 9일]] ~ [[2022년]] [[7월 13일]] (現 단교)[* 북한이 2022년 7월 13일 [[도네츠크 인민공화국]]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을 승인하면서 우크라이나 측이 단교를 선언하였다.[[https://mfa.gov.ua/en/news/zayava-mzs-ukrayini-shchodo-rozrivu-diplomatichnih-vidnosin-iz-korejskoyu-narodnoyu-demokratichnoyu-respublikoyu|#]]] || ||<-2> '''{{{#0c1c8c 국제연합 가입}}}''' ||<-4>[[1945년]] [[10월 24일]][* 소련과 별도로 우크라이나 SSR로 가입. 그래서 당시 벨로루시 SSR과 함께 유엔 창립회원국이다, 하지만 말이 별도로 가입이지 그떄 당시는 소련의 일부였던만큼 소련의 입장을 대변하는 거수기 역할이였으며 실제로 우리나라가 1949년 2월 UN에 첫 가입신청을 했을때 당시 우크라이나 SSR이 반대표를 행사하여 가입이 무산됐었던 일도 있있다.] || ||<-2> '''{{{#0c1c8c 무비자 입국}}}''' ||<-4>--한국인→우크라이나: 90일--[*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입국금지 되어 일시중지][br]우크라이나인→한국: 불가능 [[https://ko.wikipedia.org/wiki/대한민국_국민의_무비자입국_가능국가#유럽|#]][[https://overseas.mofa.go.kr/ua-ko/brd/m_8633/view.do?seq=1331860|#]] || ||<-2> '''{{{#0c1c8c 자국민 교민현황}}}''' ||<-4>500명/[[고려인]] 약 3만 명 || ||<-2> '''[[주한우크라이나대사관|{{{#0c1c8c 주한대사관}}}]]''' ||<-4>[[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br][[이태원로]]45길 21 ||}}}}}}}}} || ||<-3>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ffffff '''ccTLD'''}}}]] || ||<-3> '''.ua''' || ||<-3> {{{#ffffff '''국가 코드'''}}} || ||<-3> '''804, UA, UKR''' || ||<-3> {{{#ffffff '''국제 전화 코드'''}}} || ||<-3> '''+380''' || ||<-3> {{{#ffffff '''여행 경보'''}}} || || {{{#fff '''여행금지'''}}} ||<-2>'''전 지역'''[*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전시상황]]으로 인한 여행금지. 한국시간으로 2022년 2월 13일 0시부터. 대한민국은 크림반도를 우크라이나의 영토로 간주하기 때문에 이 조치는 러시아가 실효지배 중인 크림반도를 포함한다.] || ||<-3> {{{#ffffff '''공식 계정'''}}} || ||<-3> [[https://instagram.com/ukraine.u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Ukraine, 크기=20)] [[https://www.tiktok.com/@ukraine.ua|[[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0]]]] || ||
{{{#ffd500 '''위치'''}}}[* 명목상 영토로 [[크림반도]] 및 [[하르키우주]], [[미콜라이우주]], [[헤르손주]], [[루한스크주]], [[도네츠크주]], [[자포리자주]]의 일부(약 전체 국토의 15% 정도)는 [[러시아]]의 점령으로 행정력이 제한되어 있다.] || || [[파일:우크라이나 위치.svg|width=35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우크라이나, 너비=100%, 높이=230)]}}}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우크라이나는 [[동유럽]]의 [[공화제|공화국]]이다. [[수도(행정구역)|수도]]는 [[키이우]](Київ, Kyiv)이다. [[러시아]]와 동쪽 및 남쪽 국경,[* [[크림 반도]]를 러시아가 [[실효지배]]하고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남쪽 국경도 맞대게 됐다.] [[폴란드]], [[슬로바키아]], [[헝가리]], [[몰도바]], [[루마니아]]와 서쪽 국경, [[벨라루스]]와 북쪽 국경을 접하고 있다. == 국가 상징 == === [[/국호|국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크라이나/국호)] === 국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lag_colors.jpg|width=100%]]}}} || || 우크라이나 국기 || 우크라이나 밀밭의 풍경 || 우크라이나 국기는 청색과 황색이 가로로 결합된 이색기이다. 우크라이나 헌법 제20조에 따라 국기로 규정되어 있다. [[우크라이나인]]들은 흔히 '조우토블라키트니 프라포르(жовто-блакитний прапор, 황색-청색기)'라고 부르지만 공식 명칭은 아니다. 황색-청색기라고는 하지만 실제 국기의 색깔 배열은 위에서부터 청색-황색인데, 실제로 황색-청색 도안도 비공식적으로 쓰였던 역사가 있다. 이 깃발의 역사적 연원은 [[12세기]]에 우크라이나에 있던 [[갈리치아-볼히니아]] 왕국에서 청색/황색 조합 국기를 쓴 것이다.[* 청색 바탕에 황색의 사자가 그려진 국기였다.] 현재의 이색기 형태는 [[르비우]]에서 [[1848년 혁명]]의 영향으로 봉기가 일어났을 때 쓰인 것이 최초이며, [[1918년]]에 [[러시아 혁명]]의 영향으로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이 생겨나면서 이 이색기 형태를 공식 국기로 채택했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width=100%]]}}} ||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FFFF00 소련 우크라이나 SSR }}}]] 시절 국기'''[br](1950 ~ 1991. 9/7)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우크라이나 국기(1991-1992).svg|width=100%]]}}} || || '''소련으로부터 독립 직후 사용한 국기'''[br](1991. 9/8 ~ 1992. 1/28) || 국기에 담긴 청색과 황색의 의미에는 다음과 같은 설이 있다. 첫번째는 청색이 물을 상징하고 황색이 불을 상징한다는 것이며, 두번째는 청색이 하늘, 황색이 초원의 다 자란 밀을 상징한다는 것이다. 우크라이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초원의 밀과 하늘이 담긴 풍경을 보면 두 번째 설이 어느 정도 근거가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독일]] [[켐니츠]] 시기와 비슷하나, 비율이 조금 다르다. === 국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우크라이나 국장.svg|width=100%]]}}} || || 푸른 [[방패]]와 황금 [[삼지창]] || [[1992년]] [[2월 19일]]부터 최고 라다의 상징으로 사용되고 [[1996년]] 우크라이나 헌법을 통해 공식 국장으로 지정되었다. 문장의 유래는 [[키예프 루스]]인데 당시 루스의 지배가문이었던 [[류리크 왕조]]의 인장이었으며, [[스뱌토슬라프 1세]]가 처음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 문장은 고정되지 않고 대공마다 모두 그 형태가 달랐다. 현 우크라이나의 국장은 각 대공들의 인장 중에서도 [[블라디미르 1세]]의 인장에서 본떴다. 공식적으로 칭하는 명칭은 작은 우크라이나 국장(Малий герб України)이며, 현지에서는 트리주브(Тризуб, 삼지창)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소련 시기에는 다른 국장이 쓰였으나, 트리주브가 있는 소련 시기의 우표나 편지함 등이 있는 것으로 보아 금지까지 당하진 않았던 모양이다. 명칭이 작은 국장이니만큼 큰 국장도 있는데, 이건 헌법 상으로만 존재하고 현재는 아직 논의 중에 있다. 일단 헌법상으로는 총든 [[카자크|코자크]](Козак з мушкетом)[* 이 문양은 [[쿠반 인민공화국]]에서도 사용하였으나 우크라이나의 자포리자 코자키가 아닌 쿠반 카자크였기에 모양은 달랐다. 다만 같은 총든 코자크 문양으로 취급하기는 한다.]와 [[루테니아 왕국|갈리치아-볼히니아]]의 유리 1세의 인장인 루스 사자(Руський лев), 그리고 위 삼지창이 모두 들어간 문장이어야 한다. 갈리치아-볼히니아와 코자크 헤트만국은 중세와 근세에 우크라이나인 정체성의 기원이 되는 국가이기에 각각 우크라이나의 중세, 근세를 상징하는 문양인 셈이다. 이는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시절부터 논의되어 온 것으로, 당시에도 작은 문장과 큰 문장이 분리되어 있었고[* 당시 초안들 중에서는 키릴문자 У를 크게 쓴 문자도 있었고, 별 여러개가 잇따라 그려진 문장도 있었으나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시절 큰 문장은 그냥 삼지창 문양을 꾸밈만 다르게 한 것이 채택된다. 여담으로 당시 초안 중 하나에는 당시 최고 라다 초대 의장이었던 [[미하일로 흐루셰우스키]](Михайло Грушевський)가 제안한 예즈데츠(Єздєц, 말탄 기사) 문장도 있었는데, 이것 역시 위 루스 사자와 함께 유리 1세가 사용하였던 문장이다. 참고로 이 말탄 기사는 현재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 국장 및 [[모스크바]] 시휘, 성 게오르기 훈장 등, 우크라이나가 아니라 [[벨라루스]]와 [[러시아]] 쪽에서 잘 사용중이다.] 현재도 이를 따라서 헌법을 제정하였으나, 아직 공식 문장이 나오지는 않은 것. 이 문장은 의지나 자유를 뜻하는 우크라이나어 단어인 'воля'를 이루는 각 글자를 조합하여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https://www.reddit.com/r/DesignPorn/comments/t4smjb/the_coat_of_arms_of_ukraine_is_a_blue_shield_with/|#]] в(v[* 발음은 w에 가깝다.])는 왼쪽 창 끝, о(o)는 문장의 중심 쪽의 둥근 모양, л(l)는 가운데 창 끝, я(ya)는 오른쪽 창 끝으로 나타내어 조합할 수 있다는 것이다. === 국가 === [include(틀:국가(노래))]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크라이나의 국가)] == [[/역사|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크라이나/역사)] == 기후 == 전체적으로 [[냉대 습윤 기후]]를 보이며, 수도인 [[키이우]]를 기준으로 보면 서울보다는 여름엔 서늘하고 겨울엔 좀 더 춥다. 하지만 남부 [[크림 반도]]는 [[온난 습윤 기후]], [[지중해성 기후]]를 나타낸다. 그리고 [[키이우]]는 위도 50도에 위치 위도 37.5도에 위치한 서울보다 한참 북쪽에 있다.[* 여담으로 한반도 최북단이 위도 43도이다. 한국은 중저위도(33~43도)에 있는 나라답지않게 겨울에 유난히 추운 날씨를 가지고 있고 연평균도 낮은 편이다.] 다만 겨울이 길고 일교차가 적어 낮기온이 낮기 때문에 춥다고 느끼기 쉬우며, 실제로 러시아와 접경하는 동부는 강원도 내륙과 비슷하게 춥다.[* [[우크라이나 침공]] 초기 키이우 북부의 [[40-mile convoy|64km]] 러시아군 행렬에서 동사자가 속출하기도 했다. 물론 이건 러시아군의 삽질 덕분에 보급도 끊기고 물까지 뒤집어쓴게 크긴 했지만.] == [[/경제|경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크라이나/경제)] 1인당 GDP는 2021년 10월 IMF 기준, [[https://www.imf.org/en/Publications/WEO/weo-database/2021/October/weo-report?c=914,171,911,122,912,913,124,963,918,960,423,935,128,939,172,132,915,134,174,944,176,178,136,916,967,941,946,137,181,921,943,138,962,142,964,182,968,922,135,942,936,961,184,144,146,186,926,112,&s=NGDPDPC,&sy=2021&ey=2021&ssm=0&scsm=1&scc=0&ssd=1&ssc=0&sic=0&sort=country&ds=.&br=1|$4,384]]로 유럽에서 가장 빈국이다. 다만 여기에는 [[지하 경제]]가 빠져있어[* 여기에는 [[다차]]라는 러시아식 별장에서 지은 농작물을 팔아서 번 수입부터 밀수나 마약, 성매매 등에 의한 수입까지 다양하다.] 실제 1인당 GDP는 이보다는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내전을 겪으면서 화폐가치와 경제가 붕괴하면서 2014년 1월 1달러당 7흐리우냐 수준에서, 2016년 4월 1달러당 25흐리우냐로 1/3 이하로 폭락하였으며, 2021년에도 1달러당 27흐리우냐 수준으로 경제붕괴 이전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유럽권 내에서 가장 심하게 폭락한 화폐이며, 2위는 우크라이나와 싸우던 [[러시아 루블]]이다. 러시아 루블은 미국의 경제제재를 받으면서 반토막났다. 2016년 2월 기준 월평균 급여는 약 165달러로 작년보다 떨어졌다고 한다.[* 2015년 평균급여는 약 210달러.] [[최저임금]]은 1,378흐리우냐로 약 50달러 수준이다. 한국 환율로 따지면 56,800원인데, 하루치가 아니다. '''월급'''이다. 실제 대부분 사람들의 월급은 20~30만원 정도라고 보면 된다. 2017년 최저임금의 대대적인 인상으로[* 무려 100%나 인상되었다.] 2020년 기준 최저임금은 4,723흐리우냐로 약 170달러이다. 한화로는 약 20만원. 2019년 6월 기준 평균 [[월급]]은 $431[* 광업분야의 월급이 $1,600로 가장 높게 측정 되었고 공무원,정보통신업이 뒤를 이었으며, 반면 숙박, 요식, 농업, 건축분야는 $300대에 머무르고 있어 임금격차가 크다.]로 한화 50만원 정도로 올랐다. 이 때문에 우크라이나의 장바구니 물가는 [[대한민국]]의 1/4 ~ 1/3 수준이다. 다만 이는 우크라이나산 식료품에 한정된 이야기이며, 공산품의 경우 수입품이 대부분이라 대체로 가격이 높은 편이다. 특히 서유럽이나 미국에서 수입한 [[공산품]]들은 환율에 따라 변동이 심하며 대한민국보다 비싼 경우도 있다. 또한 유럽이 대체로 다 그렇듯 마트의 식재료는 매우 싸지만 [[식당]]에서 하는 외식은 상대적으로 비싸다. 이렇게 물가가 싼 우크라이나에서도 전통 요리 같은 걸 먹으려면 한끼에 최소 한화로 5천원 정도는 써야 한다. 푸드트럭이나 키오스크에서 파는 길거리 음식은 한화로 2천원 정도. 우크라이나는 경제적으로 비옥한 토지를 가진 농업과 소련 시절 지어진 대규모 중공업단지나 제철소, 탄광을 가지고 있어 경제가 발전하기에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http://carnegieendowment.org/2012/03/09/underachiever-ukraine-s-economy-since-1991#|출처]] 하지만 이웃 슬라브 3국 중에서도 경제발전이 많이 뒤처지는 편이다.[* 2021년 10월 [[https://www.imf.org/en/Publications/WEO/weo-database/2021/October/weo-report?c=914,171,911,122,912,913,124,963,918,960,423,935,128,939,172,132,915,134,174,944,176,178,136,916,967,941,946,137,181,921,943,138,962,142,964,182,968,922,135,942,936,961,184,144,146,186,926,112,&s=PPPPC,&sy=2021&ey=2021&ssm=0&scsm=1&scc=0&ssd=1&ssc=0&sic=0&sort=country&ds=.&br=1|PPP 기준]]으로 1인당 GDP에서 러시아 30,431달러, 벨라루스 21,466 달러, 우크라이나 14,145달러.] 왜냐하면 우크라이나가 독립한 전후로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대표적인 수출품인 소련제 무기와 군수물자를 구입하던 이란과 이라크가 [[이란-이라크 전쟁|전쟁]]을 그만두었고, 세계적인 군축 분위기에 힘입어 각국이 군축에 전념하면서 우크라이나의 주력산업인 방위산업의 판로가 죄다 막혀버렸기 때문이다. 폴란드, 체코, 헝가리, 발트 3국을 위시한 중유럽, 북유럽 국가들은 원래 산업 기반이 잡혀있던 지역이었고 체제 전환에 따른 충격을 1990년대 초에 이미 극복하지만, 우크라이나는 1993년까지 수천~1만%에 달하는 [[초인플레이션]]을 겪고 1996년에야 비로소 두자리수 인플레이션을 기록하는 등 혼란을 다른 국가들보다 훨씬 심각하게, 그것도 오랫동안 겪었다. 우크라이나는 1994년부터 자본주의 체제로 전환하기 시작했지만 이 전환도 2000년에 가서야 완료되는 등 자본주의 체제의 도입과 전환이 너무 오래 걸렸고[* 이 과정에서도 1998년 러시아의 모라토리움 선언 등으로 인해 2000년 초반까지 통화 불안정을 겪었다.], 그 결과 '''1999년'''까지 한 해도 거르지 않고 마이너스 성장률을 달성하는 진기록을 수립했다. 여기에는 정치적 문제도 있겠지만, 하술할 지역간 산업 차이 문제, 그리고 너무나도 뒤늦은 경제개혁을 이유로 들 수 있다. 1994년까지 우크라이나는 이미 붕괴된 사회주의 계획경제를 그대로 유지하였고, 때문에 소련 붕괴에 따른 국내외적 상황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 예를 들어 원자재 공급가격이 소련 붕괴 후 사회주의 우호가격에서 국제시장가격으로 대체된 것이 있다. 소련 붕괴 전 우크라이나는 러시아로부터 국제시세의 3%로 원유를 공급받았지만, 붕괴 후에는 80%로 공급받았다.] 이 시기 우크라이나는 -10~-20%에 달하는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 1994년 [[레오니드 쿠치마]] 대통령 당선 후 IMF와 세계은행의 조언에 따라 기초적인 시장경제를 도입하고, 1999년 쿠치마 대통령 재선 후 총리로 전격 발탁된 [[빅토르 유셴코]]가 재정과 에너지 제도를 개혁하고 대기업 및 토지사유화를 단행하여 시장경제를 본격적으로 도입하면서 경제성장률이 올라갔다. 물론 경제성장의 스타트라인 자체를 다른 동유럽 국가들보다 훨씬 늦게 끊었으므로 이미 벌어진 격차는 어쩔 수 없었고. 1991년 독립 이후 다른 소련 국가와 같이 사회주의에서 자본주의로 체제 변환을 거치는 과정에서 [[초인플레이션]]을 겪었다. 특히 초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우크라이나 국립은행은 1996년 카르보바네츠(Карбованець)를 오늘날 쓰이는 [[흐리브냐]](Гривня)로 교체했다. 하지만 1998년 러시아의 모라토리움 선언 등으로 인해 2000년 초반까지 통화 불안정을 겪었다. 이후 2001년부터 경기가 점차 회복세로 돌아서 2007년 통계에 의하면, 2001년 빈곤율 32%에서 2005년 8%로 급감했다. [[http://web.worldbank.org/archive/website01022A/WEB/IMAGES/UKRAINEP.PDF|출처 (세계은행 보고서)]] 특히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수출량이 50% [[http://carnegieendowment.org/2012/03/09/underachiever-ukraine-s-economy-since-1991#|증가하면서]] 경제 성장의 혜택을 누렸다. 하지만 2014년 크림 위기 이후 주요 교역국이었던 러시아와 무역이 중단되면서 GDP에서 약 10.4% 정도의 타격을 받았다. [[http://uatoday.tv/business/ukraine-s-government-report-economy-down-10-4-in-2015-583213.html|출처(UA Today)]] 2016년 5월에는 IMF가 우크라이나의 부패 청산과 경제 개혁을 조건으로 하여 175억 달러 가량의 대출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http://uk.reuters.com/article/uk-ukraine-crisis-imf-idUKKCN0Y92JB|출처 (로이터)]] 우크라이나 경제 문제는 정치 문제로도 자주 연결이 되는데, '''농업'''이 주산업인 중부 지방은 소련 시절에 농민들을 탄압해 온 역사([[라스쿨라치바니예]], [[홀로도모르]] 참조.) 때문에 러시아에 반감이 상당히 심한 반면, '''광공업'''이 주산업인 동부 지방은 러시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특히 소련 시절 동부 우크라이나 공업지대는 소련 중화학공업/군수공업의 한 축을 이루었다. 소련 주요 우주발사체 로켓을 설계한 하르트론 설계국, R-36 미사일(NATO명 SS-18 사탄)을 제작한 유즈노예 설계국, [[An-225]]로 유명한 안토노프 설계국과 [[T-64]]를 제작한 하르코프 공장이 전부 우크라이나에 위치해 있었다. 이 때문에 소련 해체 이후에도 한동안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에서 많은 양의 기계류를 수입했었다. 위에서 언급했듯, 지하 경제 규모가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전체 GDP의 최소 50% 이상을 차지한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 때문에 공식적인 소득 수준만 본다면 우크라이나가 매우 가난한 국가로 보이고 실제로도 가난한 국가가 맞지만 그래도 다른 개발도상국들보다는 잘 사는 편이다. 1인당 GDP만 놓고 보면 동남아 수준으로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대학 진학률 등은 동남아 보다 훨씬 높으며 다른 유럽 국가들과 거의 차이 없다. [[https://datatopics.worldbank.org/education/country/ukraine|#]] 물론 그렇다 해도 우크라이나의 생활수준은 동유럽을 기준으로 봐도 매우 뒤떨어진다. 폴란드나 러시아, 서유럽, 미국 등지로 일하러 나가는 노동자들이 굉장히 많으며 두뇌 유출 문제가 심각하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2022년에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경제가 크게 불안해졌다. 전쟁이 일어나기 전인 2021년 10월에도 1인당 GDP가 꼴찌였다는 점에서, 전후 미국이나 유럽에서 우크라이나의 재건을 적극적으로 도와주지 않는다면, 향후 수십 년 동안 계속 유럽의 최빈국으로 남을 우려가 있다.[* 물론 전쟁에서 이기기만 한다면 러시아를 이긴 국가라는 점에서 강력한 투자 메리트가 생길 것이기에 전쟁을 유리하게만 끝낸다면 많은 원조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미국, 유럽등 서방에서 우크라이나의 전쟁 승패에 상관없이, 전쟁이 끝난 이후 우크라이나의 재건[[https://www.yna.co.kr/view/AKR20220623114900009|#]]을 약속하면서 전쟁의 결과에 상관없이 우크라이나 경제에도 어느정도 희망이 보이기 시작했다. 게다가 몰도바와 함께 [[EU]] 회원 후보국으로 공식 확정되는 호재도 생겼다. == 지리 == 면적은 [[남한]]의 약 6배 크기이며, 유럽 대륙에서는 [[러시아]] 다음으로 넓은 나라다. [[프랑스]]가 태평양과 대서양, 남미에 있는 전세계 국외령을 전부 끌어모아 합하면 더 넓어지지만, 유럽 대륙에 있는 본토만 따지면 ([[크림 반도]]를 제외해도) 우크라이나가 더 넓다. 게다가 우크라이나는 산지가 별로 없고 토질이 매우 좋아 국토 대부분이 [[지력]]이 풍부해 [[비료]]가 따로 필요없는 비옥한 흑토인 [[초르노젬]]으로 이루어져 옛날부터 세계적인 곡창 지대로 유명했다. 세계 최대의 식량수출국이었던 [[러시아 제국]] 시절부터 독보적이었고, 2011년에는 곡물 수출량이 세계 3위에 달했을 정도. 이렇게 농사가 매우 잘 되는 땅에서 그 유명한 [[우크라이나 대기근]]이 발생하여 수많은 사람들이 굶어죽었고 소련이 제대로 대처를 못했으니 러시아인과 우크라이나인들로서는 기가 막힐 노릇.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의 반러시아 감정 역시 여기에 근거를 갖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람들이 '유럽' 하면 흔히 떠올리는 이미지와 달리 국토의 남부는 [[스텝(지리)|스텝 지대]]에 가깝다. 또한 국토의 대부분이 '흑토([[초르노젬]])'로 이뤄져 있는데, 이는 '''전세계에서 손에 꼽힐 정도로 비옥한 땅이다.''' 이는 우크라이나 지역이 오랜 세월 여러 민족과 국가에게 침입을 당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속하는 나라마다 주요 곡창 지대로서 기능해 오도록 했다. 흑해 연안에 있는 [[오데사]](Одеса) 항구는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 감독의 유명한 [[영화]] '[[전함 포템킨]](Броненосец «Потёмкин»)'의 '오데사 계단 학살 장면'이 찍힌 곳으로 유명하고[* 몽타주 기법을 처음 쓴 장면으로 영화학도들은 반드시 봐야 하는 장면이다. 워낙 유명해진 나머지 아예 이름이 포템킨 계단(Потьомкінські сходи)으로 붙여졌다.], 건담 시리즈의 '오데사 공방전'이 일어난 곳이며, 또한 '''세계에서 가장 긴 인공터널군'''인 '오데사 카타콤베'가 있는 곳이다. '''길이만 2,500km 이상'''. 이 기록은 중국 서부 핵미사일기지인 '지하 만리장성'에 의해 깨진 듯하다. 무려 5,000km 이상의 길이라고. 저 위 지도에 보이는 [[세바스토폴]]항은 [[러시아 해군|러시아 흑해함대]]의 모항이다.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함대보고 '''"방 빼!"'''라면서 한동안 [[키배]]를 벌이다가 구 소련의 수상함을 일부 양도받는 조건으로 [[2014년]]까지 임대시기를 연장해줬는데, 친러시아 정권이 들어서면서 다시 2042년까지 대여기간이 늘어났다가,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2014년 3월에 도시 전체가 러시아로 넘어가 버렸다.]] [[크림 반도]] 최남단 항구도시 [[얄타]]는 [[얄타회담]]이 열렸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시간대가 비슷한 경도에 위치한 벨라루스와 러시아보다 빠른 시간대를 쓴다. 그래서 러시아 서부 지역에서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으로 가면 시간대가 더 늦어져야 정상인데 오히려 두 시간이나 빨라지는 이상한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그런데 이는 러시아와 벨라루스의 시간대가 경도에 비해 이상하게 느려서 그런 거지 우크라이나는 오히려 실제 시간에 가깝다. 주변에 [[폴란드]], [[슬로바키아]], [[헝가리]], [[루마니아]] 등 여러 국가와 국경을 맞대고 있으며, 러시아의 천연가스 파이프가 이 나라를 지나고 있다. 때문에 러시아가 '''[[천연가스 동결|가스 잠가라]]''' 마법을 부릴 경우 크게 피해보는 나라 중 하나다. 현재는 [[유럽 연합]] 국가들 투자로 새로운 나부코 파이프라인을 부설중이었다. 지도상의 북쪽 [[벨라루스]]와의 접경지대에는 초르노빌(Чорнобиль), 러시아어로는 '''[[체르노빌]]'''(Чернобыль)이 있다. 우크라이나 처지에서 [[체르노빌 사고]]에 대해 좀더 이야기하자면, 1986년 4월 원전 폭발당시 하마터면 인구 200만의 수도 키이우를 고스란히 버려야 할 정도의 헬게이트가 열릴 뻔했다. 체르노빌에서 겨우 100km 남짓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데다, 자칫 증기폭발로 원전 바닥이 완전히 녹아버리면 키이우의 상수원인 드네프르강은 그대로 오염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소련 잠수부들의 목숨을 건 잠수[* 다행히 아무도 죽지는 않았다.]로 원전의 냉각수를 모두 빼낸 후 극적으로 최악의 상황은 면할 수 있었다. 그리고 [[헬게이트]]는 당시 풍향 때문에 낙진을 고스란히 맞은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벨라루스]]에서 열렸다. 동부 지역은 친러, 서부 지역은 반러 성향이 강하다. 2010년 대선에서 당선된 친러 성향의 빅토르 야누코비치 후보는 동부의 [[도네츠크주]]에서 무려 90.44%를 득표했으나 서부의 이바노-프란키우시크주에서는 겨우 7.02%를 득표했다. 위치의 전략적 중요성 때문에 미국과 러시아가 이 나라를 놓고 정치적 패권 싸움을 하고 있다. NATO가 발트 지역과 남, 서동부 일대를 에워싼 지금 우크라이나까지 NATO 손에 넘어가면 러시아는 서방의 MD에 삼면의 영토가 노출된다. 그렇기 때문에 러시아는 우크라이나가 NATO에 가입하려는 걸 수단방법 안 가리고 막으려 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알력싸움의 연장선에서 끝내 [[2022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이 터지고 만다. 이 전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그나마 동부 지역 대부분이 러시아군의 전쟁범죄 때문에 반러로 돌아서고 젤렌스키의 지지율이 '''90%'''를 넘었다는게 위안. == 교통 == === 고속도로 === [[소련]] 시절에 깐 [[고속도로]]를 그대로 활용중이다. [[페트로 포로셴코]] 대통령 시절 낡은 도로를 개량하겠다고 공사를 했으나 이 역시 상당량의 공사비가 빼돌려지고 결과물들도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war&no=2496306|부실 이상으로 괴이하다.]] === 철도 === 우크라이나 [[철도]]의 대부분은 [[우크라이나 철도공사]]라는 [[공기업]]에서 운영하고 있다. [[도시철도]]로는 [[키이우 지하철]]과 [[하르키우 지하철]] 등이 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국면에서 철도공사는 민간인의 피난과 우크라이나군의 이동 및 보급을 책임지고, 지하철은 민간인의 피난처가 되는 등 전면에서 활약하고 있다. === 항공 === 항공기 제작사로는 [[안토노프]]가 있고, 여객 항공사로는 [[우크라이나 국제항공]], 화물 항공사로는 [[안토노프 항공]]이 있다. 수도 [[키이우]]의 공항으로는 여객공항인 [[보리스필 국제공항]]과 화물공항인 [[호스토멜 공항]]이 있는데, 둘 다 2022년 [[키이우 전투]]의 격전지였다. == [[/행정구역|행정구역]] == [include(틀:우크라이나의 행정구역)]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크라이나/행정구역)] 최상위 행정구역은 24개 주(область), 1개 자치공화국(автономна республіка), 2개 특별시(місто зі спеціальним статусом)의 27개 행정구역으로 나뉘어져 있다. [[파일:Ukrajina.png]] ||<-2> '''행정구역명''' || '''인구(명)'''[* 2021년] || '''면적(km²)''' || '''청사 소재지''' || ||[[크림 자치 공화국]][*점령 [[러시아]]에 의해 점령된 상태이다.] ||Автономна Республіка Крим ||1,967,259 ||26,081 ||[[심페로폴]][*점령] || ||[[도네츠크주]] ||Донецька область ||4,100,280 ||26,517 ||[[도네츠크]][*점령][* 2014년 시작된 [[돈바스 전쟁]]으로 도네츠크 시가 친러 반군에 함락된 이후 [[크라마토르스크]]가 임시 주정부 소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 ||Дніпропетровська область ||3,142,035 ||31,974 ||[[드니프로]] || ||[[루한스크주]] ||Луганська область ||2,121,322 ||26,684 ||[[루한스크]][*점령][* 2014년 시작된 [[돈바스 전쟁]]으로 루한스크 시가 친러 반군에 함락된 이후 [[세베로도네츠크]]가 임시 주정부 소재지 역할을 수행하였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세베로도네츠크 역시 점령되었다.] || ||[[리우네주]] ||Рівненська область ||1,148,456 ||20,047 ||[[리우네]] || ||[[미콜라이우주]] ||Миколаївська область ||1,108,394 ||24,598 ||[[미콜라이우]] || ||[[르비우주]] ||Львівська область ||2,497,750 ||21,833 ||[[르비우]] || ||[[볼린(동음이의어)#s-1|볼린주]] ||Волинська область ||1,027,397 ||20,144 ||[[루치크]] || ||[[빈니차주]] ||Вінницька область ||1,529,123 ||26,513 ||[[빈니차]] || ||[[수미주]] ||Сумська область ||1,053,452 ||23,834 ||[[수미]] || ||[[이바노프란키우스크주]] ||Івано-Франківська область ||1,361,109 ||13,928 ||[[이바노프란키우스크]] || ||[[오데사주]] ||Одеська область ||2,368,107 ||33,310 ||[[오데사]] || ||[[자카르파탸|자카르파탸주]] ||Закарпатська область ||1,250,129 ||12,777 ||[[우주호로드]] || ||[[자포리자주]] ||Запорізька область ||1,666,515 ||27,183 ||[[자포리자]] || ||[[지토미르주]] ||Житомирська область ||1,195,495 ||29,832 ||[[지토미르]] || ||[[체르니우치주]] ||Чернівецька область ||896,566 ||8,097 ||[[체르니우치]] || ||[[체르니히우주]] ||Чернігівська область ||976,701 ||31,865 ||[[체르니히우]] || ||[[체르카시주]] ||Черкаська область ||1,178,266 ||20,900 ||[[체르카시]] || ||[[키로보흐라드|키로보흐라드주]] ||Кіровоградська область ||920,128 ||24,588 ||[[크로피우니츠키]] || ||[[키이우주]] ||Київська область ||1,788,530 ||28,131 ||[[키이우]][* 키이우 시는 [[키이우주]]의 일부가 아니지만, 키이우주 청사는 키이우 시에 소재해 있다.] || ||[[테르노필주]] ||Тернопільська область ||1,030,562 ||13,823 ||[[테르노필]] || ||[[폴타바주]] ||Полтавська область ||1,371,529 ||28,748 ||[[폴타바]] || ||[[하르키우주]] ||Харківська область ||2,633,834 ||31,415 ||[[하르키우]] || ||[[헤르손주]] ||Херсонська область ||1,016,707 ||28,461 ||[[헤르손]] || ||[[흐멜니츠키주]] ||Хмельницька область ||1,243,787 ||20,645 ||[[흐멜니츠키]] || ||[[키이우]] ||Київ ||2,962,180 ||839 ||<|2>특별시 || ||[[세바스토폴]][*점령] ||Севастополь ||385,870 ||864 || === 지명 표기 문제 === 대다수의 우크라이나 지명은 [[소련]] 시절 [[러시아어]]에 근간한 표기가 사용되고 있었다. 그런데, [[2022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이 발생하고, 우크라이나의 반러 감정이 극에 달하면서, 러시아어가 아닌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아졌다. 실제로 영어권 언론에서도 러시아어에서 유래한 'KIEV' 대신 우크라이나어에 기반한 'KYIV'로 표기하는 것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또한, 2022년 3월 1일,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은 [[https://www.facebook.com/UkrEmbassyKorea/posts/300534298844536|공식 페이스북]]을 통해 지명에 대한 발음 및 표기에 대한 요청을 다음과 같이 올렸다. >대한민국은 3월 1일을 한민족의 독립 의사를 세계만방에 알린 날로 기념하고 있습니다. 1919년 3월 1일은 한민족이 일본의 식민통치에 항거하고 독립선언서를 발표한 날입니다. 세계는 한민족이 독립과 자유를 위해 막대한 희생을 치렀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국권을 지키기 위해 지금 러시아의 침략군과 격렬한 전투를 벌이고 있습니다. 침략국인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민간인을 학살하고 도시를 폭격하며 우크라이나의 문화유산을 파괴하는 만행을 저지르고 있습니다. 또한 우크라이나의 언어, 역사와 문화를 왜곡비하하면서 우크라이나의 국권을 빼앗으려고 합니다. >이 상황에서 우크라이나 여러 지역의 지명이 침략국인 러시아의 발음으로 한국에서 표기되고 있다는 사실은 우크라이나인들에게 커다란 상처와 아픔이 되어 왔습니다. >이번 우크라이나 사태의 계기로 우크라이나의 지명을 우크라이나식 발음으로 표기해 주실 것을 간청드립니다. > || 옳은 표현(우크라이나식 발음) / 틀린 표현(러시아식 발음) || > || 크이우 / 키예프 || > || 크름반도 / 크림반도 || > || 르비우 / 리보프 || > || 므콜라이우 / 니콜라예프 || > || 체르느히우 / 체르니고프 || > || 하르키우 / 하르코프 || > || 루한시크 / 루간시크 || > || 드니프로 / 드네프르 || > || 크이우 루시 공국 / 키예프 루시 공국 || [[파일:키이우_KBS.jpg]] 이와 별도로 같은 날(3월 1일) [[KBS]]에서도 [[국립국어원]]의 자문을 거쳐 러시아어가 아닌 우크라이나 발음에 기반하여 '키이우, 하르키우, 리비우' 등으로 표기하기로 했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406554|#]] 참고로 '크이우'와 '키이우'로 표기가 갈린 것은 해당 모음이 한국어에 없는 모음으로 'ㅡ'와 'ㅣ' 두 가지로 표기 가능한 발음이기 때문이다. 국립국어원은 타 언어의 외래어 표기법에서 유사 발음[* 폴란드어 y나 러시아어 ы, 영어 단음 i 등은 모두 'ㅣ'로 표기한다.]에 대해서 'ㅣ'로 표기하고 있기 때문에, 일관성 차원에서 'ㅣ'를 채택한 것으로 보인다. 2022년 3월 11일 국립국어원은 우크라이나의 14개 지명에 대한 한글 표기를 확정하였다.[[https://www.korean.go.kr/front/board/boardStandardView.do;front=B94D3AFFF192754666BBEDBC848FD445?board_id=6&b_seq=877&mn_id=184|#]] 이에 따르면 Київ는 [[키이우]], Харків는 [[하르키우]], Львів는 [[르비우]]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특징적으로 우크라이나어 и의 표기는 'ㅣ'로 정해졌고, [[러시아어 표기법]]과는 달리 연음부호 ь는 표기에 반영되지 않았다. == 사회 == 이 나라는 알고보면 잠재력이 많다. 비옥한 땅과, 제3세계 개발도상국들과 달리 한때 세계 최강의 군사력을 지녔고 경제력도 2위를 달리던 소련시대를 거치며 각종 첨단 공업시설이 많이 위치하였고 지금도 [[안토노프]] 같은 소련 시대의 유산을 꽤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많은 양질의 교육으로 많은 인재들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때문에 소련이 해체될 당시에는 가장 발전 가능성이 높은 나라로 평가되곤 했다. 그러나 문제는 우크라이나가 막상 독립한 뒤에 경제와 사회 전반에 걸쳐 큰 혼란이 닥쳐오면서 잠재력을 크게 갉아먹은데다가 그나마 경제적으로 안정화 되고 사회가 제대로 돌아가게 된 2000년대에도 심각한 부정부패와 빈부격차, 정치인, 언론인 암살, 선거 부정 사건, 여권과 야권 분열 같은 요인이 겹쳐 타 [[동유럽]] 국가에 비해 포텐셜이 크게 터지지 않았다. 거기에다가 2008년 세계금융위기와 2012년 모라토리엄 선언, 유로마이단 이후의 영토상실, 돈바스 전쟁까지 겹치며 2008년도의 경제수준마저도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2020년 들어선, 크림 위기사태 전 수준으로는 회복하였지만 사정이 여전히 좋지 않다.] 결과적으로 보았을때 현재까지도 잠재력을 발휘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피하기 힘들다. 비록 혼란이나 사회문제가 없던것은 아니지만 결과론적으로 보면 자본주의 체제에 비교적 연착륙해서 [[서유럽]] 국가와의 격차를 줄이는데 성공한 [[발트3국]]과 [[폴란드]], [[헝가리]], [[체코]],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와는 크게 대조되는 모습이다. 사실 따지보고보면 저 잠재력이 주변국의 어그로를 잔뜩 끄는 위험한 잠재력이기도 하니 그렇게 이상한 일은 아니다. 일종의 [[자원의 저주]]인 셈. 동유럽과 비교하면서 무능한 정부/사회로 폄하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우크라이나가 구소련 구성국이였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오히려 구소련 국가들중 성공적인 사회라고 볼수도 있다. 구소련 국가중 민주주의와 인권이 뿌리내리고 서유럽 표준에 맞는 사회로 꾸준히 변화한 국가는 매우 적다.[* 앞에서 언급한 폴란드, 헝가리, 체코, 슬로바키아와 같은 국가들은 발트3국을 제외하면 어디까지나 구소련 소속이 아니라 공산주의 정부가 들어선 독립적인 국가였다. 실질적으로는 소련의 위성국이었지만 엄연히 다르다.] 다른 구 공산국과 달리 온건한 경제개혁을 한 덕분에 민영화된 기업과 기술들이 날아가는 일도 없었고, 전쟁중에도 점령된 지역 주민들의 은행 계좌를 통해 연금을 지급하는 정책을 발표하는등 나름 튼튼한 행정력을 가진다 2014년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서 종합 순위 6위를 차지했으며, [[국제천문올림피아드]](IAO)의 설립에 [[러시아]] 다음으로 많은 공헌을 한 국가다. 소련 이래 쓸만한 인재들은 꽤 많은 나라다. 다만 그걸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과 엘리트층의 수준이 너무 낮은 게 문제다.[[http://www.imo-official.org/year_country_r.aspx?year=2014|참고]] 의외로 [[고려인]]들이 제법 많이 살고 있다. 통계로는 12,000여명이 살고 있으나 [[소련 붕괴]] 이후 국적을 취득하지 못해 [[무국적]]자가 된 고려인까지 합하면 2만 명이 넘는 걸로 추정된다. 2009년 11월 17일 [[인플루엔자 A]]보다 치사율이 높고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가 출현하여 키이우와 르비우시에서 약 1백만 명이 감염되어 2백여 명이 사망했다. 감기 바이러스와 캘리포니아 인플루엔자가 합쳐진 변종 바이러스로 밝혀졌다. 그러나 WHO 측에서는 변종이라는 증거가 없다며 변종설을 부정 중. 그러나 과거 인플루엔자 A가 창궐할 때 [[멕시코]]가 각종 삽질로 인해 바이러스를 '''전 세계에 퍼뜨리는 공(?)을 세웠던''' 데 반해 우크라이나 정부는 국경 일부를 봉쇄하는 등 신종 바이러스 출현에 대처를 잘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우크라이나는 유럽 대륙에서도 이동 통신 서비스의 발전 속도가 상당히 느린 편에 속한다. 이동통신 주파수를 한동안 군용으로 묶어 놓는 바람에, [[WCDMA]] 도입도 국제 평균보다 상당히 늦은 2011년에서야 시작되었다. 그것도 기존 통신사들이 3G를 쓸 수 있게 해 준 형태가 아니라, 3G 전용 통신사를 따로 하나 만들고 기존 통신사들은 '''로밍'''을 통해서 3G 망을 이용하였고, 3G 전용 통신사도 [[GSM|2G]] 망을 이용하려면 역시 '''로밍'''을 통해야 했다. 물론 이 과정에 덤으로 돈은 돈대로 나가고 커버리지는 커버리지대로 최악이 되고 이 와중에 [[유로마이단]]과 [[돈바스 전쟁]] 통에 크림 반도나 동부에 있었던 이동통신 시설들이 뭉텅이로 뜯겨나간 건 덤이다. 결국 '''2015년'''에 와서야 '''군용으로 묶어 두었던''' 이동통신 주파수가 해금되면서 기존 통신사들도 자체적인 3G 망을 설치할 수 있게 되었다. 때문에 [[러시아|옆]][[벨라루스|나]][[몰도바|라]]들이 LTE를 상용화할 때에도 여기는 겨우 3G가 깔리기 시작하고 있었다. 2018년 3월 30일부터 [[키이우스타]](Kyivstar), 라이프셀(Lifecell) 그리고 [[보다폰|보다폰 우크라이나]]가 수도인 키이우와 일부 주요 도시의 주요 거점을 시작으로 LTE 서비스를 시작했다. 주파수 대역은 한국의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사용하는 Band 7 주파수이다. 2021년 기준으로 대부분의 지역에 4G가 깔린 걸로 보인다. === 치안 === [[https://overseas.mofa.go.kr/ua-ko/brd/m_8633/view.do?seq=588857|주 우크라이나 대사관 정보]], [[https://www.0404.go.kr/dev/country_view.mofa?idx=169|대사관 긴급 연락처]] [[https://trip-nation.tistory.com/entry/%EC%9A%B0%ED%81%AC%EB%9D%BC%EC%9D%B4%EB%82%98Ukraine-%EC%97%AC%ED%96%89-%EC%A0%84-%EA%BC%AD-%EC%9D%BD%EC%96%B4%EC%95%BC%ED%95%A0-%EC%A3%BC%EC%9D%98%EC%82%AC%ED%95%AD-%EB%B0%8F-%EC%A0%95%EB%B3%B4-%ED%8C%81-%EC%A4%80%EB%B9%84%EB%AC%BC|여행시 긴급정보]] 경제난으로 범죄조직과 부정부패가 심해서 [[우크라이나 마피아]]와 [[레드 마피아]]의 조직범죄가 심한 편이었다. 호텔이나 관광지에는 유럽국가들이 다 그렇듯이 소매치기나 절도 범죄가 있는 편이다. 동양인 상대로 사기 범죄나 갈취 범죄도 간간히 발생한다. 2022년 2월 12일, [[2021-2022년 우크라이나 위기|우크라이나 위기 고조]]로 인해 대한민국 외교부는 우크라이나를 여행경보 최고 단계인 [[여행금지]] 국가로 지정했다. 이에 따라 여행금지 국가 지정일부터 [[한국여권]]을 이용해서 우크라이나 입국시, [[여권법]]에 따라 처벌을 받을 수 있다.[* 타국 여권을 이용한 입국은 타국의 여권법이 적용된다. 한국의 여권법은 한국여권에 대해서만 적용되므로, 복수국적자가 타국여권을 이용하는 것까지는 막을 수 없다.] [[2022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인해 현지 교민 및 체류 국민들에게 철수권고가 내려졌으며, 2월 27일 기준 57명이 잔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중 12명은 폴란드, 루마니아 등 인접국으로 철수중이다.[[https://imnews.imbc.com/news/2022/world/article/6345287_35680.html|#]] ==== 총기 소지 ==== 모 방송에서 누구나 쉽게 총을 살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AK-47 VS M16#기타|AK-47 VS M16 농담]]에서 나온 것처럼 땅파면 총이 나올 정도는 아니어도 총이 흔한 셈으로, 그 결과는 [[유로마이단]] 당시 총기로 무장한 시위대와 경찰의 충돌에서 입증되었다. 분리독립 당시 우크라이나에는 전략적인 사유로 90만의 병력과 '''100만 명 이상 분의 전략예비물자'''가 배치되어 있었는데 당연히 갓 새로 독립한 우크라이나 정부에서는 이걸 유지할 돈도 의지도 필요도 없었다. 때문에 1990년대 당시 예비물자는 물론이며 현역장비까지 해외에 '''유출'''되었다. 물론 필요하지 않다는 건 당시 기준이고, 현재 와서 보면 그 물자를 싹 팔아넘긴 탓에 러시아의 크림반도 진격에 맞설 힘이 없어진 것 같다고는 하지만 소련 해체 당시 우크라이나에 주둔하던 대병력은 필요 이상으로 과도했기 때문에, 우크라이나가 독립 당시 군대를 축소한 건 불가피한 일이었다. 소련시절 우크라이나에 과도한 병력이 배치된 이유는, 이곳이 원래부터 [[독소전쟁]] 이래로 격전지였던데다가[* 독일군의 남부집단군을 견제하기 위해 키에프 군관구는 소련군 군구에서도 손꼽히는 중무장 군구였다.] 냉전시에는 나토 제2전력의 하나였던 터키를 견제하기 위해 좀 과하게 밀집된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소련군으로부터 알짜전력을 물려받은 러시아군조차 5백만 대군으로부터 1990년대의 경제난으로 인해 30만 이하로 내려갈 정도의 막장[* 현재도 러시아군 총병력은 100만밖에 안된다. 이것도 러시아가 경제력에 비해 무리할 정도로 유지하는터라 병력을 늘리면 경제가 버티지 못한다.]이었기 때문에 우크라이나가 소련군으로부터 물려받은 90만 대군을 유지하기란 불가능했다. 당시 군수물자를 팔고, 군비를 축소한건 안목이 짧았던 게 아니라 애초에 방대한 군대를 유지할 수 없는 국가적 한계 때문에 어쩔수 없는 일이었다. 당장 [[북한]]이 필요이상으로 과도한 군대를 유지했다가 [[고난의 행군|어떤 꼴]]을 겪었는지 보지 않았는가. 특히나 우크라이나에 있던 [[AK-47]] '''수백만 정'''이 유출된 것으로 보이며 [[1990년대]]부터 [[21세기]]까지 아프리카와 중동의 분쟁지역에 나도는 "새" AK 소총은 거의 절대 다수가 우크라이나에서 유출된 소련제였으며 20년간 상당량이 소모되어 현재는 숫자가 상당히 줄어들었다고 한다.[* 영화 [[로드 오브 워]]의 모티브가 되었다. 주인공 유리가 우크라이나에 방문해 우크라이나군 장군인 삼촌한테 [[뇌물]] 먹이고 ''' AK-47 40,000정을 빼돌리는 걸로 시작해 [[탱크]], [[장갑차]]에 이어 [[Mi-24|공격 헬기]]까지 빼돌린다.''' 빼돌린 무기들은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부르키나파소]] 등 아프리카 국가들에게 판다. 영화 말미에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했다고 나온다.] 비단 소총 같은 단순한 병기뿐만 아니라, 우크라이나에 배치되었던 핵무기의 경우 서방과 러시아의 협정을 통해 핵탄두는 파기하고 발사체는 인공위성 발사체로 처리되었고, [[Tu-160]]같은 전략 폭격기의 경우 미국에 매각하려다가 러시아와 협상을 통해 채권을 탕감하는 대가로 러시아에 돌려주었다. 무기 같은 '''"유용한"''' 물건이 아닌 옷이나 잡다한 장비 같은 군수품들은 방치되다가 차근차근 [[리인액트먼트]] 용품으로 팔아먹기 위해 업자들이 창고째로 매입해다가 팔고 있다. 지금도 [[이베이]]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직접 사본 사람의 경우 사용한 흔적이 전혀 없는 물건에서 엄청난 냄새가 나기에 스탬프를 확인해 보니 날짜가 [[1972년]]도였다고 한다. [[2022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우크라이나의 국회인 최고 라다는 민간인의 총기소지를 허용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또한 수도 키이우 방위를 위해 장비와 자동소총을 시민들에게 불출했다.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 인구 === 인구 면에서, 아니 생존 자체에서 비참한 경험을 했다. 인구 구조 자체는 [[러시아]]나 [[벨라루스]]와 비슷하나 우크라이나의 상황이 더 안 좋은데, 우선 [[적백내전]]이 끝나고 겨우 독립을 하나 싶더니 [[폴란드]]와 [[소비에트]]가 쳐들어와 땅을 낼름해버렸다. 그냥 얌전히 쳐들어왔다면 모를까 양측에서 저지른 '정리 작업'으로 인해 이 과정에서 엄청난 양민들이 죽어나갔다. 그러나 이는 애교로 보일 정도의 대사건이 터졌으니, 1930년대의 '''[[우크라이나 대기근]]'''으로 수백만에 달하는 엄청난 사람들이 굶어죽은 것이다. 1933년의 [[평균 수명]]이 남자 7세, 여자 10세라는 정말 말도 안되는 수준이었으니 그 참상은 이루 말로 표현하기 어려울 정도였다. 기근을 넘겼나 했더니 이번에는 '''[[독소전쟁|전쟁]].'''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입었고, 그 통에 사람이 엄청나게 죽었다. 특히 이번에 쳐들어온 이들은 '''폴란드와 소련보다 몇 배는 악랄한 [[나치 독일]].''' 이들의 학살 스케일은 그야말로 엄청나서, 무려 '''시체로 이루어진 퇴적층'''이 만들어졌고 이게 아직까지도 우크라이나에서 종종 발견될 정도이다. 이 때문에 현지 거주 유대인을 포함하여 7백만 명이 전쟁 중에 죽었는데, 이는 당시 인구수의 1/6이 넘는 숫자다. 그로 인해 1941년~1944년의 기대수명은 남자 15세, 여자 25세에 그쳤다. 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전후 베이비붐[* 다만 전후 베이비붐이라고 해도 무턱대고 애를 순풍순풍 낳아제끼는 수준은 아니었고(연 출생아수 80만 명대 출산율 2명대 중후반 정도의 수준. 참고로 러시아, 벨라루스, [[발트 3국]] 등의 상황도 우크라이나와 비슷했고, 동유럽이나 서유럽 지역도 일부 국가를 제외하면 역시 사정은 비슷했다), 인구도 비교적 완만하게 증가하는 추세였다. 진짜로 애기를 순풍순풍 낳아제끼는 수준이었으면 우크라이나 인구가 최소한 프랑스보다 많았을 거다.]과 [[크림 반도]] 획득으로 1950년대 중후반에 대기근과 2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인구손실을 만회하였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에 출산율이 1.9-2.1명 정도의 수준을 꾸준히 유지하면서 인구성장은 점차 주춤해졌다. 소련 붕괴 직후의 인구는 5,200만을 찍었으나,[* 당시 대한민국의 인구는 4,000만 명을 넘은 직후였다. 불과 30년전에는 대한민국보다도 인구가 많은 국가였던 것이다.] 소련 붕괴 이후 출산율의 급속한 감소와 해외로의 이민 문제까지 겹치면서 인구 감소가 시작되더니 1999년에 인구 5,000만 선이 붕괴되었고 이후로도 인구가 쭉 감소하고 있는 형편이다. 인구는 [[2021년]] 3월 기준 3,750만 명이며 [[1992년]]에 5천2백만 명을 넘긴 이래 급격한 감소 추세에 있다. 이는 소련 붕괴 이후 크게 낮아진 출산율과 높은 사망률(영아 제외시 천 명당 14.7명)을 기록하는 인구구조를 띠기 때문으로, 영아 사망률(천 명당 8.4명)이 상당히 높다. 출산율 자체는 이미 2001년(1.08명)에 저점을 찍었고, 이후에는 출산율이 1.5명대까지 상승하였으며 이에 따라 출생아수도 30만 명대 후반 정도에서 50만 명선까지 올랐으나 2014년부터는 크림 반도 분리의 영향으로 다시 40만선으로 떨어졌고 2020년에는 아예 30만도 무너져버렸다. 게다가 사망률이 워낙 높다보니 현재까지도 인구 감소가 지속되고 있는 중이다. 그렇지만 고령화가 그만큼 빠르게 진행되고 있지는 않은데, 이는 사망율이 높아서 평균 수명이 워낙 짧기 때문이다. 이건 더 빠르게 인구가 줄어든다는 이야기므로 좋다고 평가할 수는 없다. 다만 그렇다고 평균 수명이 마냥 짦은 것은 아닌데 2016년에 집계된 우크라이나의 기대수명은 72세이다. 주별로 따로 떼어놓고 보면 전반적으로 우크라이나 서부는 농촌지역이 많아서 비교적 출산율이 높은 편이고, 도시화가 이루어진 동부 우크라이나 지역의 출산율이 낮은 편이다. 이민 나가는 사람도 많고 이민 들어오는 사람도 많다. 1991년~2004년 동안 220만 명이 우크라이나로 이민을 왔고(주로 구소련권의 우크라이나계를 중심으로), 250만 명이 이민을 떠났다. 이민온 사람이 많다 보니 우크라이나 전체 인구의 14.7%가 이민자 출신이다. 그리고 2014년 이후의 혼란으로 백만 단위의 우크라이나 피난민들이 러시아로 이주했다고 한다. [[평균 수명]]이 1960년대부터 지금까지도 정체중이다. 술을 많이 마셔 [[알코올 의존증]] 문제도 심각한데다가 환경오염 문제까지 겹쳤다. 러시아와는 다르게 [[소련]] 붕괴 이후에 평균수명이 대폭 감소하는 참사까지 벌어지지는 않았지만[* 우크라이나도 소련 붕괴 이후에 평균수명이 70세에서 67세로 감소하긴 했다. 물론 이후에 회복되었다.] 이후로도 평균수명이 크게 연장되지 않아서 현재까지도 70대 초반에 머무르고 있으며[* 2016년 기준 71.68세] 이러한 탓에 2012년 기준 '''세계 제2위의 사망률'''을 기록하고 있다. 천명당 15.76명이 사망했다. 총 인구의 77.8%를 차지하는 [[우크라이나인]] 외에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이 약 17.3% 되는데 이들은 주로 동부와 남부에 거주한다. 서부에서는 [[우크라이나어]]가 거의 단독으로 사용되며 수도 키이우를 비롯한 중부에서는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가 둘 다 사용된다. 나머지 4.9%의 소수민족은 0.8%의 [[루마니아인|몰도바계-루마니아계]], 0.6%의 [[벨라루스인]],[* 실질적으로는 [[체르니히우]]를 중심으로 이보다 훨씬 많다.] 0.5%의 [[크림 타타르]]계, 기타 [[불가리아인|불가리아계]], [[헝가리인]],[* 과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영토였던 자카르파탸 주의 헝가리 국경지대에 거주한다.] [[폴란드계 우크라이나인]], [[루신인]], [[유대인|유대계]], [[아르메니아인|아르메니아계]], [[우룸인]](크림 그리스-고트족 후손), [[가가우즈인]], [[흑해 그리스인]][* 우크라이나에도 [[https://en.wikipedia.org/wiki/Greeks_in_Ukraine|그리스인 공동체]]가 존재한다.] 등이다. 세계에서 인구 감소가 가장 빠른 나라 1위로 꼽혔다. 아무런 추가적 요인 없이 수학적으로만 계산한다면 2020년 4,200만에서 2,100년 2,441만으로 무려 42.9% 감소할 것이다. 한국(5,130만 → 2,954만, 42.4%), 일본(1억 2,600만 → 7,496만, 40.5%) 보다 크다. 대책 마련이 시급하지만 나라가 [[내전]] 중이라 어려울 것으로 평가된다. 2013년 이후 출생아 수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 2015년 통계 기준으로 정세 불안에 의해 출산율이 급락해서 1.31로 더 떨어진 데다가, 전쟁으로 인해 사망률까지 올라가면서 평균 수명도 오히려 더 짧아지고 말았다. 인구학적으로 매우 좋지 않은 상황에 처한 것이다. ||<-4> '''우크라이나의 출생 및 사망 관련 통계''' || || 연도 || 출생 || 사망 || [[출산율|합계출산율]] || || 2012년 || 520,704명[* 1995년 이후 출생아 최고점이었다.] || 663,139명 || 1.53 || || 2013년 || 503,656명 || 662,368명 || 1.51 || || 2014년 || 465,882명 || 632,296명 || 1.50 || || 2015년 || 411,783명 || 594,796명 || 1.51 || || 2016년 || 397,039명 || 583,631명 || 1.47 || || 2017년 || 363,987명 || 574,123명 || 1.37 || || 2018년 || 335,874명 || 587,665명 || 1.30 || || 2019년 || 308,817명 || 581,114명 || 1.23 || || 2020년 || 293,457명 || 616,835명 || 1.22 || || 2021년 || 271,984명 || 714,263명 || 1.16 || 대한민국, 일본 등과 함께 최근 5년 간 출생아 수가 가장 급격히 감소했다.[* 물론 2021년의 통계 수치 기준으로 이 중 가장 낮은 나라는 [[대한민국]](0.81명), 가장 높은 국가는 [[일본]](1.3명)이다. 우크라이나(1.16명)는 일본의 출산율 수치에 비해 10%이상 낮은 편이다.] 그래서 인구 감소가 진행되고 있는데 현재 4,200만 명대로 감소했지만 감소세가 오히려 더욱 더 빨라지고 있다고 한다. 2021년에는 출생아 수가 사망자 수의 38%에 불과한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다. 게다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1년 사이 출산율 28% 감소하였다.[[https://m.yna.co.kr/view/AKR20230803089800009?section=international/all|#]] ==== 미녀의 나라 ==== > '''Well the Ukraine girls really knock me out ''' > '''우크라이나 여자들은 [[미녀|끝내주지]]''' > '''They leave the West behind ''' > '''다른 서양 애들은 다 잊어버릴 정도야''' >---- >[[Back in the U.S.S.R.]], [[비틀즈]] 러시아와 마찬가지로 옛날부터 미녀의 나라 이미지가 세간에 잘 알려져 있었다. 러시아와는 웬수니 뭐니 해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슬라브계로 뿌리가 같고 미녀가 많다는 점도 같다. [[비틀즈]]의 노래 '[[Back in the U.S.S.R.]]'에도 우크라이나 미녀 드립이 나오는 걸 보면 꽤 오래 전부터 퍼진 인식인 듯하다. [[비정상회담]] 우크라이나 편에서는 우크라이나에 미녀가 많은지를 두고 우크라이나인 안드리는 '''사실에 가깝다고 보시면 된다'''고 [[https://youtu.be/8J4IWGN42j0?t=410|답변]]했다. 서양 미녀들을 찾는 수요는 상당히 많기 때문에 전문 패션모델, 쇼핑몰, 홈쇼핑 모델, 누드모델, 각종 행사 도우미로 많이 활동한다. 그리고 미남들도 굉장히 많고, 역시 한국에서 모델 활동을 많이 하고 있다. '우크라이나에서는 [[김태희가 밭을 간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한국인]]에게는 [[미녀]]의 천국으로 유명하다. 반면, 그 이미지에는 사회적으로 씁쓸한 단면도 있다. 우크라이나를 비롯한 구 소련권 국가들은 공산주의 붕괴 이후 미녀들이 부국으로 시집가거나 스폰서십을 받는 일이 흔해지고 굳이 이런 방향이 아니더라도 취직 관련해서 외모가 많이 중시되는 상황에서 여성 한정이지만 외모지상주의를 당연시하는 편이다. 도시나 관광지에서는 매장마다 미녀 직원들이 가득한데, 유달리 여성 직원의 비율이 많은 걸로 추정하면 미녀들만 채용하는 듯하다. 덕분에 우크라이나 젊은 남자들 상당수가 대졸이건 고졸이건 간에 대부분 해외에서 힘든 일에 종사하고 있다. 국가경제가 가난해서 급격한 인구 감소 추세에도 [[국제결혼]] 또한 활성화 되어 있다. 키이우에도 여러 개의 국제결혼 중개업체가 성업하고 있는데, 주로 유럽 선진국이나 북미 남성과 우크라이나 여성과의 국제결혼을 주선한다고 한다.[* 아시아 쪽에도 꽤 많이 주선한다. 주로 아시아의 선진국인 [[대한민국]]이나 [[일본]]으로 주선하는 편인데, 우크라이나 [[고려인]]들의 영향으로 인해 한국으로 주선하는 경우가 좀 더 많다.] 그리고 러시아 가정에서는 부모나 조부모 중 한 명이 우크라이나 출신이 아닌 가정을 찾기가 더 어려울 정도이다.[* 러시아계 한국인인 [[벨랴코프일리야|일리야 벨랴코프]]가 그 예이다. 일리야의 어머니가 우크라이나 출신이다.] 미국 남성들에게서는 러시아와 함께 "[[장모님의 나라]]" 로 불리기도 한다. 우크라이나에서 성매매는 불법이지만 실제로는 크게 단속을 하지 않아서 아주 활성화되어있다.[* 성매매를 하다가 들통나면 약 250흐리브냐의 과태료를 부화한다. 한화로 대략 1만원 조금 넘는다. 벌금도 아니고 과태료를 용돈 수준으로 부과하니 당연한 결과라 할 수도 있다.] 심지어는 [[https://news.v.daum.net/v/20191101163430509|의원도 매춘한다.]] 그 여파때문인지 [[AIDS]] 확진률이 전세계적으로 봐도 가장 높은 순위권을 유지중이며 유럽을 통틀어서 보면 1위를 기록중이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이 터지면서 이 문제는 [[전쟁 범죄|더 심각해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1990년대 말에는 '''합법적으로''' 아동 포르노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물론 90년대 말 아동 포르노가 제작된 곳은 [[루마니아]], [[러시아]] 등 다른 동구권도 마찬가지였지만 합법적인 테두리 안에서 신문광고를 내며 모델을 모집하는 등 합법적이고 공개적으로 이루어진 곳은 우크라이나뿐이다. 자세한 것은 [[아동 포르노]] 항목 참고. 물론, 지금은 아동 포르노 제작 자체가 불법이다.[* 우크라이나는 성에 대해 유럽에서 영국, 러시아, 벨라루스와 같이 보수적인 국가이다. 그래서 현재까지도 포르노를 금지하고 있다. 물론 단속이 부실하다보니 포르노 금지에도 불구하고 암암리에 포르노가 제작된다. 특히 우크라이나산 포르노를 인터넷에 검색하면 상당히 많이 나온다.] 경제 문제와 우크라이나 내전으로 인해 상황은 악화되어 가고 있다. 물론 우크라이나의 모든 사람이 미남미녀인 것은 아니다. '''이는 세계 어디나 마찬가지다.''' 하나의 편견을 만들 수 있으니 면전에서든, 온라인에서든 주의하자. BTS와 한류에만 익숙한 외국인들이 한국인은 다 미남미녀라고 생각했다가 당신의 얼굴을 보고 당신에게 한류에 나오는 연예인들 같지 않다말하면 얼마나 어이없겠는가? 뭐든 역지사지가 중요하다. === 종교 === ||<-13> {{{#!folding [ 지역별 우크라이나의 종교(Релігія в Україні) ] ||<-13> [[파일:external/www.ukrainemarriageguide.com/UA-Religion-Map.jpg|width=700]] || ||<-13> 우크라이나는 동구권이 대부분 그렇듯 [[정교회]] 문화권의 국가다. || || - || 키이우 || 볼히니아 || 갈리치아 || 남서부[* 자카르파탸·체르니우치] || 포돌리아 || 중앙부[* 체르카시·키로보흐라드·폴타바] || 폴레시아 || 슬로보다 || 낮은드니프르 || 흑해연안 || 돈바스 || 전체 평균 || ||[[우크라이나 정교회]](УПЦ КП)[* 키이우 총대주교청 ] ||'''68.6''' ||'''45.4''' ||28.0 ||22.4 ||'''39.3''' ||'''53.2''' ||'''57.8''' ||'''55.3''' ||'''58.0''' ||'''48.4''' ||9.8 ||'''44.2%''' || ||우크라이나 정교회(УПЦ МП)[*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 ||5.8 ||30.8 ||0.5 ||31.7 ||23.8 ||19.4 ||8.8 ||12.3 ||17.1 ||24.1 ||'''55.0''' ||20.8% || ||우크라이나 독립정교회(УАПЦ) ||1.0 ||3.5 ||1.0 ||3.7 ||3.3 ||4.5 ||2.9 ||1.0 ||3.5 ||0.3 ||2.0 ||2.4% ||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УГКЦ) ||2.3 ||3.8 ||'''66.7''' ||'''33.7''' ||8.8 ||0.7 ||4.4 ||- ||- ||0.3 ||- ||11.0% || ||로마 가톨릭교회(РКЦ) ||- ||1.0 ||1.5 ||1.0 ||0.8 ||- ||6.1 ||- ||- ||- ||- ||1.0% || ||개신교(Протестанти) ||4.0 ||4.5 ||0.7 ||2.5 ||3.0 ||2.7 ||2.5 ||0.5 ||3.8 ||0.8 ||2.8 ||2.5% || ||이슬람교(Іслам) ||0.5 ||- ||- ||- ||0.3 ||- ||1.2 ||- ||- ||- ||- ||0.1% || ||불교(Буддизм) ||0.8 ||- ||- ||- ||- ||- ||0.2 ||0.8 ||- ||- ||- ||0.2% || ||이교(Язичництво)[*신앙 네이티브 우크라이나 민족신앙(Рідна Українська Національна Віра)] ||0.3% ||- ||- ||- ||0.3 ||- ||1.2 ||- ||- ||- ||- ||0.2 || ||유대교(Юдаїзм) ||- ||- ||- ||0.2 ||- ||- ||1.0 ||- ||- ||0.3 ||- ||0.1% || ||무신론(Атеїзм) ||8.3 ||8.0 ||0.7 ||3.0 ||15.5 ||8.0 ||4.2 ||18.6 ||11.1 ||10.3 ||17.5 ||9.5% || ||기타(Інше) ||8.5 ||3.0 ||0.7 ||1.7 ||5.0 ||11.4 ||10.5 ||11.6 ||6.3 ||15.8 ||12.8 ||8.0% || }}} || 역사적인 이유로 [[우크라이나 정교회]]와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 문화권에 속해 왔으며 대체적으로 정교회가 우세하다. 정교회 내에서 교회법상 위치를 합법적으로 인정받는 유일한 교회는 우크라이나 정교회(모스크바 총대주교청)뿐이었다. 다만 설문조사의 주체에 따라 우크라이나 정교회(모스크바 총대주교청)가 더 우세한지, 아니면 그 라이벌인 우크라이나 정교회(키이우 총대주교청)가 우세한지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정교회 신자들 상당수는 자신이 어느 쪽에 속하는지 특별히 구별하지 않으며, 출석하는 성당의 소속도 그다지 의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크게 따지면 중부와 동부를 중심으로 정교회 인구가 72%로 절대 다수이고, 여기에 서부에 주로 분포하는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이 14.1% 더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상당수 정교회가 실질적 총대주교 관할이 없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종교의 자유]]를 두지만 우크라이나-러시아간에 정교회 대립이 있다. 지역별로 종교 분포를 볼때 돈바스는 우크라이나 정교회(모스크바 총대주교청)가 상당히 높고, 이외에 남서부에는 [[우크라이나 그리스 가톨릭]]이 높으며, 이외 모든 지역은 우크라이나 정교회(키이우 총대주교청)가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2018년 12월 11일,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바르톨로메오스 1세]]는 러시아 정교회가 우크라이나 정교회에 관여할 수 있는 권한을 취소하고, 우크라이나 정교회를 독립교회로 인정하며, 러시아 정교회가 내린 파문을 취소한다고 발표했다. 러시아 정교회는 여기에 분노하여 동월 15일 교회회의(시노도스)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와 성사교류 단절을 선언했다. 여기에 대해서는 [[2018 정교회 분열]] 항목 참조. 동년 동월 15일, 우크라이나의 통합 정교회 추진위원회는 키이우 총대주교청 정교회 산하 주교였던 [[에피파니]]를 우크라이나의 첫 독립정교회의 수장으로 선출했다. 19년 1월 5일에는 우크라이나 대통령 포로셴코와 에피파니 주교가 함께 터키로 가서 [[바르톨로메오스 1세]]가 우크라이나 정교회를 독립교회로 인정하는 문서에 서명하는 것을 참관했다. 우크라이나 내에도 [[크림 타타르인]], [[볼가 타타르인]] 등을 중심으로 한 [[이슬람]] [[수니파]] [[무슬림]] 인구도 있다. === [[/언어|언어]] === ||<-3>
2001년 우크라이나 인구 통계에 따른 지역별 언어 분포 || ||<-3> [[파일:attachment/UkraineNativeLanguagesCensus2001detailed-en.png]] || ||<-3> 범례 || || 인구의 80% 미만 || 인구의 80% 이상 || 언어 || || || || [[우크라이나어]] || || || || [[러시아어]] || || || || [[루마니아어|루마니아어 / 몰도바어]] || || || || [[크림 타타르어]] || || || || [[헝가리어]] || || || || [[불가리아어]] || || || || [[가가우즈어]] || || || || [[폴란드어]] || || || || [[알바니아어]] || || ||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체르노빌 피해지역]] || 우크라이나 헌법에 규정된 [[국어]]는 [[우크라이나어]] 뿐이며 [[https://www.ukrinform.net/rubric-polytics/3178350-kyiv-does-not-need-kremlin-advice-on-status-of-ukrainian-language-danilov.html|#]], 역사 및 지리적인 이유로 [[러시아어]]도 널리 사용된다. 주로 동부와 남부 지역에서 러시아어 화자가 많은편이고 특히 [[크림 반도]]는 러시아어가 주로 사용되는 지역이다. 서부는 우크라이나어 위주이며, 가운데쯤에 있는 수도 키이우와 중부지역은 반반 경계선 느낌이다. [* 실질적으로 러시아어가 조금더 많이 사용된다.] 돈바스 전쟁 이후로 우크라이나의 민족주의자들은 러시아어가 러시아의 언어라고 반감을 품고 보이콧하는 국민들이 간혹 있는데 특히 [[르비우]] 같은 서부에서 그런 경향이 있지만 전국적으로 보면 일반적으로 우크라이나인들은 양쪽 언어 모두를 모국어로 인식하는 편이다. 제1언어가 러시아어라고 해서 모두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러시아계]]인 건 아니고 우크라이나계 정체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러시아어가 제1언어인 사람도 꽤 많다. 그래서 우크라이나에서 민족 구분과 언어 구분이 반드시 일치하진 않는다. 당장 친서방 성향 대통령인 [[볼로디미르 젤렌스키]]조차도 모국어는 러시아어고, 우크라이나어는 의사소통까진 가능하지만 비교적 서툴다.[* 억양에 티가 나는지 현지인들은 젤렌스키 대통령의 제1언어가 우크라이나어가 아니라는 걸 그의 연설이나 대화를 들으면 느낄 수 있을 정도라고 하며, 우크라이나어로 대화를 할 때도 러시아어의 문법과 표현을 자주 사용한다. 대통령 당선 전에 촬영했던 드라마 [[국민의 일꾼]]에서도 거의 러시아어로 연기를 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의 고향은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의 [[크리비리흐]]로, 이 곳의 주도인 [[드니프로]]는 러시아어를 모어로 삼는 인구 비율이 절반을 넘는 곳이다.] 2012년에 러시아어의 지역 공식어 지정에 대해 우크라이나 야당 의원들이 항의해 [[국회폭력/국외 사례|집단난투극]]이 벌어진 적이 있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0228480?sid=104|#]] [[파일:우크라이나인의 언어 사용 빈도.png]] |'''우크라이나인의 언어 사용 빈도 (2012 ~ 2022)'''|<(> || 우크라이나어 ||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 || 러시아어 || || 2012년 7월 || 41% || 21% || 37% || || 2013년 5월 || 43% || 21% || 36% || || 2014년 2월 || 44% || 17% || 38% || || 2014년 3월 || 44% || 18% || 36% || || 2014년 4월 || 48% || 21% || 30% || || 2014년 9월 || 43% || 23% || 33% || || 2015년 9월 || 46% || 21% || 32% || || 2015년 11월 || 44% || 24% || 31% || || 2016년 2월 || 45% || 21% || 32% || || 2016년 9월 || 46% || 21% || 31% || || 2017년 4월 || 45% || 22% || 32% || || 2017년 12월 || 46% || 22% || 31% || || 2018년 3월 || 48% || 24% || 27% || || 2018년 6월 || 51% || 22% || 26% || || 2018년 10월 || 51% || 19% || 27% || || 2018년 11월 || 45% || 29% || 25% || || 2019년 2월 || 46% || 27% || 26% || || 2019년 3월 || 50% || 29% || 21% || || 2019년 4월 || 47% || 29% || 24% || || 2019년 10월 || 48% || 27% || 24% || || 2019년 11월 || 50% || 26% || 24% || || 2020년 8월 || 46% || 29% || 25% || || 2020년 12월 || 49% || 30% || 20% || || 2021년 3월 || 48% || 27% || 23% || || 2021년 4월 || 47% || 28% || 25% || || 2021년 7월 || 46% || 32% || 21% || || 2021년 9월 || 45% || 28% || 27% || || 2021년 12월 || 46% || 27% || 26% || || 2022년 3월 || 48% || 32% || 18% || || 2022년 4월 || 51% || 33% || 15% || 2013년 [[유로마이단]], 2014년 러시아의 크름 반도 병합과 돈바스 전쟁, 2022년 전면전을 겪으면서 러시아어 사용자 수가 감소하고,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늘고 있다. 그 이유로는 러시아어 화자가 압도적으로 많은 크림 반도와 도네츠크, 루간스크 시가 떨어져 나감으로써 러시아어 화자가 물리적으로 감소했다는 점과 러시아어를 쓰던 우크라이나인들이 러시아에 대한 반감으로 인해 러시아어 사용을 중단하고 우크라이나어만 사용하거나, 최소한 두 언어를 같이 사용하게 되었다는 점이 꼽힌다. ||<-6> '''우크라이나 주요 도시 주민들이 집에서 사용하는 언어 (2018)''' || || 도시 || 우크라이나어 || 러시아어 ||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 || 기타 언어 || 대답하기 어려움 || || [[르비우]][br](Львів) || 89% || 5% || 6% || 0% || 0% || || [[테르노필]][br](Тернопіль) || 95% || 2% || 3% || 0% || 0% || || [[이바노프란키우스크]][br](Івано-Франківськ) || 95% || 1% || 3% || 0% || 0% || || [[루치크]][br](Луцьк) || 92% || 3% || 5% || 0% || 0% || || [[리우네]][br](Рівне) || 92% || 2% || 5% || 0% || 0% || || [[우주호로드]][br](Ужгород) || 73% || 4% || 22% || 1%^^[[헝가리어]]^^ || 0% || || [[체르니우치]][br](Чернівці) || 82% || 6% || 12% || 0% || 0% || || [[흐멜니츠키]][br](Хмельницький) || 75% || 6% || 18% || 0% || 0% || || [[키이우]][br](Київ) || 25% || 38% || 37% || 0% || 0% || || [[체르카시]][br](Черкаси) || 60% || 14% || 26% || 0% || 0% || || [[지토미르]][br](Житомир) || 51% || 20% || 29% || 0% || 0% || || [[빈니차]][br](Вінниця) || 67% || 7% || 26% || 0% || 0% || || [[폴타바]][br](Полтава) || 50% || 15% || 35% || 0% || 1% || || [[크로피우니츠키]][br](Кропивницький) || 28% || 25% || 46% || 0% || 0% || || [[수미]][br](Суми) || 19% || 12% || 69% || 0% || 0% || || [[체르니히우]][br](Чернігів) || 14% || 50% || 35% || 1%^^[[벨라루스어]]^^ || 0% || || [[하르키우]][br](Харків) || 3% || 81% || 16% || 0% || 0% || || [[드니프로]][br](Дніпро) || 9% || 57% || 34% || 0% || 0% || || [[자포리자]][br](Запоріжжя) || 4% || 48% || 48% || 0% || 0% || || [[헤르손]][br](Херсон) || 8% || 54% || 37% || 0% || 1% || || [[미콜라이우]][br](Миколаїв) || 6% || 59% || 35% || 0% || 0% || || [[오데사]][br](Одеса) || 4% || 79% || 16% || 0% || 0% || || [[마리우폴]][* [[돈바스 전쟁]]으로 인해 도네츠크 대신 마리우폴 시민들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진행하였다. 마리우폴은 우크라이나령 [[도네츠크주]]에 속한 도시 중 가장 인구가 많다.][br](Маріуполь) || 3% || 73% || 23% || 0% || 0% || || [[셰볘로도네츠크]][* [[돈바스 전쟁]]으로 인해 루한스크 대신 셰볘로도네츠크 시민들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진행하였다. 셰볘로도네츠크는 우크라이나령 [[루한스크주]]의 주도이다.][br](Сєвєродонецьк) || 2% || 78% || 20% || 0% || 0% || [[http://ratinggroup.ua/files/ratinggroup/reg_files/municipal_survey_2018_final_ua.pdf|#]] [[우크라이나어]](전체 인구의 약 67%가 사용)는 [[슬라브어파|동슬라브어파]]에 속하는 언어이기 때문에 [[러시아어]]와도 매우 밀접하다. 동부 지역과 남부 지역, 수도인 키이우에서는 오히려 러시아어가 더 널리 쓰인다 한다. 가까운 언어라서 그런지 우크라이나어로 말걸면 러시아어로 대답하고 그러는 일도 흔하다. 러시아어 사용자는 30%에 달한다. 우크라이나 민족보다 우크라이나어 사용자가 더 적은 편인데, 이는 우크라이나 민족이면서도 15% 정도인 554만 명은 러시아어를 쓰기 때문이다(전체 러시아어 사용자의 40% 가량을 차지). 또한, 우크라이나사람 대부분이 러시아어를 구사할 수 있다고 한다. 이 중 러시아어를 모국어처럼 쓸 줄 아는 경우에는 러시아와 가까운 동부와 남부지역, 키이우이고 동부와 남부지역의 주들에선 러시아어가 우크라이나어와 함께 지역공식어로도 지정되어 있다. 그리고 우크라이나에서 쓰이는 러시아어의 경우에는 우크라이나어의 영향을 받은 경우가 많고 우크라이나어에서 쓰이는 어휘도 사용되고 있다. 심지어는 발음조차도 우크라이나어에 영향을 받았을 정도로 г라는 문자를 h발음에 가깝게 발음하는 편이다.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와 매우 비슷하다보니 우크라이나의 도시와 동부지역에서는 [[수르지크]]라는 혼합언어가 생겨나기도 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지도에서 보듯 크림 반도와 일부 동부지역을 제외하면 우크라이나어가 강세인 지역이 많다. 인터넷 웹사이트나 학교/직장에서는 양쪽 언어 모두를 사용/병기 하는것이 일반적이다. [* 쇼핑몰, 개인 SNS/블로그, 뉴스기사 에서는 러시아어 위주로 사용한다.] 수도 키이우와 중부, 동부 도시에서는 민족주의자 또는 고위 공직자들을 제외하고는 일상생활에서 오직 우크라이나어만 사용하는 사람들이 그리 많지 않다. 그리고 우크라이나내 SNS에선 러시아어가 사용되고 있다.[[https://russkiymir.ru/news/280022/|#(러시아어)]] 흥미로운점은 2022년 들어서 국어보장법이 개정되어 선출직 정치인 (대통령/국무총리/도지사 포함), 안보/국방 기관 종사자, 국영기업의 대표자 (사장), 지역의 경찰/검찰/부패수사국 청장, 임용직 장관 등은 일정한 수준의 우크라이나어 시험에 통과해야만 자리가 주어진다. 직무 수행할때 러시아어 사용을 금지하는건 아니지만 높은 자리에 있는 공직자들이 자국 공용어를 구사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언론/의료/종교 분야, 하급 공무원, 개인사업 (민간기업), 아르바이트, 인터넷 커뮤니티 등의 경우는 해당사항이 없다. 하지만 전쟁이 장기화 될 경우 중앙정부에서 해당 규정의 적용 범위를 확대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자세한 내용 - [[https://m.blog.naver.com/headworker/222195469036|#]] 정치적으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사이가 좋지 않다보니, 많은 우크라이나인들이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가 서로 관계가 적고 오히려 [[서슬라브]] 쪽에 가깝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폴란드나 슬로바키아를 여행해 보면 현지 주민들이 하는 말을 이해하는데 아무 문제가 없고, 현지 주민들도 우크라이나어를 쉽게 알아 듣지만, 러시아에 가서 우크라이나어로 말하면 러시아인들이 이해하지 못하고, 따라서 이 두 언어가 정말 유사한지 의구심이 생긴다는 것이다. [[키이우 대학교]] 언어학과의 코스탼틴 티시첸코(Костянтин Тищенко) 교수는 우크라이나어의 문법과 음성학 상 82 가지 특성 목록을 작성했다. 이 목록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어는 벨라루스어하고는 29 가지,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하고는 23가지, 폴란드어하고는 22가지, 크로아티아어와 불가리아어하고는 21가지, 슬로베니아어하고는 20가지가 같고, 러시아어하고는 11가지가 같다.[* [[https://ukrainianinstitutenyc.wordpress.com/2015/08/28/ukrainian-and-russian-two-separate-languages-and-peoples/|Ukrainian and Russian: Two Separate Languages and Peoples]] ] || [[파일:attachment/Meeting_in_Kharkov.jpg]] || || Русский язык - не иностранный,[br]러시아어는 외국어가 아니며,[br]А мы - не иностранцы! [br]우리 또한 외국인이 아니다! || 독립 후 우크라이나어의 우위가 강조되면서, 러시아어를 주로 쓰는 주민들은 차별받는다고 느껴 러시아어를 제2공용어로 지정하자는 목소리를 내고 있지만 번번히 무산되었다. 그리고 러시아어를 포함한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96&aid=0000292039|소수민족어를 지역공식어로 인정하는 법률이 폐지]]되면서 인구의 10%이상이 사용하게 되면 지역 공식어로 정해졌던 소수민족어는 지역 공식어 지위를 박탈당할 뻔 했으나 투르치노우 대통령 권한대행이 해당 법안에 거부권을 행사했다. 그리고 [[2014년]] [[5월 20일]]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5856464|의회에서 다시 러시아어가 제2국어로 지정될 예정]]이었으나 2022년 10월 1일 기준으로 빠졌다.. 2014년 10월 3일에 르비우를 방문한 포로셴코 대통령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7165339|우크라이나는 영어에 특수지위를 부여해야 하고 제2외국어로 영어가 되어야 한다]]고 발언했다. 2015년 2월 3일, 포로셴코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7394477|우크라이나의 유일한 공식어는 우크라이나어가 될 것]]이라고 확언했다. 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여전히 러시아어 역시 많이 쓰이고 있다. 당장 TV 방송만 보더라도 국영 채널인 UA: 페르시(UA: Перший)만 우크라이나어 방송만 하며, 인테르(Інтер), [[1+1(텔레비전 채널)|1+1]], 우크라이나(Україна) 등의 주요 방송사들은 아직도 러시아어 방송을 내보낸다. 주로 뉴스의 경우 우크라이나어 뉴스와 러시아어 뉴스를 다른 시간에 배치하는 형식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같은 앵커가 러시아어로도, 우크라이나어로도 모두 진행한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정부가 최근(2017년)에 자국어 교육 정책을 강화하고 중등학교에서 교사가 우크라이나어만 사용하고 소수민족언어로는 가르치는 것을 금지한 법안을 통과시키자 러시아, 헝가리, 루마니아측은 반발했고 헝가리와는 외교갈등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9598186|#]] 거기에다 포로셴코는 러시아어로부터 우크라이나어를 지키는 것도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https://russkiymir.ru/news/242160/|#(러시아어 원문)]] 그리고 2018년 9월부터 르비우 주에서는 러시아어로 된 책이나 출판물, 프로그램 등이 금지되기까지 했다.[[https://www.unian.info/society/10266729-lviv-region-bans-movies-books-songs-in-russian-until-end-of-russian-occupation.html|#]] 또한, 우크라이나 정부는 푸틴의 동부 지역 주민들의 시민권 발급 간소화정책에 반발해서 포로셴코측에서 TV프로그램의 90%이상을 우크라이나어로 방영하고 공공문서에서 우크라이나어를 의무적으로 쓰게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3&aid=0003442874|#]] 하지만 젤렌스키 당선인은 반발했고 러시아도 비판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0788256|#]][[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277&aid=0004457385|#]] 그리고 우크라이나는 우크라이나어를 우크라이나의 유일한 국어로 지정하는 법안을 통과시켰고 대부분의 공적영역에서 우크라이나어를 의무적으로 사용시키고 그렇지 않으면 벌금을 물게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3&aid=0009232642|#]] 친러 성향의 야당은 반발해서 헌법재판소에 제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3&oid=001&aid=0010827890|#]]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와 갈등을 겪기 시작하면서 러시아어가 지역 공식어로 지정되었던 주들도 러시아어를 배제했다. 하지만 [[러시아]]와 인접해있는 일부지역에선 [[우크라이나어]]가 서툰 경우도 있고 일상생활에서 [[러시아어]]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상용어의 지위는 유지하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계기로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어가 모어였던 우크라이나인과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들이 러시아어 대신 우크라이나어만을 쓰기 시작했다.[[https://m.yna.co.kr/view/AKR20220413083900009?section=international/all|#]] 통계에서 보듯 약 3%의 주민은 우크라이나어도 러시아어도 아닌 언어를 제1언어로 한다. 주로 서쪽, 서남쪽 국경 지역에 그런 인구가 많다. [[루마니아어]](몰도바계 180,000명 + [[루마니아계 우크라이나인|루마니아계]] 140,000명 = 320,000명), [[크림 타타르어]](230,000명)과 [[헝가리어]](150,000명), [[불가리아어]](140,000명)가 대표적. 다만 몰도바계와 불가리아계는 러시아어를 쓰는 인구도 상당하다. 서부의 [[자카르파탸]] 주는 [[루신어]] 화자가 있다. 그 외에 도네츠크와 루한시크에 거주하는 [[그리스인|그리스계]]를 중심으로 [[https://en.wikipedia.org/wiki/Mariupol_Greek|마리우폴 그리스어]]란 그리스어 방언이나 [[우룸어]]를 쓰는 경우도 있다. 한편 민족어 사용빈도가 낮은 민족들도 있는데, [[폴란드계 우크라이나인|폴란드인]](144,000명)은 대다수가 비슷한 우크라이나어에 동화되어 100,000명 가량이 우크라이나어를 쓰고, [[유대인]](100,000명)과 [[아르메니아인#s-5.2]](90,000명)들은 각각 85,000명, 43,000명이 러시아어를 쓴다. 이렇게 우크라이나어도 러시아어도 아닌 제3의 언어를 쓰는 인구는 보통 우크라이나어를 잘 하지 못하며, 대체로 2010년대 이후의 우크라이나어 우선 정책에 불만이 있었던 편이다. 역사를 따지고보면 예를 들어 서부 [[자카르파탸]]의 [[헝가리어]] 인구는 원래 거기가 [[헝가리 왕국]] 땅이던 시절부터 살던 사람들이다. 그 뒤엔 우크라이나가 [[소련]]의 일부가 됐으므로 이 사람들은 민족 언어인 헝가리어 이외에 소통을 위해 하나를 더 배운다면 열 중 아홉은 우크라이나어 대신 소련 어디에서나 써먹을 수 있고 당시 우크라이나인들도 대부분 할 줄 알던 러시아어를 배웠기 때문에 우크라이나어를 모르거나 서툰 경우가 많은 것이다.[* 비슷한 사례는 우크라이나 외에도 구소련 어디에서나 일어났다. 예를 들어 [[고려인]]들이 소련 시절 [[우즈베키스탄]]에서 살더라도 [[우즈벡어]]보단 소련 전체의 공용어 러시아어를 배웠기 때문에 우즈벡 독립 이후 우즈벡어 중심적인 정책을 펴서 우즈벡어를 모르는 고려인이 살기가 힘들어졌다는 반응이 나온다.] 특이하게도 [[프랑코포니]]의 참관국에 가입되어 있다. 나라전체에 걸쳐저있는 반러감정 때문인지 [[영어]]교육이 중요시되는 분위기이며 젊은사람들은 대체로 영어를 잘하는편이다. 그리고 외국어도 중요시되는 반면 [[한국어]]를 배우거나 구사할줄 아는 우크라이나인들도 있다. == 교육 == [include(틀:우크라이나의 자치연구대학)] 소비에트 체제의 평등이념에 따라 전반적 교육 수준이 높은 편이지만, 독립이후 경제난의 영향으로 교육재정 또한 어려워 상당수 학교 폐교, 교사 직장이탈 현상이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대표적인 대학으로는 [[키이우 대학교]], [[하르키우 대학교]], [[키이우 공과대학교]] 등이 있다. 과거 구소련식교육인 11학제에서 미국식 학제인 4-5-3 학제(12학년제)로 교육 시스템을 전면 개편하는 교육 개혁을 실시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인 중등교육 개혁 국가로 인정받는 [[핀란드]]가 적극 지원하며, 600만 유로 지원에 합의를 했다. 변경된 새로운 학제의 적용은 기본단계 2018년 9월 1일부터, 기본중등단계 2022년 9월1일부터, 전문중등단계는 2027년 9월1일부터 순차적으로 단행할 예정이다. '''취학 전 교육(유치원)''' * 5~6세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취학전 교육기관으로 2010년 기준 해당 연령 아동 약 56%가 취학했다. '''중등교육''': 우크라이나의 중등교육은 초등, 중등, 고등학교 전체를 지칭하는 개념이다. * 제1수준: 초등학년(1-4학년) * 제2수준: 중등학년(5-9학년) * 제3수준: 고등학년(10-12학년) '''직업 교육학교''' * 직업학교(2년): 한국의 [[특성화고등학교]]에 해당. 직업 교육학교는 중등학년 9학년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현장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공업, 상업, 예술, 농업 학교 등에 입학하여 직업교육을 받는다. 한국에서는 [[특수목적고등학교]]로 분류하는 [[예술고등학교]]가 직업학교에 포함되기에 이를 특이하게 느끼기도 하는 듯. '''고등교육''' * 제1수준: 2-3년 과정의 전문대학 * 제2수준: 4년 과정의 단과대학, 음악대학, 종합대학 * 소련 시절에는 50%에도 못 미쳤으나, 독립 이후 빠르게 증가하여 2010년대에는 80% 이상의 학생들이 고등교육과정에 등록하고 있다.[[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SE.TER.ENRR?locations=UA|#]][* 단, 이 수치는 대학생 연령그룹에 대한 전체 대학교 등록자를 나눈 값이기에 외국인 유학생도 전부 포함된다. 예를 들어, 호주의 경우 110%를 넘는 식. 다만 우크라이나는 유학선호국가라고 보기는 어려우니 대충 감안하고 보면 될듯하다.] '''박사과정과 박사 후 과정''' * 박사과정은 3년이며 학위 취득 이후 박사 후 과정에 입학할 수 있다. 고등교육에서 취득할수 있는 기존 학위는 학사, specialist, 석사, 박사였으나 교육개혁 이후 구소련 학위인 'specialist' 는 없어질 예정이라고 하는데 2022년 10월1일 현재도 소식이 없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침공 당일인 2월 24일부터 각종 교육기관들이 운영을 중단했으나, [[키이우 전투]]가 끝난 4월부터 하나 둘씩 재개교하고 있다. 캠퍼스 대부분이 초토화 당한 [[하르키우 대학교]] 등도 운영을 재개하고 있다. == [[우크라이나군|군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크라이나군)] == [[/정치|정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크라이나/정치)] == [[/외교|외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크라이나/외교)] == 문화 == === 축구 === 축구에서는 변방국으로 인식되었으나, 자국 명문구단 [[디나모 키이우]]와 [[샤흐타르 도네츠크]]의 국제무대 선전과 [[올레흐 블로힌]]과 [[이고리 벨라노프]], [[안드리 셰브첸코]], [[올렉산드르 진첸코]]라는 국가적 영웅들이 등장, [[2006 독일 월드컵]]에는 처음으로 출전해 8강까지 올랐다. [[발레리 로바노브스키]]라는 UEFA 선정 축구 역사상 최고의 감독 10인에 선정되는 감독도 배출해냈다. 국대에 대해 자세한 것은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 참조. 우크라이나 여성들이 가장 원하는 배우자가 축구선수이다. 러시아가 크림 반도의 프로 축구단까지 자국 리그에 병합했다. 러시아 축구협회는 8월 1일 성명을 통해 크림반도에 있는 SKChF 세바스토폴, 젬추지나 얄타, 타프리아 심페로폴 등 3개 구단을 러시아 프로축구 리그에 편입시켰다고 밝혔다. 이들 우크라이나 클럽은 올 시즌 개막과 함께 러시아 3부 리그에서 활동하게 된다. 러시아는 올해 2월 우크라이나 크림 반도의 병합을 선언하고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축구협회는 러시아의 축구 클럽 병합에 강하게 반발했다. 협회는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월권행위를 저질렀다”고 성토했다. 그러면서 "축구에서 정치가 배제되기를 원한다."며 국제축구연맹(FIFA)과 유럽축구연맹(UEFA)의 제재를 촉구했다. FIFA는 축구의 순수성을 지키기 위해서 축구 경기나 행정에 대한 정치권력의 개입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다. 이 원칙을 어기는 회원국에 자격정지나 제명과 같은 제재를 가하기도 해 향후 대응이 주목되었지만 이 3개 구단주도 러시아계라든지 친러시아적인 태도를 이전부터 밝혀왔으며 다수 서포터들도 지지를 보내왔기에 문제시될 사항이 없는 걸로 알려졌다. 때문에 피파나 UEFA는 그다지 제재할 분위기를 보이지 않고, 이 3개 구단의 러시아 프리미어리그 승격 및 유러피언컵 진출여부도 인정하면서 더 이상 우크라이나로서도 뭐라고 할 말이 없게 되었다. 러시아는 [[2018 러시아 월드컵]] 본선 때 [[크림 반도]]에 참가국 베이스 캠프를 차리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2018년]] [[UEFA 네이션스 리그]]가 창설되자 2018-19 시즌 대회에서 우크라이나는 리그 B에 배정되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는 리그 B에서 사력을 다해 싸워서 리그 A로 승격에 성공했다! 이에 따라 [[유로 2020]] 예선에서도 유리한 고지에 오르고, 2020-21 시즌 대회에서는 프랑스, 네덜란드, 이탈리아 등 기존 축구강국이 즐비한 리그 A에 어깨를 나란히하게 되었다. 2021년 현재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와 같은 조로 배정받지 못한다. 그리고 [[UEFA 유로 2020]] 본선 C조에서 [[네덜란드]], [[오스트리아]], [[북마케도니아]]와 한조에 속하였고 결국 조별리그 통과를 하면서 16강전에서는 북유럽 최강이라고 불리우는 [[스웨덴]]을 연장 접전 끝에 도이비크의 결승골로 8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뤘다. 결국 8강에서는 그 대회의 준우승팀인 [[잉글랜드]]를 만나 4대0으로 대패해 마쳤으나, 이 기록은 우크라이나 역대 최고의 기록으로 남겨졌다. === 마인드스포츠 === 세계적인 [[체스]] 초강국이다. 현재 러시아에 이어서 세계 2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랜드 마스터]]를 74명이나 보유하고 있는 나라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맞붙는 체스 대회가 열리면 국민감정이 심하게 악화'''하기도 한다. [[유튜브]]를 통해 중계되곤 하는데 유튜브에서 우크라이나인과 러시아인 시청자가 서로 [[욕설]] 배틀을 하는 건 일상이다. 2003년 이후로 한국에서 바둑기사를 파견하여 [[바둑]]도 보급되어 있다. [[마리야 자하르첸코]] 初단은 한국에 유학와서 [[바둑기사]] 생활을 하고 있다. 마리야 初단의 말에 따르면 본인은 [[체스]] 프로를 지망했는데 우크라이나에 바둑이 들어와서 바둑을 해보니 체스보다 훨씬 재미있어서 [[바둑기사]]로 전업했다고 한다. 2017년 [[삼성화재배]] 때 우크라이나 현지에서 바둑을 배운 [[아르템 카차노브스키]] 아마6단이 한국에 와서 예선 성적을 내기도 했다. [[http://cyberoro.com/news/news_view.oro?num=523149&div_no=12|기사]]. 그리고 아르템 카차노브스키 선수는 2016년 유럽에서 치뤄진 프로 입단 대회에서 우승을 하며 입단을 하였다. === 올림픽 종목 === 하계 올림픽 강국이다. [[1996년 애틀란타 올림픽]] 9위, [[2004년 아테네 올림픽]] 13위, [[2008년 베이징 올림픽]] 12위, [[2012 런던 올림픽]] 15위의 성적을 올렸다. 동계 올림픽 기준으로는 2014년, 2018년에 금메달 하나씩을 땄다. 근연 관계의 이웃 국가인 [[벨라루스]]와 비교하자면 하계 올림픽 성적은 우크라이나가 훨씬 우위이지만, 동계 올림픽에서는 벨라루스가 훨씬 우위이다. [[복싱]]에 [[헤비급 챔피언]] [[비탈리 클리츠코]], [[볼로디미르 클리츠코]] 형제가 있다. 형 비탈리는 1999년 처음으로 WBO챔피언에 오른 뒤 통산 45승 2패 41KO를 기록하고 헤비급을 천하통일한 뒤 2012년 은퇴했다. [[1996 애틀랜타 올림픽]] 복싱 슈퍼헤비급 금메달리스트 출신인 동생 블라디미르는 그 후 헤비급 통산 2위의 타이틀 보유기록을 썼으며 WBA,WBO,IBF 헤비급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세계에서 가장 센 형제''' 중 하나이다. 형 비탈리는 복싱 은퇴후 현 야당인 우크라이나 개혁민주동맹당의 당수로서 정치에 참여하고 있으며 대통령 출마를 하기도 했다.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지지를 얻어 2014년 6월 키에프 시장에 당선되었다. 경량급에서 활약중인 세계적인 프로복서 바실 로마첸코도 우크라이나 출신이다. [[종합격투기]]에서는 90년대 무규칙격투를 주름잡았던 [[이고르 보브찬친]]이 대표적이다. 격투황제 [[에밀리아넨코 효도르]]와 그 [[동생]] [[에밀리아넨코 알렉산더]]는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으로 알려져 있다. [[펜싱]]으로도 알려져 있다. 지금 은퇴한 남자 플뢰레의 세르히 홀루비츠키는 [[김영호(펜싱)|김영호]]와의 1997년 세계선수권 결승전에서 연장혈투 끝에 금메달을 거미쥐었다. 3년 후 김영호와 홀루비츠키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 8강에서 만났는데, 홀루비츠키는 이 경기에서 5대 15로 대패한 뒤 그대로 은퇴하였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처음 선보인[* 개인전은 전 대회인 [[2004년 아테네 올림픽]]때 처음 등장하였다.] 여자 사브르 단체전의 초대 금메달리스트가 우크라이나 국가대표 선수들이다. 당시 올가 카를란[* 런던 올림픽 여자 사브르 개인전 시상식에서 [[김지연(펜싱)|김지연]]의 볼에 키스해 화제가 된 인물]가 마지막 바우트에서 맹활약을 펼친 것에 힘입어 홈팀인 중국을 1점차로 잡고 우승하였다. 바로 앞선 준결승전에서는 [[매리얼 재거니스]]를 필두로 사브르 개인전에서 금, 은, 동메달을 모두 휩쓴 당시 세계랭킹 1위 미국을 6점차로 꺾었고, 더 전으로 돌아가 8강에서는 현재 세계랭킹 1위(당시 세계랭킹 4위)에 군림하는 러시아를 꺾었다. 이후 카를란은 크게 성장하였고, 여자 사브르 내에서 가장 꾸준한 선수들 중 하나가 되었다. 여자 에페의 야나 솀야키나는 런던 올림픽 여자 에페 개인전 결승에서 독일의 브리타 하이데만을 연장전에 꺾고 우승하였다. [[리듬체조]]를 상당히 잘 하는 국가. 특히 90년대 초반엔 러시아가 부럽지 않을만큼 최정상의 지위를 누리기도 했다. 현재는 이 바닥 1인자인 러시아가 굳게 버티고 있고 점점 선수들의 질적 저하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한탄이 나오긴 하지만 아직까진 러시아, 벨라루스와 함께 리듬체조 빅3로 꼽힌다. || [youtube(uiigiNjcRqU, width=560, height=315)] || 야구도 한다. 세미프로 수준이지만 지역 팀간 리그가 있으며 유러피언 컵에도 수차례 진출할 정도로 실력이 나쁘지는 않은 편. 특이하게도 키로보흐라드 주의 야구팀인 Biotechkom-KNTU가 우크라이나 리그에서 22번이나 우승하고 유럽 대회에도 나갈 정도로 국가대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위 영상의 우크라이나 선수들도 Biotechkom-KNTU소속 선수들이다. 2019년에는 디비전 B에 속했다. === 영화 === === 게임 === 게임 매니아들에게 있어서 꽤나 각별한 나라이기도 하다. 동구권 한정으로 [[폴아웃 3]] 이상의 인기를 누리고 있는 [[FPS]][[RPG]] [[스토커 시리즈]]와 [[코삭(게임)|코삭 시리즈]]를 개발한 [[GSC Game World]]가 우크라이나 회사다. 또한, [[메트로 시리즈]]의 게임화를 맡은 4A 게임즈나 [[프로그웨어즈 셜록 홈즈 시리즈]]의 프로그웨어즈도 우크라이나를 기반으로 한 게임사들이다. 애석하게도 작년부터 벌어지고 있는 전란으로 인해 게임들의 개발이 중단되거나 본사들이 국외로 피신하고 있는 상황이다. === e스포츠 === [[e스포츠]] 실력이 우수한 나라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으레 블리자드 행사에서 스타크래프트에 출전하면 한국선수 상대로 꼭 한판정도는 이기는 스타 강국중에 하나이기도 하며, 그 외 워크래프트 3, 최근에는 스타크래프트 2까지 유럽 내에서는 우수한 게임 강국 중에 하나이다. 동구권에서 가장 유명한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DIMAGA]]가 우크라이나 출신. 인근 카자흐스탄, 러시아와 함께 [[카운터 스트라이크 시리즈]] 전통의 강국이다. 세계적인 프로게이밍 클럽인 [[Natus Vincere]]도 우크라이나 팀이다. 워크래프트3 유명 프로게이머로는 Foggy와 Sonik 이 있으며 둘다 유럽 최상위권의 나이트엘프 유저이다. 특히 Foggy는 2016 골드리그 챔피언십 시즌1에서 세계 최고의 오크 유저인 [[박준(프로게이머)]]을 꺾는 저력을 보였으며 워크대회 규모 로는 가장 큰 대회인 WCA2016의 유럽 예선 우승으로 그랜드파이널 진출을 확정 지었고 Sonik 또한 그랜드파이널 진출은 실패했지만 3위로 좋은 기록을 기록했다. 하스스톤 유명 프로게이머로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정상급 플레이어인 [[Cloud9]] 팀의 Kolento가 활동하고 있다. 2019시즌 스타크래프트2 WCS 써킷 이벤트를 우크라이나 키이우에서 두 번이나 개최한다. [[도타 2]]와 [[CS:GO]]로 유명한 대회인 [[StarLadder]]의 본사가 수도인 [[키이우]]에 위치해있다. === [[우크라이나 요리|음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크라이나 요리)] === 기타 === [[세계테마기행]][* '황금의 땅, 우크라이나, 3부 흑해가 품은 보석, 얄타'편 ]에 따르면, [[크림반도]]의 항구도시 [[얄타]]의 [[토박이]]들은 [[결혼식]]을 굉장히 간소하게 한다고 한다. 10여 명 이내의 하객이 올 뿐이다. 그리고 결혼 서약서에 서명하고, 법적인 효력을 발생하는 문서를 들고 기념 촬영하는 방식으로 결혼식을 진행한다. 사회자도 따로 없고, 정부 공인 주례사가 결혼식을 진행한다. 허례허식이 전혀 없다. 이와는 반대로 본토에서는 사치스러운 결혼식을 위해 꽤나 많은 돈과 시간을 투자하는 편이다. 이 나라 영화감독으로는 [[세르게이 로즈니차]]가 주목받고 있다. 특이하게도 [[벨라루스]] 출신이었다가 우크라이나로 이주해 성장한 사람이다.[* 더 비범하게도 이 사람은 원래 인공지능을 다루는 사이버네틱스 연구소에서 일하던 과학자다. 하지만 연구소를 그만두고 감독이 되었다고.] 본인은 딱히 국적을 구분짓는다고 하진 않았지만, 대체로 러시아에 비판적인 내용의 영화를 찍고 있다.[* [[유로마이단]] 다큐멘터리 공개 후 가진 인터뷰에서 유로마이단을 지지하는 뉘앙스의 발언을 했다.] 2014년 [[유로마이단]] 다큐멘터리를 시작으로 우크라이나 분쟁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빵을 들고 방문객을 환영하는 문화가 있는데 우크라이나뿐만 아니라 동유럽 지역의 풍습이다. [[접대의 관습#s-6.2]] 문서 참조.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2/2d/Rapid_Trident_2014_03.jpg|이미지]] 1960년대 영화 대장 부리바가 이곳 우크라이나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러시아 서적과 음악의 수입이 금지되었다고 한다. [[https://www.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206200939001|#]] 러시아 음악을 대중매체나 공공장소에서 연주 또는 공연하는 것도 금지되었다.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의 설명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에서 누군가의 뒤에서 몸을 터치하는 것은 상해를 입도록 폭행당해도 할 말이 없는 행동이라고 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37/0000354623?sid1=001|#]] == [[우크라이나인|우크라이나 출신 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크라이나인, 앵커=우크라이나인 인물)] [[러시아]] 인물로 알려진 명사들이 알고 보면 우크라이나 태생인 경우가 꽤 많다. 예술계로 예를 들면 문학가 [[니콜라이 고골]]과 음악가 [[니콜라이 카푸스틴]]과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가 그런 경우. 네오 클래시컬 메탈 장르에서 유명한 키보디스트인 비탈리 쿠프리(Vitalij Kuprij)도 여기 태생이다.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에밀 그레고로비치 길렐스]](오데사 출신),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스뱌토슬라브 리크테르/리히테르), [[마리아 그린버그]] 등의 러시아 출신 [[피아니스트]]로 알려진 이들이 우크라이나 출신. 특히 유대계가 많다. 또한 과학기술, 정계 등 다른 분야로 범위를 넓혀보면 이런 현상은 더욱 강하다. 우크라이나어를 러시아어 [[방언|사투리]] 따위라 했던 '''[[레프 트로츠키]]'''가 우크라이나 태생(다만 혈통은 독일계 유대인)이며, 소련 서기장도 둘이나 배출했다.[* [[니키타 흐루쇼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지금도 반서방/반우크라이나 성향을 드러내는 러시아 정치인들(특히 [[통합 러시아당]]) 중 우크라이나 출신이 꽤 섞여있다. 소련의 자랑인 우주개발사에서도 [[세르게이 코롤료프]]가 우크라이나 태생이다. 우크라이나 동부의 공업지대에도 항공우주공학 쪽의 업체들이 꽤 있었는데 우크라이나가 독립한 뒤 그 제작사들이 우크라이나 정부의 국유화 조치를 받았다. 이에 러시아의 [[미르 우주정거장|미르]] 프로그램이 심하게 뒤틀리며 미국과 손을 잡아야 했을 정도. 2015년 말 [[국제우주정거장]]에 체류중인 러시아 우주비행사 3인 중 두 명이 우크라이나 출신 러시아 군인들이다. 단, 현재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은 99.8%가 [[러시아어]]를 사용한다. * [[골다 메이어]] 키이우 태생 유대인. * [[나탈리아 포클론스카야]] 인터넷에서 화제가 되었던 일명 '우크라이나 동안 검찰총장'. 현재는 러시아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에서는 국가반역죄로 수배중인 매국노 취급이다. * [[니콜라이 고골]] 출생은 우크라이나이지만 활동은 러시아에서 했으며 러시아의 문학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고골 자신은 우크라이나어를 모국어로, 러시아어를 외국어로 생각했고 그의 작품들 중에는 우크라이나를 배경으로 하는것들도 많다. [[비이]]나 타라스 불바에서는 강한 우크라이나의 정취가 난다. * [[니콜라이 카푸스틴]] 우크라이나 홀리프카 출신 작곡가. 러시아에서 활동했다. * [[네스토르 마흐노]] 러시아 내전 시기 활동한 [[아나키스트]]. * [[다리아 빌로디드]] 우크라이나의 유도선수.2000년생 최연소 메달리스트로 [[도쿄올림픽 2020]] 유도 여자 -48kg 경기에서 동메달을 기록했다. * [[라이트 밸런스]] 댄스그룹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흐루쇼프와 달리 이쪽은 혈통까지 우크라이나인이지만 권력 상층부로 접근하면서 혈통을 러시아인으로 세탁했다. * '''[[레프 트로츠키]]''' * 루슬라나 스테파니우나 리지치코 '루슬라나'로 알려진 우크라이나 슈퍼스타 가수. 생모가 러시아인이다. * [[루슬란 말리노우스키]] 우크라이나의 축구선수 * [[릴리아나 노바]] * [[마리야 자하르첸코]] [[한국기원]] 소속의 바둑 기사. * 미하일 코건 [[오데사]] 출신의 유대계 우크라이나 소련인. 일본 게임회사 [[타이토]]의 전신이 되는 타이토양행의 창립자. * [[미콜라 마트비옌코]] 우크라이나의 축구선수 * [[밀라 요보비치]] 아버지는 [[세르비아]]인, 어머니는 러시아인이다. * [[밀라 쿠니스]] 부모 모두 유대계인 유대인이다. * [[바실 로마첸코]] 3체급 챔피언이자 전 WBC, WBA, WBO 라이트급 통합 챔피언. 아마추어 복싱에서도 올림픽 금메달 2회 연속 획득 및 396승 1패를 기록한 역대 최고의 아마추어 복서다. * '''[[발레리 로바노브스키]]''' UEFA 선정 축구 역사상 최고의 감독 10인 * [[발레리아 프로코펜코]] 2015년 [[오데사]] 주 시장 후보로 출마한 여성으로 뛰어난 외모로 인해 과거 미인대회 당시 촬영한 사진이 재조명받아 화제가 되기도 했으며, 선거를 며칠 앞두고 본인의 [[글래머]]러스한 몸매를 과시한 영상을 인터넷에 공개하기도 했다.[[https://youtu.be/9ABqik062Ic|영상 링크]] * [[발렌티나 리시차]]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제 6대 대통령 * [[블라다 니콜첸코]] 우크라이나의 리듬체조 선수 * [[유학소녀/참가자|블라다 시모넨코]] [[Mnet]]의 프로그램 중 하나인 [[유학소녀]]의 출연진이자 멤버. 현재 같은 멤버인 [[유학소녀/참가자|루나]]와 같은 지역으로 거주지를 옮긴 듯 보인다. * [[블라디미르 메딘스키]] 러시아 [[국가두마]] 의원으로 [[대한민국 국회]]와 친선교류에 앞장선 정치인. 반서방주의자이자 극도의 반공주의를 주장하며 [[블라디미르 레닌]] 시신의 매장을 주장하는등 여러모로 악명이 자자하다. 당연히 우크라이나인의 정체성은 거의 없는 러시아 민족주의자. 2012년 이후 러시아 문화부 장관으로 재직 중. * [[볼로디미르 클리츠코]] *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 [[비탈리 미콜렌코]] 우크라이나의 축구선수 * '''[[비탈리 클리츠코]]''' * [[빅토르 치한코우]] 우크라이나의 축구선수 * [[베르카 세르두치카]] [[스파이(2015년 영화)|스파이]]에서도 출연한 우크라이나의 코미디언 및 댄스 가수이다. * [[세르게이 로즈니차]] 굳이 따지자면 벨라루스계 우크라이나인이지만 당시엔 소련으로 묶여있던 시대라 본인은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고 한다. * [[세르게이 볼코프]] 2015년 하반기 현재 ISS에 체류 중인 우주비행사. 알렉산드르 볼코프와 함께 사상 최초의 부자 우주인으로 기록되었다. * [[세르게이 코롤료프]]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세묜 티모셴코]] *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 작가이다. 소련 시절 출생 했으며, 현재는 벨라루스 국적이다. *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 * [[안나 베소노바]]- 우크라이나의 前 리듬체조 선수. [[2004 아테네 올림픽]], [[2008 베이징 올림픽]] 동메달 * [[안나 리잣디노바]]- 우크라이나의 前 리듬체조 선수. [[2016 리우 올림픽]] 동메달 * [[아나스타샤 물미나]] * [[아나톨리 비쇼베츠]]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최초의 외국인 감독. 우크라이나 키이우 출신이다. * [[아나톨리 티모슈크]] 우크라이나의 축구선수 UEFA 컵과 UEFA 챔피언스 리그를 우승한 적이 있다. * [[안드레이 치카틸로]] * [[안드리 루닌]] 우크라이나의 축구선수 현재 [[레알 마드리드 CF]] 소속이다. * '''[[안드리 셰브첸코]]''' 말이 필요없는 우크라이나의 레전드 축구선수 * [[안드리 야르몰렌코]] 우크라이나의 축구선수 * [[안드리 퍄토우]] 우크라이나의 축구선수 * [[예우헨 코노플랸카]] 우크라이나의 축구선수 * [[알렉산드르 볼코프]] * [[알리나 막시멘코]] 우크라이나의 前 리듬체조 선수. [[2012 런던올림픽]] 결선 6위 * 알비나 데리우기나 우크라이나의 리듬체조 국가대표 코치, [[이리나 데리우기나]]의 어머니 * [[에밀 길렐스]] * [[에밀리 블롬]] * [[엘레오노라 로마노바]]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로 귀화한 리듬체조 선수이다. * [[올가 쿠릴렌코]] 우크라이나의 배우 * [[올레나 디아첸코]] 우크라이나의 前 리듬체조 선수, 2020 은퇴 * [[올레나 비트리첸코]] 우크라이나의 前 리듬체조 선수. [[1996 애틀랜타 올림픽]] 동메달. * [[올레나 시도르추크]] 한국에서 활동중인 우크라이나 출신 모델. * [[올레그 조크]] 우크라이나의 [[팔씨름]] 선수. 장애로 인해 생긴 일반인 보다 길고 비대한 근육으로 경량급의 체급으로 무제한급에서 활약한 선수이다. * [[올레흐 블로힌]] 우크라이나의 축구선수 출신 감독. [[이리나 데리우기나]]의 남편이기도 하다. * [[올렉산드라 티모셴코]] [[1988 서울 올림픽]] 동메달리스트이자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전 소련 겸 독립국가연합의 리듬체조선수. * [[올렉산드르 우식]] 복싱 역사상 최단기간 언디스퓨티드 챔피언을 기록하고 2023년 기준 P4P 랭킹 1위에 올라있는 복싱선수. * [[올렉산드르 진첸코]] 우크라이나의 축구선수로 레전드가 될 예정이다. * [[올렉산드르 코스틸리예프]]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 프로게이머로, [[s1mple]]로 더 잘 알려져 있다. * [[율리야 티모셴코]] * [[이고르 보브찬친]] * [[이고르 시코르스키]] * [[이고리 벨라노프]] * [[이리나 데리우기나]] 전 우크라이나 리듬체조 체조선수이자 현 우크라이나 리듬체조 국가대표 헤드코치 * [[이리나 블로히나]] 우크라이나 축구의 전설 올레흐 블로힌과 前 리듬체조 선수 이리나 데리우기나의 외동딸. 리듬체조 코치이자 안무가이며 인기 tv쇼의 mc로 활동하기도 했다. * [[Mazeppa|이반 마제파]] * [[이반 프란코]] * [[카롤리나 세바스티아노바]] [[러시아]]의 [[리듬체조]] 단체전 국가대표. * [[카테리나 세레브리안스카]] 우크라이나의 前 리듬체조 선수. 올림픽, 세계선수권, 유럽선수권을 한 시즌에 모두 석권한 최초의 선수이다.[[1996 애틀랜타 올림픽]] 종합 금메달 *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 [[타라스 스테파넨코]] * '''[[타라스 셰우첸코]]''' * [[트로핌 리센코]] * [[폴리나 라히모바]] [[현대건설 힐스테이트|현대건설 배구단]]의 외국인 선수 아버지는 러시아인 어머니는 우크라이나 인으로 아프가니스탄에서 태어났다. 국적은 아제르바이잔-우크라이나 이중국적. * [[파벨 포포비치]] 역대 8번째 우주인이자, 최초의 우크라이나 태생 우주인. 보스토크 3호와의 최초의 랑데부 비행 임무를 수행했다. 소련 해체 이후에는 러시아에서 살았지만 우크라이나에서도 영웅으로 대접받았으며 2009년 타계하자 양국에서 모두 애석하게 여겼다. * [[표도르 예멜리아넨코]] * [[휘렘 술탄]](록셀라나) [[오스만 제국]] 10대 황제 [[쉴레이만 대제]]의 황후. 우크라이나 출신 노예에서 [[오스만 제국]]의 황후가 된 그녀의 생애가 터키에서 [[위대한 세기]]라는 드라마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 [[니코카도 아보카도]] 언급된 인물들의 상당수가 [[러시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것을 알 수 있다. == [[우크라이나인#우크라이나인 캐릭터|우크라이나 국적, 출신 캐릭터]]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크라이나인, 앵커=우크라이나인 캐릭터)] == 기타 == * [[Big Rigs: Over the Road Racing]]의 모국이기도 하다. 개발사인 [[스텔라 스톤]]이 이 나라에 있기 때문. * [[드네프로페트로프스크 매니악]] * [[NCT U]]의 Boss 뮤직비디오의 모든 장면을 우크라이나에서 촬영했다. 그리고 실제로 해외 가수들의 뮤비의 상당수를 우크라에서 촬영했다 한다. 그리고 러우 전쟁으로 이 때문에 [[https://youtu.be/WHRY3N5MoPo|이런 운동]]까지 등장했다. * 2017년~2022년까지 [[크리스마스]]를 두 번 보내다가 2023년부터 12월 25일에 지낸다.[[https://m.yna.co.kr/view/AKR20230728166800108?section=international/all|#]] 대신 [[2월]], [[7월]], [[9월]], [[11월]]에는 휴일이 없다. [[대체 휴일 제도|대체휴일]]은 신정 ([[1월 1일]]), 국제 여성의 날 ([[3월 8일]]), 승리의 날 ([[5월 9일]]), 제헌절 ([[6월 28일]]), 독립기념일 ([[8월 24일]])에만 적용되는데 [[토요일]]과 [[일요일]]에 모두 적용된다. * 물가가 싸기로 유명한 나라이다. 한국 돈 10000원이면 맥도날드 빅맥을 5개 사고도 남는다고. * 21세기 들어 [[영국]], [[미국]], [[호주]] 등 수많은 영미권 선진국 사람들이 자국의 살인적인 병원비를 피하기 위해 여기로 와서 병원 치료를 받기도 한다. 일명 의료관광. 실제로 우크라이나의 [[임플란트]] 시술 비용은 호주의 1/10 수준이라 호주인들이 여행 겸 임플란트 치료를 받기 위해 방문하는 경우도 있다. 미국의 경우 살인적인 비용이 드는 [[IVF]] 시술 등의 의료 서비스를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을 들여서 받기 위해 우크라이나에 가는 사람들도 있을 정도이다. * 역사적으로 거대한 수난을 많이 당했다. [[우크라이나 대기근]],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에 심지어 현재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까지 초대형 재난을 많이 당했다. * 2023년 상반기에 러시아 외교관이 튀르키예 앙카라에서 열린 '''the Black Sea Economic Cooperation Parliamentary Assembly'''라는 행사에서 우크라이나의 [[https://twitter.com/NOELreports/status/1654165287493566466|국기를 모욕했다가]], 우크라이나 사람 Oleksandr Marikovsky한테 [[https://arca.live/b/singbung/75612672|주먹으로 맞았다]]. * 뮤지컬 '지붕 위의 바이올린'은 1905년 우크라이나의 유태인 농촌마을 아나테브카에서 벌어진 딸 부잣집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공교롭게도 2022년 4월에 개막했기에, [[러시아 혁명]]과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http://www.work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952|대비된다]]. > '''러시아 우크라이나 지방의 작은 유대인 마을, 아나테브카''' > 나라도 없고, 땅도 없이 이곳 저곳 떠도는 신세이지만 가족들을 진심으로 사랑하는 자상한 아버지이자 부지런히 일하는 우유 배달부 테비예는 선조들로부터 내려오는 전통을 중시하며 아내와 다섯 딸들과 함께 가난하지만 행복한 삶을 살고 있다. 중매로 결혼을 하는 민족의 전통대로 첫째 딸 자이틀을 부유하지만 나이 많은 정육점 주인에게 시집 보내려 하지만 자이틀이 이미 가난한 재봉사이자 소꿉친구인 모틀과 사랑에 빠졌다는 사실을 알고 딸의 행복을 위해 둘의 결혼을 승락한다. 둘째 딸 호틀은 세상은 바뀌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급진적인 혁명가 페르칙과 티격태격하다 사랑에 빠지게 된다. 테비예는 가난한데다 혁명운동으로 마을을 곧 떠나는 페르칙과의 결혼을 반대했지만 딸을 사랑하는 마음과 페르칙의 사람됨을 믿고 둘의 약혼을 허락한다. 유대인을 탄압하는 러시아의 군인인 피에드카와 사랑에 빠진 셋째 하바는 민족과 종교와 전통이 다른 피에드카와의 결혼을 반대하는 테비예를 피해 가출하고 몰래 결혼식을 올리고 만다. 러시아는 '아나테브카'에 ㅇ대인 추방명령을 내리고, 혁명운동을 하던 페르칙이 붙잡혀 '시베리아'로 유배갔다는 소식을 들은 호틀은 그를 찾아 시베리아로 떠난다. 자이틀과 모틀은 돈을 벌기 위해 바르샤바로, 하바는 피에드카와 함께 크라카오로 떠나고, 테비예와 마을 사람들은 유대인 추방 명령에 따라 자신의 고향, 추억과 같은 정든 땅을 두고 '아나테브카'를 떠난다. == 외부 링크 == * [[https://korea.mfa.gov.ua/ua|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 홈페이지]] == 둘러보기 == [include(틀:프랑코포니)] [[분류:우크라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