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우크라이나군]][[분류:나라별 해병대]] [include(틀:우크라이나군)] ||<-2> {{{#FFF {{{+2 '''우크라이나 해군 보병대'''}}}[br]'''Морська пiхота України[br]Ukrainian Marine Corps''' }}} || ||<-2> [[파일:우크라이나 해군 보병대 엠블럼.svg|width=200]] || ||<-2> {{{#FFF '''우크라이나 해군 보병대 모표(베레모에 부착되는 표식)'''}}} || ||<-2> [[파일:우크라이나 해군 보병대기.svg|width=220]] || ||<-2> {{{#FFF '''우크라이나 해군 보병대기''' }}} || ||<-2> {{{#black,#white '''항상 충실하게!'''[br] '''Вірний завжди! '''}}}[* [[미합중국 해병대]]의 구호 'Semper Fidelis!'를 자국어([[우크라이나어]])로 번역한 것이다.] || || '''창설년도''' ||[[1918년]] [[5월 23일]][br][[1993년]] [[2월 22일]] || || '''지휘체계''' ||우크라이나 국방부 || || '''기념일''' ||[[5월 23일]] || || '''상징색''' ||'''[[청록색|{{{#005c6c 청록색}}}]]''' (#005c6c) || || '''국가'''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30]] [[우크라이나]] || || '''소속''' ||[[우크라이나군]] || || '''군종''' ||[[해병대]] || || '''주임무''' ||연안방어, 상륙작전 || || '''전력''' ||6,000+명(1개 사단)[* 정확한 인원은 확인되지 않는다. 자세한 내용은 기사 참조.[[https://armyinform.com.ua/2021/05/23/morska-pihota-ukrai%CC%88ny-cze-ponad-7-tysyach-pidgotovlenyh-vmotyvovanyh-ta-gotovyh-vykonaty-najskladnishi-zavdannya-vijskovosluzhbovcziv-andrij-taran/|#]]] || || '''참전''' ||우크라이나 독립전쟁 [br] 우크라이나-소비에트 전쟁 [br]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br] [[돈바스 전쟁]] [br]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 '''링크''' ||[[https://www.facebook.com/UAmarines|[[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 ||<#000440><-2> '''{{{#FFF 지휘}}}''' || || '''총사령관''' ||유리 이바노비치 소돌 (Ю́рій Іва́нович Со́доль) 중장 || || '''본부'''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30]] [[우크라이나]] [[미콜라이우 주|미콜라이우]]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미콜라이우, 너비=100%, 높이=70%)]}}} || [목차] [clearfix] == 개요 == 우크라이나의 해병대. == 상세 == 우크라이나 해군 보병대(Морська піхота України, Ukrainian Naval Infantry), 또는 우크라이나 해군의 해군 보병대(Морська піхота Військово-морських сил Збройних сил України)는 우크라이나의 상륙작전 및 연안방어 임무를 수행하는 우크라이나의 [[해병대]]이다. 총 전력은 3개 여단과 1개 독립 연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부는 미콜라이우에 있다. 우크라이나 해병대는 해안 및 도서 지역 방어를 위한 수륙 양용, 공수 작전능력을 보유하였다. 우크라이나의 상황상 현재 우크라이나 해병대의 임무는 실질적으로 해안 및 도서 방어에 집중된다. 소련군 시절부터 해군 예하로 편제되어 해군 보병대(Морська піхота)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다른 나라 해병대가 흔히 그러하듯 해군에서 사실상 독립된 지휘체계를 따른다.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강제 병합과 돈바스 전쟁을 거치며 해병대는 대규모 개편 및 증원, 독립성 강화 조치를 받았다. 특히 2018년 대통령령으로 해군 보병대를 강화하였다. 2개 여단이 증설되어 규모가 확대되었고, 해군 보병대 고유 컬러가 제정되는 등 해군과 다른 독립성이 강화되었다. 이는 우크라이나 해군 전력으로는 러시아 흑해함대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없다고 판단, 해상 통제력보다는 해상을 통해 침투하는 적으로부터 육상의 거점을 방어하는 것으로 정책을 확정하였기 때문이다. 기존 소련 해군 보병대의 검정 베레모 역시 청록색으로 바꾸었다. 또 해병대의 정예화를 위해 징집병 충원을 중단하고 직업군인으로만 구성된 부대로 전환 중이었으나 현재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중단된 상태다.[* 대개 징병제 국가에서 해군과 공군은 직업군인들로만 이루어진 경우가 많다. 구 소련에서도 공수군에는 징집병 비중이 많았음에도 해군과 공군은 전원 직업군인(계약병) 신분의 인원들로 구성되었다. 이는 러시아도 마찬가지였고 14년도 이전의 우크라이나도 그러했다. 다만 우크라이나는 [[돈바스 전쟁]]으로 육상 병력이 많이 필요한 시점이었고 뒤 이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칭공으로 우크라이나 해군이 지상병력을 제외한 전 [[함대]]가 와해된 와중에 총동원령이 선포되니 해군 지상병력과 해병대에 징집병 비중이 차차 늘어간 것.] 해병대 병력 규모가 해군을 능가하게 됨에 따라 해군 보병대 사령관이 중장급으로 격상되었다. 원래 우크라이나 해군 보병대의 장교양성 과정은 없었고, 다른 부대에서 차출되어 오는 형식이었다. 하지만 2018년 이후 [[오데사]]에 위치한 우크라이나군 사관학교에서 2018년 6월 2일 첫 해군 보병대 장교를 배출한 이후 계속해서 오데사 사관학교에서 배출되고 있다. 해군 보병대 장교들은 사관학교에서 "공수, 산악 보병 및 해병" 과정 중 3학년에 공수부대원으로 수료할지 해군 보병으로 수료할지를 선택하게 되는데, 이 중 해군 보병대를 선택한 후 수료하면 정식으로 임관된다. 2023년 5월 23일, [[우크라이나 해군]]으로부터 별도 군종으로 독립했으며, 각 함대 단위로 분할되어 있던 지휘권들을 제1해병사단으로 통합했다. == 편제 == 2023년 5월 23일, 해군으로부터 독립되며 편제가 바뀌었다. * '''우크라이나 제1해병사단([[미콜라이우]])''' * 제80해병본부지원대대 * 해병대기본학교 * 제210해병훈련소 * 제35해병여단 * 본부지원중대 * 제18해병대대 * 제88해병대대 * 제136해병대대 * 제137해병대대 * 제2해병전차대대 * 제2수색중대 * 제2해병군수대대 * 제2해병전투공병대대 * 제2해병유지보수대대 * 제2해병방공유도탄포병대대 * 제35해병포병단 * 연대본부표적획득포대 * 제4해병야전자주포대대 * 제5해병로케트포병대대 * 제6해병대전차포병대대 * 제25해병포병정찰대대 * 정비포대 * 경비중대 * 공병중대 * 군수중대 * 통신소대 * 화학소대 * 저격중대 * 통신중대 * 화학중대 * 의무중대 * 헌병중대 * 전자전중대 * 방공레이더중대 * 제36해병여단 * 제37해병여단 * 제38해병여단 * 제7해병대공유도탄방어포병대대 * 제32해병로켓포병연대 * 제140수색대대 * 제360해병해안방어유도탄포병여단 * 제406해병포병여단 == 장비 == 전차([[T-64]]) 41대, 장갑차([[BTR-80]]) 160대, 자주포([[2S1 그보즈디카]]), 야포([[MT-12|MT-12 라피라]]) 47문을 보유하고 있다. == 기타 == == 둘러보기 == [include(틀:우크라이나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