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정당, rd1=진보사회당)] ||<-2> [[파일:우크라이나 진보사회당 로고.png|width=300]] || ||<-2> {{{#fff '''Прогресивна соціалістична партія України''' (ПСПУ)}}} || ||<-2> '''До Перемоги Завжди![br]항상 승리를 위하여!''' || || '''영문 명칭''' ||Progressive Socialist Party of Ukraine (PSPU) || || '''한글 명칭''' ||우크라이나 진보사회당 || || '''창당일''' ||[[1996년]] [[4월 20일]] || || '''금지일''' ||[[2022년]] [[3월 20일]] || || '''전신''' ||[[우크라이나 사회당]] || || '''대표''' ||[[나탈리야 비트렌코]] || || '''이념''' ||[[민족 볼셰비즘]][br][[유라시아주의]][br][[좌익대중주의]][br][[사회보수주의]][br][[범슬라브주의]][br][[유럽회의주의]][br][[친러]][br][[반미]][br]반[[우크라이나]] || || '''정치적 스펙트럼''' ||[[혼합정치]] || || '''당원 수''' ||2,654명 || || '''당 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921a1b; border: 1px #921a1b;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빨간색 {{{-2 (#921A1B)}}}}}}}}}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02fcf; border: 1px #002fcf;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파란색 {{{-2 (#002FCF)}}}}}}}}}|| ||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921a1b 최고 라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d 100%, #ddd 100%)" '''0석 / 450석'''}}} || || '''지방의회'''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d 100%, #ddd 100%)" '''0석 / 43,122석'''}}} || || '''당가''' ||[[http://vitrenko.org/img/audio/03Dmarsh%20pspu.mp3|진보사회당 행진곡]] || || '''국제조직''' ||[include(틀:전러시아 인민전선)] || || '''청년조직''' ||우크라이나 진보사회당 청년 근위대 (Молода гвардія ПСПУ) || || '''홈페이지''' ||[[http://vitrenko.org/| [[파일:우크라이나 진보사회당 로고.png|width=24px]]]] || [목차] [clearfix] == 개요 == '''우크라이나 진보사회당'''은 [[우크라이나]]의 [[친러]] 성향 정당이다. == 역사 == [[나탈리야 비트렌코]]를 비롯한 [[우크라이나 사회당]] 급진파 당원들이 1995년 10월 사회당을 탈당한 후 비트렌코를 주축으로 해 1996년 4월 20일 진보사회당을 창당했다. [[유럽연합]]의 대안으로 [[유라시아 경제 연합]]에 가입할 것을 공약하고 [[북대서양 조약 기구]]와 [[국제통화기금]]을 악의 축으로 규정하면서 1998년 총선에서 4.04%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에서 17석을 얻었다. [[1999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에서는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당수 [[나탈리야 비트렌코]]가 10.97%의 득표율로 4위에 안착했다. 이후 대표적인 반 [[레오니드 쿠치마|쿠치마]] 세력으로서 활동했다. 그러나 2002년 총선에서 3.22%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봉쇄조항]] 4%를 넘는 데 실패해 [[우크라이나 최고 라다]] 입성이 좌절되었다. 이후 친 쿠치마로 노선을 바꿔 [[빅토르 야누코비치]] 총리를 지지했으며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에서 1.53%의 득표율을 기록한 이후 결선에서 [[빅토르 야누코비치]] 후보를 지지했다. [[오렌지 혁명]] 이후 친러 정당인 [[데르자바]]와 연합해 반 [[빅토르 유시첸코|유셴코]] 세력으로 활동하며 2006년 총선에 참가했지만 2.93%의 득표율을 기록하는 데 그쳤고[* 0.07% 차이로 봉쇄조항에 미달했다. 이때 무효표와 아무 정당에 투표하지 않음을 제외하면 비트렌코 블록(진보사회당+루스)의 득표율은 3%를 넘겼고, 많은 단체와 정당들이 친러, 친서방 진영을 넘어 22%의 사표가 발생한 선거 방식을 비판하면서 비트렌코 측을 지지했다. [[빅토르 유셴코]] 대통령 역시 재검표의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끝내 재검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2007년 총선에서는 더 떨어진 1.32%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2010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에서는 [[우크라이나 사회당]]이 진보사회당에 좌파-중도좌파 세력 연합을 제안했으나 진보사회당은 이를 거부하고 나탈리야 비트렌코를 대선 후보로 추대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 선관위에 기탁금을 내지 않아 후보 등록이 무효가 되었고 대신 지역당의 [[빅토르 야누코비치]] 후보를 지지했다. 2010년 지방선거에서는 [[세바스토폴]]에서 3석을 얻는 데 그쳤다. [[https://www.pravda.com.ua/articles/2010/11/8/5552584/|#]] 2011년에는 [[블라디미르 푸틴]] 지지 정당들의 조직인 [[전러시아 인민전선]]에 가입했다. 2012년, 2014년 총선에는 참가하지 않았다. 2014년 [[동부 우크라이나 위기]] 당시 일부 당원들이 친러시아 반군 세력에 가담했고, [[파벨 구바레프]]는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의 국가원수 직이었던 인민의 주지사 직을 맡기도 했다. 2015년 6월 12일 다른 좌파-중도좌파 정당과 좌파 야권 연합을 구성했고 2015년 지방선거에 참가했다. 2022년 3월 20일 정당 활동이 금지되었다. [[나탈리야 비트렌코]] 대표는 이에 대해 항소했다. [[https://lb.ua/news/2022/06/14/520033_sud_zaboroniv_diyalnist_partiy.html|#]] 금지된 정당 중 최초로 항소한 사례이다. 2022년 [[러시아]]가 [[헤르손]]을 점령하고 세운 [[헤르손 군민정청]]에도 진보사회당 출신 인사들이 참여했다. 대표적으로 [[파벨 구바레프]]의 아내인 [[예카테리나 구바레바]]가 민정부장관을 맡고 있다. == 성향 == [[유럽연합]]의 대안으로 [[유라시아 경제 연합]]을 지지하고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 조약 기구]] 가입 반대 및 우크라이나 [[중립국]]화를 지지하며 [[러시아어]]를 우크라이나의 공용어로 삼을 것을 지지하는 등 [[친러]] 성향이 있다. 또한 [[빅토르 유셴코]] 대통령의 [[스테판 반데라]] 영웅화도 반대한 바 있으며, 당의 최대 지역 기반이 [[크림 반도]]와 [[세바스토폴]]인 등 친러 성향 유권자들을 지지자로 삼고 있다. [[민족 볼셰비키당]], [[유라시아당]]의 [[알렉산드르 두긴]]과도 친밀한 사이이다. [[분류:1996년 정당]][[분류:2022년 해체]][[분류:우크라이나의 없어진 정당]][[분류:혼합 정당]][[분류:좌익대중주의 정당]][[분류:사회보수주의 정당]][[분류:나무위키 정당 프로젝트]][[분류:러시아-우크라이나 관계]][[분류:친러 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