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우크라이나 관련 문서)] ||<-3> '''{{{+1 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br]Національна гвардія України(НГУ)[* ''엔-헤우''라고 발음한다.]''' || ||<-2> [[파일: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기.svg|width=100%]] || [[파일: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 엠블럼.svg|width=75%]] || ||<-2><#06458B> {{{#FFD800 '''깃발'''}}} ||<#06458B> {{{#FFD800 '''엠블럼'''}}} || || '''창설일''' ||<-2><(> [[1992년]] [[3월 26일]] || || '''국가''' ||<-2><(>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 || '''소속''' ||<-2><(> [[우크라이나 내무부]] || || '''모토''' ||<-2><(> Честь, Мужність, Закон[br]명예, 용기, 법 || || '''총사령관''' ||<-2><(> 올렉산드르 피우넨코 중장 || || '''참모장''' ||<-2><(> 공석 || || '''본부''' ||<-2><(> [[우크라이나]] [[키이우]] 아카데미카 보호몰챠 || || '''링크''' ||<-2><(>[[https://www.ngu .gov .ua /en|[[파일: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 엠블럼.svg|width=20]]]] | [[https://instagram.com/national_guard_of_ukrain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 [[https://twitter.com/ng_ukraine|[[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3]]]] | [[https://t.me/NGUkr|[[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width=23]]]] | [[https://youtube.com/@NG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목차] [clearfix] == 개요 == 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는 [[우크라이나 내무부]] 소속의 준군사조직으로 약 4만 6천 명 정도의 규모로 구성 되어있다. 명칭의 경우, 구소련권 특유의 작명센스 때문에 국가경비대, 국가방위대, 국가수비대, 국민위병 등 다양한 용어로 번역되고 있으나 일단은 '''국가근위대'''로 칭한다.[* [[가드]](Guard)를 뜻하는 단어 흐바르디야(гвардія)는 사전적으로 경비병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동슬라브어권에서 일반적으로 [[근위대]]를 뜻한다. 소련 시절에는 근위대라는 명칭이 일반 보병부대보다 잘 싸우는 정예부대에게 내려지는 칭호로 쓰였다. 게다가 이미 똑같은 단어를 쓰면서 한국에서 상대적으로 먼저 알려진 [[러시아]]의 [[러시아 국가근위대|로스 그바르디야(Росгвардия)]]가 국가근위대로 번역된 선례가 존재하므로 이를 맞춰 가는 것이 옳다고 볼 수 있다. 다만 근위대라는 단어가 독재정권스러운 네이밍이라서 별로 좋게 보지 않는 시선도 있다.] 국가근위대는 러시아를 비롯하여 구 공산권 국가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준군사조직이다. [[우크라이나 내무군]]이 전신이며, 2014년 [[유로마이단 혁명]] 및 러시아의 크림 반도 강제 합병을 계기로 국가근위대(NGU)로 개편, 통합되어 현재에 이른다. 동구권 군 편제에 익숙하지 못한 대중들에게는 [[우크라이나 국토방위군]](TDF)과 혼동되기도 하는데, 국토방위군은 국방부 산하에 편제된 [[예비군]]에 가깝고, 국가근위대는 내무부의 군사력인 [[내무군]]의 일종이다. == 역사 == [[우크라이나 내무군]]을 전신으로 하고 있지만, 2014년 [[유로마이단 혁명]] 및 러시아의 크림 반도 강제 합병을 계기로 국가근위대(NGU)로 개편, 통합되어 현재에 이르렀다.[* 이는 과거 내무군의 과도한 친러성향 때문이었다. [[빅토르 야누코비치]] 정권시기 내무군은 [[베르쿠트]]를 위시한 상당수의 병력이 친러시아 성향이 강한 동부 출신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래서 [[유로마이단]] 때 같은 나라 국민들을 상대로 눈 하나 깜짝 안하고 잔혹한 진압을 펼칠 수 있었던 것이다. 정권의 개 역할을 톡톡히 했던 내무군은 우크라이나 국민들의 증오를 살 수 밖에 없었고, 2014년 대통령에 당선된 [[페트로 포로셴코]]는 집권하자마자 전체적으로 대대적인 숙군작업에 들어가야만 했다. 사실 당시 우크라이나 정부조직 중에선 친러 성향 인물들이 없는 조직을 찾는게 더 힘든 상황일 정도로 골고루 분포되어 있었다. 다만 내무군은 그중에서도 유독 야누코비치에게 절대적인 충성을 바쳤고, TV와 인터넷으로 자국민을 때려잡는게 보도된 탓에 범국민적 분노를 일으켰다. 그래서 본보기로 아주 철저하게 털린 것. 물론 일부 대원들은 진압을 거부하거나 사표를 내고 시민들 편에 서는 등 양심선언을 하기도 했다.] == 참전 == *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 * 1992–94 크림 위기 *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 시위]] * [[돈바스 전쟁]]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편제 == * 서부작전영토사령부 * 북부작전영토사령부 * 중앙작전영토사령부 * 동부작전영토사령부 * 남부작전영토사령부 * --크림작전영토사령부[*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이후 해체됨.]-- * --제9독립여단-- * --제42독립작전연대-- * --제47특수임무연대 티그르-- * --제15독립대대-- * --제18특수차량화경찰대대-- === 의용부대 === * [[돈바스 대대|제2특수임무대대 '돈바스']] * 제4작전대대 '크룩' * 쿨치스키대대 * 드니프로-1연대 === 강습 근위대(Offensive Guard) === 아래는 강습 방위대로 창설/개편된 여단들이다. * [[아조우 여단]](구 아조우 연대) * 스파르탄 여단(구 국가근위대 제3작전여단) * 부레비 여단(구 국가근위대) * 루비즈 여단(구 국가근위대 제4신속대응여단) * 체르보나 칼리나 여단(구 국가근위대 제8작전연대) * 카라-다그 여단(구 국가근위대 제10작전연대) == 역대 총사령관 == [include(틀:역대 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 총사령관)] == 장비 == |||||||||||||| '''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의 전차''' || || 이름 || 종류 || 개발 국가 || 운용 수량 || 비축 || 추가 계획 || 형식 (수량) || || [[T-64]] || [[주력 전차|MBT]] || [[소련]], [[우크라이나]] || 100대 || - || || B1M(12), BV(44), B(44) || |||||||||||||||| '''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의 화포''' || || 이름 || 종류 || 개발 국가 || 운용 수량 || 비축 || 추가 계획 || 구경 || 기타 || || [[2S1]] || [[자주포]] || [[소련]] || ~ 60대 || || || 122mm || || || D-30 || [[견인포]] || [[소련]] || ~ 100대 || || || 122mm || || || T-12 || 견인포 || [[소련]] || ~ 50대 || || || 100mm || || || BS-3 || 견인포 || [[소련]] || ~ 10대 || || || 100mm || || |||||||||||||| '''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의 보병전투장갑차''' || || 이름 || 종류 || 개발 국가 || 운용 수량 || 비축 || 추가 계획 || 기타 || || [[BMP-2]] || [[IFV]] || [[소련]] || ~ 60대 || || || || || [[BMP-1]] || [[IFV]] || [[소련]] || ~ 100대 || || || || |||||||||||||| '''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의 병력수송장갑차''' || || 이름 || 종류 || 개발 국가 || 운용 수량 || 비축 || 추가 계획 || 기타 || || [[BTR-3]] || [[APC]] || [[우크라이나]] || 260대 || || || || || [[BTR-60]] || [[APC]] || [[소련]] || ~ 36대 || || || || || [[BTR-70]] || [[APC]] || [[소련]] || ~ 70대 || || || || || [[BTR-80]] || [[APC]] || [[소련]] || ~ 40대 || || || || |||||||||||||| '''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의 항공기''' || || 이름 || 종류 || 개발 국가 || 운용 수량 || 비축 || 추가 계획 || 기타 || || 안토노프 An-26 || 수송기 || [[소련]] || 15대 || || || || || 안토노프 [[An-72/74]] || 수송기 || [[소련]] || 2대+ || || || || || 안토노프 An-140 || 터보프롭기 || [[우크라이나]] || 2대 || || || || || 안토노프 [[An-148]] || 제트기 || [[우크라이나]] || || || || || |||||||||||||| '''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의 헬기''' || || 이름 || 종류 || 개발 국가 || 운용 수량 || 비축 || 추가 계획 || 기타 || || Airbus [[H225]] || 헬리콥터 || [[프랑스]] || 21대 || || || || || Eurocopter [[H125M|Fennec]] || 헬리콥터 || [[프랑스]] || ? || || || || || Eurocopter [[EC145]] || 헬리콥터 || [[프랑스]] || ? || || || || || Mil [[Mi-8]] || 헬리콥터 || [[소련]] || 4대 || || || || || Aerokopter AK1-3 Sanka || 헬리콥터 || [[우크라이나]] || ? || || || || == 기타 == * 기존 병력이 대부분 통폐합 되어 버려서 [[우크라이나 내무군]]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고 잘못 알려지기도 했는데, 실제로 내무군 자체는 주객이 전도되었을 뿐이지 계속 존치하고 있다. 내무군 휘하에 남아있는 부대들은 대부분 특수부대로 소수정예 편제로 변경되어 운용 중이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돈바스 전쟁을 국내 소요사태로 규정했기 때문에 이들 역시 친러 반군인 [[도네츠크 인민 민병대]], [[루간스크 인민 민병대]] 진압임무에 투입되었다. == 참고링크 == * [[https://en.wikipedia.org/wiki/National_Guard_of_Ukraine|(영어 위키백과) 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 * [[https://uk.wikipedia.org/wiki/%D0%9D%D0%B0%D1%86%D1%96%D0%BE%D0%BD%D0%B0%D0%BB%D1%8C%D0%BD%D0%B0_%D0%B3%D0%B2%D0%B0%D1%80%D0%B4%D1%96%D1%8F_%D0%A3%D0%BA%D1%80%D0%B0%D1%97%D0%BD%D0%B8#%D0%92%D1%96%D0%B9%D1%81%D1%8C%D0%BA%D0%BE%D0%B2%D1%96_%D1%87%D0%B0%D1%81%D1%82%D0%B8%D0%BD%D0%B8|(우크라이나 위키백과) 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 [[분류:우크라이나 국가근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