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nclude(틀:로마자 표기법)] == 개요 == {{{+1 郵政式拼音 / Chinese postal romanization}}} 중국어 [[병음]]의 일종으로, 중국 대륙에서 [[한어병음]]을 도입하기 전에 지명 표기에 썼던 로마자 표기법이다. 단어 그대로 청나라 말기에 우편과 전신에 사용하는 표준 로마자 표기법으로 도입된 것이다. 이 표기법은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 기초하되, 몇몇 지명들은 고어, 방언 등을 고려해서 [[Case by case|케바케]]로 변형하여 정한 것이다. 이는 서양 사람들에게 그나마 [[관화|만다린]]보다 익숙했던 [[광동어]] 등의 남부 방언을 고려해 표기를 정하거나 서양 사람들이 이미 정착시킨 표기를 그대로 사용하는 등 전반적으로 당시 서양 사람들에게 익숙하도록 표기를 결정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어 발음을 1:1로 로마자로 옮겨 적는 표기법은 아니다. 일반적인 '병음'이나 '로마자 표기법' 개념과는 차이가 있지만 일단은 편의상 우정식 '병음'이라고 부르고 있다. [[베이징]]을 과거에 Peking으로 적은 것도 우정식 병음에 따른 것이다. j가 아니라 k인 이유는 위에서 언급한 대로 당시 서양 사람들에게 그나마 익숙한 [[광동어]]나 민남어 등의 남부 방언 발음의 전사 표기나 만다린의 구개음화를 반영하지 않은 표기[* ㄱ계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은 발음이 많다. 즉 '지, 치'가 '기, 키'에 가깝게 발음되었다. 북방 만다린의 구개음화가 일어난 건 1세기 정도밖에 되지 않았고, 관화의 일종인 산동 방언은 아직도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가 우정식 병음에 그대로 수용되었기 때문이다. Peking이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이라고 착각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정작 北京을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 따라 적으면 Pei³-ching¹이 된다. [[대만]]에서는 아직도 일부의 지명을 이 방식으로 표기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지룽]](Keelung), [[진먼]](Kinmen/Quemoy), [[단수이]](Tamsui) 등이 있다. 한편 홍콩에서 중국 대륙 지명을 딴 길 이름의 영문 표기에서도 쓰인다. Peking Road라든지. 그리고 중국 본토에서도 [[베이징대학]](Peking University)처럼 지명을 딴 역사가 깊은 고유명사에서 우정식 병음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들이 있다. 쑤저우대학도 Soochow University이며 이 대학의 동문과 교수진들이 대만에서 쑤저우대학의 원래 이름으로 설립한 둥우대학(東吳大學) 또한 Soochow University로 쓰고 있다. 우정식 병음의 표기법으로서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하면 '''규칙이 없다'''는 것. [[중국 대륙]](본토)에서 우정식 병음을 폐지하게 된 것도 그 극심한 불규칙성 탓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규칙성이 너무 없으니 중국어 발음을 알아도 여기에 대응되는 우정식 병음 표기를 쉽게 짐작할 수가 없다. 그래서 따로 영문으로 주소를 써서 중국 내 각 지역으로 우편을 부치려면 중국어 지명 표기와 우정식 병음 간의 대응 관계를 정리한 자료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이 따랐다. == 표기 예 == 아래 표에서 [[광동어]]는 [[월병(광동어)|월병]]으로, [[민남어]]는 [[백화자(민남어)|백화자]]로 적었다. ||<|2> 지명 ||<|2> 우정식 병음 |||| [[표준중국어]] 발음 ||<|2> 비고 || || [[한어병음]]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關東 관둥(관동)[* [[만주]]의 다른 이름.] ||Kwantung ||Guāndōng ||Kuan¹-tung¹ ||[[관화]] 발음의 웨이드-자일스 표기 수정 || ||<|2>廣東 [[광둥성|광둥]](광동)||Canton[* 이 철자는 [[광저우]] 시를 가리킬 때 쓰기도 한다. [[광동어]]를 뜻하는 영어 Cantonese가 여기서 파생된 어휘이다.] ||<|2>Guǎngdōng||<|2>Kuang³-tung¹||[[영어]] 사용자가 [[몬더그린|적당히 비슷하게 옮긴 표기]][* 마침 영어에 canton([[스위스]]의 주·州)이라는 단어가 있어서 여기에 이끌린 것으로 보인다.] || ||Kwangtung ||관화 발음의 웨이드-자일스 표기 수정[* 광동어로는 Gwong2dung1으로 읽힌다.] || ||貴州 [[구이저우]](귀주)||Kweichow||Guìzhōu||Kuei⁴-chou¹||관화 발음의 웨이드-자일스 표기 수정 || ||南京 [[난징]](남경)||Nanking||Nánjīng||Nan²-ching¹||관화 발음에 고어 발음 참고 || ||淡水 [[단수이]](담수)||Tamsui||Dànshuǐ||Tan⁴-shui³||[[민남어]] Tām-súi|| ||熱河 [[러허성|러허]](열하)||Jehol||Rèhé||Jê⁴-ho²|| || ||北京 [[베이징]](북경)||Peking||Běijīng||Pei³-ching¹||관화 발음에 고어 발음 참고 || ||北平 [[베이핑]](북평)*[* 중화민국에서 [[난징]]을 수도로 삼게됨에 따라 베이징을 일반 도시로 강등시키고 쓰는 명칭. 지금도 [[대만]]에서 명목상 [[중국 대륙]]에 [[대만/영유권 주장 지역|설치해 둔 행정구역]]상으로도 베이징이 아니라 베이핑이다. 다만 냉전 시대에도 대만에서 나온 영문판 중국/세계 지도는 베이핑을 Peiping이 아닌 Peking으로 표기했다.]||Peiping||Běipíng||Pei³-ping²||관화 발음[* 베이징과 달리 베이핑은 현재의 관화 발음을 웨이드 자일스식 그대로 표기했다. 베이징보다 나중에 쓰이기 시작해 로마자화되었기 때문에 [[노국음]]이 아닌 현재의 표준 발음인 신국음대로 적힌 것이다. 다만 베이핑(북평)이라는 지명 자체는 고대부터 쓰였던 명칭이긴 하다.] || ||山西 [[산시성(산서성)|산시]](산서)||Shansi||Shānxi||Shan¹-hsi¹||[* 바로 아래의 [[산시성(섬서성)]]과 혼동될 수 있는데, 상세한 내용은 [[산시성]] 문서 참고. 참고로 오늘날 산시성(산서성)을 [[영어]] 등 외국어로 표기할 때 성조 부호를 생략한 한어병음 Shanxi 그대로 적고(참고로 [[국어라마자]] 표기법대로 적으면 Shanshi로 적히는데 현재 이 표기는 잘 안 쓰인다), 산시성(섬서성)을 첫 음절만 [[국어라마자]] 표기법대로 쓴 Shaanxi로 적어서 양자를 구분하는 경우가 많다. 산시성(섬서성)의 표기에 대해서는 다음 주석 참고.][br]西는 보수적 관화 발음[*西 중화민국 초창기에 제정된 [[노국음]](老國音)이나, 관화 내 보수적 발음 체계를 가진 방언들에 따르면 첫 음절이 웨이드식 표기법으로 hsi¹(한어병음: xī '씨'와 비슷)이 아니라 구개음화 안 된 si¹(한어병음 응용: siī. 굳이 적자면 '씌' 정도의 발음)으로 발음된다.] || ||陝西 [[산시성(섬서성)|산시]](섬서)||Shensi||Shǎnxi||Shan³-hsi¹||[* 바로 위의 [[산시성(산서성)]]과 혼동될 수 있는데, 상세한 내용은 [[산시성]] 문서 참고. 참고로 오늘날 산시성(섬서성)을 영어 등 외국으로 표기할 때 첫 음절을 [[국어라마자]] 표기법대로 쓰고 두 번째 음절을 성조 부호를 생략한 한어병음 표기대로 적어 Shaanxi로 적어서(참고로 모든 음절을 국어라마자 표기법대로 적으면 Shaanshi가 되는데 현재 이 표기는 잘 안 쓰인다), 한어병음에서 성조 부호만 뗀 Shanxi로 적는 산시성과 구분하는 경우가 많다.][br]西는 보수적 관화 발음[*西] || ||汕頭 [[산터우]](산두)||Swatow||Shàntóu||Shan⁴-tʻou²||민남어 Sòaⁿ-thâu|| ||廈門[* 중국 대륙의 번체자([[정체자]])로는 厦門. 중국 대륙에서는 원칙적으로 [[간화자]]를 쓰지만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번체자의 표준 자형도 정해 놓고 있다.] [[샤먼(도시)|샤먼]](하문)||Amoy||Xiàmén||Hsia⁴-mên²||민남어 Ē-mûiⁿ|| ||深圳 [[선전시|선전]](심천)||Shumchun||Shēnzhèn||Shên¹-chên⁴||광동어 Sam1zan3|| ||寶安 바오안(보안)[* [[선전시]]의 옛 이름이다. 선전은 본래 선전시 승격 전에 현정부 소재지였던 바오안현 산하 진(鎮)의 이름이었다. 참고로 청대의 명칭인 신안(新安)은 유래를 짐작하기 쉽지 않은 Sunon(광동어로는 San1on1이라 발음한다)으로 표기되었다.]||Poon||Bǎo'ān||Pao³-an¹||광동어 Bou2on1|| ||新疆 [[신장 위구르 자치구|신장]](신강)||Sinkiang||Xīnjiāng||Hsin¹-chiang¹||보수적 [[관화]] 방언의 발음 체계,[br]관화 발음에 고어 발음 참고.[* Sin은 옛 표준음인 노국음(老國音)에서 구개음화되지 않은 발음(굳이 한글로 비슷하게 적자면 '씐')을 반영한 것이고, kiang은 고어에서 구개음화되지 않은 발음을 반영한 것이다.] || ||迪化 [[우루무치시|디화]](적화)||Tihwa||Díhuà||Ti²-hua⁴||관화 발음의 웨이드-자일스 표기 수정|| ||歸綏 [[후허하오터시|구이쑤이]](귀수)||Kweisui||Guīsuí[* 대만에서는 Guīsuī로 읽는다.]||Kuei¹-sui²||관화 발음의 웨이드-자일스 표기 수정|| ||新京 [[창춘시|신징]](신경)*[* [[일본 제국]]의 [[괴뢰국]]인 [[만주국]]에서 [[창춘시|창춘]]을 수도로 삼고 개칭한 이름. 물론 중화민국이나 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만주국을 부정하므로 명칭 변경이 있었다는 것도 부정한다.]||Hsinking||Xīnjīng||Hsin¹-ching¹||관화 발음에 고어 발음 참고[* 단 [[노국음]]이 폐지되고 현재의 신국음이 쓰이던 시절에 로마자화된 탓에 新 부분은 노국음대로인 Sin이 아니라 신국음대로 Hsin으로 표기했다. 하지만 京 부분은 난징(Nanking), 베이징(Peking)의 사례를 그대로 따라서 고어 발음대로 king이라 적었다. 따라서 Hsinking이라는 표기 안에 현재 발음과 옛 발음이 혼재돼 있어서 표기 방식에 일관성이 없다.] || ||四川 [[쓰촨성|쓰촨]](사천)||Szechwan||Sìchuān||Ssŭ⁴-chʻuan¹||관화 발음의 웨이드-자일스 표기 수정 || ||佳木斯 자무쓰(가목사)||Kiamusze||Jiāmùsī||Chia¹-mu⁴-ssŭ¹||관화 발음의 웨이드-자일스 표기 수정,[br]관화 발음에 고어 발음 참고,[br][[만주어]] Giyamusi에서 유래|| ||湛江 잔장(잠강)||Tsamkong||Zhànjiāng||Chan⁴-chiang¹||광동어 Zaam3gong1|| ||基隆 [[지룽]](기륭)||Keelung||Jīlóng||Chi¹-lung²||관화 발음에 고어 발음 참고|| ||吉林 [[지린성|지린]](길림)||Kirin||Jílín||Chi²-lin²||[[만주어]] Girin ula[* 중국어 음역으로는 吉林烏拉/吉林乌拉. 중국어 명칭의 유래도 이것이다.]의 축약에서 유래|| ||<|2>金門 [[진먼]](금문)||Kinmen ||<|2>Jīnmén||<|2>Chin¹-mên²||관화 발음에 고어 발음 참고|| ||Quemoy||민남어 Kim-mûi + [[포르투갈어]] 번역 || ||錦州 [[진저우]](금주)||Kinchow||Jǐnzhōu||Chin³-chou¹||보수적 관화 방언의 발음 체계,[br]관화 발음에 고어 발음 참고|| ||青島[* 한국의 전산 처리에서 주로 쓰는 한자 표기, [[강희자전]]체, [[일본]] [[구자체]] 표기는 靑島.] [[칭다오]](청도)||Tsingtao[* [[칭따오(맥주)|칭따오 맥주]]도 이 표기를 쓴다.]||Qīngdǎo||Chʻing¹-tao³||보수적 관화 방언의 발음 체계[* 중화민국 초창기에 제정된 노국음(老國音)이나, 관화 내 보수적 발음 체계를 가진 방언들에 따르면 첫 음절이 웨이드식 표기법으로 chʻing¹(한어병음: qīng '칭'과 비슷)이 아니라 구개음화 안 된 tsʻing¹(한어병음 응용: cīng. 굳이 적자면 '칑' 정도의 발음)으로 발음된다. [[중국 대륙]]과 [[대만]]에 있는 두 (국립)[[칭화대학]]도 같은 원리를 따르는데, 중국 대륙의 칭화대학은 Tsinghua University로, 대만의 국립칭화대학은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로 적힌다.] || ||泉州 [[취안저우]](천주)||Chinchew||Quánzhōu||Chʻüan²-chou¹||장저우(漳州)의 민남어 발음 Chiang-chiu가 와전 || ||天津 [[톈진]](천진)||Tientsin||Tiānjīn||Tʻien¹-chin¹||보수적 관화 방언의 발음 체계[* 중화민국 초창기에 제정된 노국음(老國音)이나, 관화 내 보수적 발음 체계를 가진 방언들에 따르면 첫 음절이 웨이드식 표기법으로 chʻin¹(한어병음: qīn '친'과 비슷)이 아니라 구개음화 안 된 tsʻin¹(한어병음 응용: cīn. 굳이 적자면 '칀' 정도의 발음)으로 발음된다.] || ||福州 [[푸저우시|푸저우]](복주)||Foochow||Fúzhōu||Fu²-chou¹||관화 발음의 웨이드-자일스 표기 수정 || ||<|2>福建 [[푸젠성|푸젠]](복건)||Fukien ||<|2>Fújiàn ||<|2>Fu²-chien²||관화 발음에 고어 발음 참고|| ||Hokkien[* 민남어의 영어 명칭도 Hokkien이다.] ||민남어 Hok-kiàn || ||河北 [[허베이 성|허베이]](하북)||Hopeh||Héběi||Ho²-pei³||보수적 관화 방언의 발음 체계[* 중화민국 초창기에 제정된 노국음(老國音)이나, 관화 내 보수적 발음 체계를 가진 방언들에 따르면 두 번째 음절이 웨이드식 표기법으로 pê(한어병음: be)에 해당하는 발음을 [[입성]](入聲)으로 읽은 음절이 된다. 그런데 관화의 입성에서는 음성적으로 [[성문음|성문]] [[파열음|폐쇄음]] [ʔ\]이 맨 뒤에 첨가돼서 발음된다. 로마자 표기에서 이것을 h로 옮기는 경우가 있다. 중국어의 어떤 방언에서든 음절 끝에서 ㅎ 발음([h\] 또는 [x\])이 나는 경우가 없으니 음절 말의 성문 폐쇄음을 표기하는 기호로도 사용한 것. 따라서 peh라는 표기는 pê([[diacritic|보조 부호]]를 생략해서 pe)의 입성([ʔ\] h) 발음을 웨이드식을 응용하여 나타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타이베이]]의 [[독일어]] 표기 Taipeh도 같은 원리에 따라 나온 철자이다.] || ||惠州 [[후이저우시|후이저우]](혜주)||Waichow||Huìzhōu||Hui⁴-chou¹||광동어 Wai6zau1 || [[https://en.m.wikipedia.org/wiki/Chinese_postal_romanization#/media/File%3A1947_Zhonghua_Minguo_Quantu.png|1947년 발행된 중화민국 전도. 로마자 표기가 모두 우정식 병음이다.]]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을 변형해서 우정식 병음 표기로 채택한 경우, ssŭ([[주음부호|ㄙ]])를 sze로 고치고 복합운모(複合韻母)에서 운두(韻頭)로 쓰인 u([[주음부호|ㄨ]])와 운미(韻尾)로 쓰인 u[* ou([[주음부호|ㄡ]])의 마지막 음소.]를 w로 고치는 대응 규칙이 확인된다. 오늘날도 대만에서 '중화(中華, 한어병음: Zhōngh'''u'''á, 웨이드 자일스 표기법: Chung¹-h'''u'''a², [[주음부호]]: ㄓㄨㄥ ㄏ'''ㄨ'''ㄚˊ)'를 음역할 때 Chungh'''w'''a[* 최근 대만의 [[범록연맹]] 일각에서 중화민국의 영문 국호를 Republic of China에서 Republic of Chunghwa로 바꾸자고 주장하며 중화인민공화국과 별개의 국가임을 강조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타이완 독립운동]] 문서의 [[타이완 독립운동#절충안|절충안]] 단락을 참고할 것.]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는데(예: [[중화우정]]=Chungh'''w'''a Post, [[中華電信|중화전신]]=Chungh'''w'''a Telecom) 이것도 우정식 병음의 표기 관행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단, 지명은 아니지만 칭화대학(중국 대륙)/국립칭화대학(대만)의 영문 표기인 Tsingh'''u'''a Uniersity와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의 경우 운두 u를 w로 고치는 관행을 따르지 않았다.] 그리고 i 모음 앞에서 현행 표준 음이 아닌 노국음이나 아니면 그보다 더 고어형인 표기도 보이는데, 표준중국어 발음과 [[한국 한자음]]을 함께 안다면 우정식 병음 표기가 무엇일지 대략적으로 짐작할 수 있다. 한국 한자음에서 치음(ㅅㅈㅊ) 계열인 경우 모음이 i로 시작해도 구개음화된 설면음 ch(ㄐ, 한어병음: j), chʻ(ㄑ, 한어병음: q), hs(ㄒ, 한어병음: x)이 아닌 구개음화되지 않은 설치음 ts(ㄗ, 한어병음: z), ts(←tsʻ; ㄘ, 한어병음: c), s(ㄙ, 한어병음도 s)로 적히는데 이것은 노국음을 반영한 것이다. 또, 한국 한자음에서 ㅣ 모음 앞에 ㄱ[* 한국 한자음에서는 본래 /ㅋ/로 발음됐을 법한 초성이 무슨 이유에서인지 일제히 /ㄱ/로 통합되었다. 단 '쾌'(예: 快, 噲)라는 음절만 예외로 /ㅋ/를 유지하고 있다.]이 오는 경우 역시 구개음화된 설면음 ch(ㄐ, 한어병음: j), chʻ(ㄑ, 한어병음: q) 대신 설근음 k(ㄍ, 한어병음: g), k(←kʻ; ㄎ, 한어병음도 k)을 써서 고어 형태를 유지한다. 단 한국 한자음에서 ㅣ 모음 앞에 ㅎ이 오는 경우 설면음 hs(ㄒ, 한어병음: x)는 설근음/후음[* 역사적으로는 후음(喉音: 성문음)이었다.] h(ㄏ, 한어병음도 h)으로 바꾸지 않는다[* 단, [[몽골어]]나 [[만주어]] 등 소수 민족 언어가 어원인 경우는 h로 적힐 수 있다. 이 점은 한어병음이 쓰이는 현재도 같다. 현재 [[중국 대륙]]에서 지명을 표기할 때 중국어라는 인식이 희박한 지명들은 한어병음에 의거하지 않고, 원어에 가깝게 표기한다.]. 또한 Hope'''h'''(허베이)처럼 -h 표기가 자주 보이는데, 이건 위 표의 주석에서 설명했듯이 노국음이나 난징 방언의 입성(入聲) 발음에 수반되는 [[성문음|성문]] [[파열음|폐쇄음]] [ʔ]을 역시 로마자의 성문음 기호인 h로 대용해서 표기한 것이다. 간혹 영어식 철자의 영향을 받아 i, u 대신 ee, oo로 바뀐 경우도 있다. [[지룽시|K'''ee'''lung]], [[푸저우시|F'''oo'''chow]]가 그 예. [[대만]]에는 우정식 병음이 아직 많이 남아있다. [[진먼현]]을 '''Kinmen, Quemoy'''[* Quemoy는 '''키모이'''라고 읽으며 [[포르투갈어]]에서 나왔다. 샤먼은 Amoy로 표기했었다.]로 쓴다거나. 거의 대부분 지역의 지명이 우정식 병음을 기반으로 했는데, 2003년 대만 주요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명을 [[통용 병음]]으로 교체했다가 2009년 [[한어 병음]]으로 전부 교체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include(틀:대만 관련 문서)]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병음,version=152)] [[분류:병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