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禹飮諸方. [[조선]] 후기, 1800년대에 [[대전광역시]] 지역의 은진 송씨(恩津宋氏) 종택에서 편찬된 [[전통주]] 제조 비법서. 현재 대전선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대전 은진 송씨 동춘당 송준길의 둘째 손자였던 수우재 송병하에 의해 세전되어 온 요리책으로 2007년에 은진 송씨(恩津 宋氏) 종택에서 대전선사박물관에 나라를 위해 가문에 그동안 전해져 오던 2934점에 이르는 유물들을 기탁할 때 함께 기탁된 책이다. 한글로 총 24종의 술 빚는 방법을 기록하고 있으며, 현재 동춘당 가문의 종부인 윤자덕은 사대부 집안에서 항상 빚어오던 송순주 기능보유자로 지정되어 있다.[[http://blog.naver.com/jspark09/220043204192|네이버 블로그]] 같은 종택에서 만들어진 요리서 [[주식시의]]와 함께 대전을 대표하는 고조리서이다. == 구성 == * 약주 * 단양주 : 점감주, [[이화주]] * 중양주 * 이양주 : 소국주, 녹파주, 청명주, 화향주, [[감향주]](2), 삼칠주, 방문주 * 삼양주 : 호산춘, 삼해주, 일년주 * 약용약주 : 황구주, 백일주 * 가향주 : [[면천두견주|두견주]], 송순주, 송화주, 황정주 * [[소주]] : 소주, [[삼해주]], 보리소주 * 기타[* 기타에 들어있는 세 종류의 술은 전통술이 기록된 다른 옛 문헌 어디에도 기록되어 있지 않아 대전 지역에서 만들어진 새로운 술인지, 어떤 술의 다른 이름인지 알 수 없다.] : 청화주, 추향주, 구일주 == 특징 == 주식시의와 우음제방에 나오는 감향주는 다른 고조리서에 나오는 감향주가 전처리를 구멍떡으로 하는 것에 반해 각 질을 밥과 죽으로 하며 4일 ~ 6일 내로 채주한다. 송순주 또한 미리 데친 송순을 이용하는 등 다른 조리서와는 다른 대전 지방만의 독자적인 주조 비법이 전수되고 있다. [[분류:조선의 요리서]][[분류:은진 송씨]][[분류:대전광역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