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분류: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분류:근대건축물]] [include(틀: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 [[파일:부산_우암동_소막마을_주택(2).jpg]] [목차] == 개요 == [[부산광역시]] 남구 [[우암동(부산)|우암동]]에 위치한 마을. [[한국전쟁]] 시기에 몰려든 피난민들이 [[소]] 막사를 주거공간으로 사용하면서 형성되었다. == 역사 == 1909년부터 일제는 우암동에 위치한 우역검역소에서 검사를 마친 소를 만주나 본토로 수출하였는데, 이 수출용 소들을 수용하기 위한 막사를 같이 지을 필요가 있었다. 때문에 현 소막마을 부지에 20여동의 소 막사를 건립하게 되었다. 그리고 [[한국전쟁]] 당시 부산시에 몰려든 피난민들은 부족한 주거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이러한 [[소]] 막사를 통째로 개조해서 여러 세대가 살 수 있는 택지로 변형시켰다. 그래서 이 마을을 소막마을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이후로도 소막마을은 산업화시기 노동자들의 주거지로서 기능하며 존속되었는데, 현대에 들어 그 가치가 재조명되며 2018년 5월 8일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제715호로 지정되었다. 2022년 12월 15일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인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유산]]》9곳 중 하나에 포함되었다. == 여담 == * 현재 1동은 소 막사의 외형을 복원한 후 내부를 전시실로 꾸며놓아 관광객들이 방문하기 좋도록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