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파일:우시르교.jpg]] >고대에 가장 번성하였던 종교로, [[레미디오스 교단|현재 가장 번성한 종교인 레미디오스를 신봉하는 프리스트 교단]]보다 믿는 자가 많았다. >[[왕의 유적|보로딘]]의 통치 아래 가장 강력했던 고대의 국가 역시 우시르교를 국교로 삼았으며, 이 때 우시르교는 전성기를 맞았다. >하지만 보로딘의 신하였던 벨로우 리 그란츠가 보로딘을 배신함에 따라 보로딘의 왕국은 멸망하였으며, >보로딘 사후 벨로우는 펠 로스 제국을 세우고 우시르교를 이단으로 규정, 탄압하였다. >이 정책은 벨로우의 사후에도 꾸준히 유지되면서 우시르교는 결국 몰락의 길을 걷게 되었다. >하지만 그 명맥은 완전히 끊기지 않았고, 스스로를 [[다크템플러(던전 앤 파이터)|다크템플러]]라고 칭하는 비밀 기사단이 [[추방자의 산맥|스트루 산맥]]에서 숨어지내며 우시르를 숭상하고 있다고 한다. >이에 그 진상을 확인하고자 스트루 산맥을 찾아가는 이들도 있으며, 그들중 소수는 자신이 다크템플러를 봤다고 말하기도 한다. >하지만 증명할 방법이 없어 그저 이야기꾼의 허풍인지 사실인지조차 파악이 되지 않는다. >최근에는 [[여귀검사|제국에서 탈출한 소녀]]들이 이곳에 몸을 맡겼다는 이야기도 전해지고 있다. [[던전앤파이터]]에 등장하는 죽음의 신 '우시르'를 신봉하는 종교로, 과거에는 [[레미디아 바실리카]] 계열보다도 신도가 많았다고 전해지는 종교 단체. 현재는 알려진게 별로 없는 소수 단체이기도 하다. == 작중 행적 == [[추방자의 산맥]] 출시 이전에는 [[왕의 유적]] 보스인 보로딘 왕이 우시르 교단에 속해 있었다고 알려져있으며, [[다크템플러(던전 앤 파이터)|다크템플러]]가 우시르 교도인 것으로 추측됨과 동시에 다크템플러 (+ 암제 / 네메시스)의 설정에서 언급되는 정도로 베일에 쌓였던 집단이었다. 직접적인 등장은 추방자의 산맥부터인데, 우시르 교도들은 소멸의 신 [[카잔(던전 앤 파이터)|카잔]]의 시신이 든 소멸의 관을 지키는 기사들이었다. 오즈마의 봉인을 완벽하게 풀기 위해서는 카잔의 시신이 필요해 [[검은 교단(던전 앤 파이터)|검은 교단]]이 사이퍼 중 하나인 벌레 데샹을 산제물로 삼아, 산트리 부근에 숨겨진 우시르교의 성지로 가는 길을 열어 우시르 교단을 급습했다. 검은 교단을 쫒아 성지에 들어온 프리스트들과 모험가에게 그림시커가 진행한 카잔 부활 의식으로는 오즈마의 봉인을 풀 수 없어 우시르교의 성지에 안치된 소멸의 관을 노린다는 얘기를 전해주고, 이후에는 기지인 네메시스의 성채가 프리스트들에게 노출되어서 기지를 버리고 사라졌다.[* 더 정확히는 강경파인 레미디아 카펠라와 카펠라의 산하에 있는 이단심문소 때문. 카펠라와 이단심문소는 이교도 역시 처죽여야 할 대상으로 취급하기 때문이다.] 모험가와 프리스트들이 앞을 가로 막는 검은 교단의 간부들[* [[반야(던전 앤 파이터)|반야]], [[밤의 감시자 K]], [[순혈자 데바스타르]].]을 쓰러트렸지만 소멸의 관은 [[공포의 아스타로스|아스타로스]]에 의해 강탈당하고 만다. 이후에는 [[검은 연옥]]에 등장하는데, 우시르 교단 역시 검은 교단을 막고 소멸의 관을 되찾는 게 목적이라, 프리스트들과의 불필요한 마찰을 피하기 위해 칼끝을 검은 교단으로 향하자고 제의한 뒤 검은 교단을 우선시하고 일시적인 협력 체계를 취한다.[* 프리스트 교단에서도 우시르 교단은 이단으로 인정되고 있지만 당장에 자신들을 적대시하는 것도 아니고 가장 큰 문제인 검은 교단을 처치하기 전에 전력을 소모할 수 없는 건 양측 다 마찬가지다. 마침 목적이 같은 그들이 서로 힘을 합치면 전력이 늘기 때문에, 당장은 힘을 합치기로 한 것.] [[어벤저(던전 앤 파이터)|어벤저]]나 [[미스트리스]]로 플레이하면 모험가와 만나는 건 똑같지만 [[닐바스 그라시아|또 다른 위장자]]를 상당히 경계하고 있다. 같은 위장자의 힘을 쓰더라도 모험가는 영웅으로 불리고 있으며, 검은 교단에게 습격 당했을 때 모험가에게 도움을 받은 빚이 있기 때문에 적으로 인식하지 않았지만 닐바스는 다르기 때문이다. [[검은 대지]]의 봉인이 풀리고, 제 2차 검은 성전이 벌어지려고 해서 우시르 교단도 대비를 하고 있다. [[아드라스]]의 말로는 흩어져있던 모든 다크템플러들이 [[체스트 타운]]에 집결하고 있다고 한다. 그렇게 검은 대지가 모습을 드러내며 프리스트 교단들이 제국군과 함께 오즈마와 검은 교단과의 전쟁을 준비할 때 우시르 교단이 먼저 나서서 검은 대지와 오즈마의 군단을 조사하고 있었고 모험가와 오즈마를 토벌하기 위한 연합군이 검은 대지에 도착했을 때 그들을 도와 암흑의 3기사와 오즈마 토벌하는 것에 협력했다. [[혼돈의 오즈마 레이드|제 2차 검은 성전]] 결과 검은 교단과 주신 오즈마가 토벌되고 우시르 교단의 큰 짐인 [[사필귀정|카잔이 카론의 부름에 명계로 끌려가]][* 그것도 현세에 더이상 간섭을 못하도록 [[확인사살|육신까지 통째로 끌고갔다]].] 큰 짐을 두개나 덜게 된다. 사실상 '''오즈마 에피소드의 [[최후의 승자]]가 된 셈'''. 이젠 음지에서 보다 더 편하게 우시르를 섬기며 조용히 살아갈 듯.[* 다만 그 전에 기존의 성지가 검은 교단의 만행으로 데 로스 제국과 프리스트 교단을 비롯한 온 세상에 드러난 이상, 지금의 성지를 버리고 [[왕의 유적|새로운 성지]]로 이주해 재등장이 확정된 상황이다.] 본 시간대 이전인 [[블레이드(던전 앤 파이터)|블레이드]] 전용 시나리오 퀘스트에서 잠깐 등장한다. 블레이드에게 우시르 교단으로의 입단을 권유를 하지만 거절당하고 그란플로리스로 내려가는 길을 알려 준 뒤 서로 헤어진다. 2차 검은 성전이 끝나고 새로운 거주지를 정하던 중 우시르가 아드라스의 꿈에 나타나 새로운 계시를 내려준다. 첫 번째는 '[[왕의 유적|산 아래 나의 품에 잠든 오래된 왕의 거처]]'를 새로운 성지로 삼으라는 것, 두 번째는 사도 미카엘라를 찾아 보호하라는 것. 계시를 받은 아드라스는 자신은 미카엘라를 찾아서 나머지는 왕의 유적으로 향한다. 성자 전쟁에는 참전하지 않았고 아드라스만 우시르의 계시를 받고 성전 베리콜리스에 잠입했다. 전쟁 이후 [[미카엘라(던전 앤 파이터)|미카엘라]]를 구조하여 대혼돈의 기운을 완전히 정화할 때까지 그를 보호하고 있다.[* 레미디아 카펠라 [[루실 레드메인]]이 미카엘라와 그를 보호하려는 아드라스를 둘 다 화형하려다, 절묘한 타이밍에 선조인 라미에르에게 소화되자 틈을 노려 둘 다 탈출했다.] 우시르는 레미디오스 교단이 섬기는 빛과 생명의 신 레미디오스와 반대되는 어둠과 죽음의 신인데 '''레미디오스를 섬기는 미카엘라의 죽음을 막기 위해 계시'''를 줄 정도면 사태가 생각 이상으로 심각한 듯 하다. 거기다 데 로스 제국의 실권자인 [[히리아]]가 미카엘라 추적을 포기하지 않았기에 제국과의 충돌이 예상된다.[* 이미 데 로스 제국 전체가 [[힐더]]의 꼭두각시로 전락하고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제국외의 다른 힐더 세력과도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명색이 지고하신 네메시스이자 우시르의 대리자인 모험가 眞:다크템플러는 아드라스'''에게만''' 내린 계시를 듣지 못했다. 현재까지 밝혀진 이유는 불명. 가장 신빙성 높은 추론은 모험가는 힐더의 계략으로 인해 시련으로 연단되어 사도들의 심장을 꿰뚫어 안식으로 인도할 칼날임을 증명했기에 진:다크템플러가 미카엘라를 죽여 버릴지도 모르기 때문인듯 하다.[* 시나리오 분기도 [[레미디아 바실리카|바실리카]] VS [[레미디아 카펠라|카펠라]]&[[레미디아 크리소스|크리소스]]를 고를지가 나뉘기 때문.] 또한 대외적으로 본다면 모험가는 이미 힐더가 주시하고 있기 때문에 섣불리 계시를 내렸다간 힐더가 엿듣고 미카엘라를 반드시 처단하려고 수를 쓸것이라 [[블랙 옵스|비밀리에 계시를 내렸을 것이다.]] == 관련 인물 == * [[다크템플러(던전 앤 파이터)|모험가 다크템플러]][* 교단에 머무르지 않고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면서 모험하는 것을 보면 직접적으로 교단에 속한건 아닌 듯 하지만 관련이 없는 것은 당연히 아니다. 그리고 진 각성을 하고 나서 진 각성기로 아주 잠깐이지만 우시르를 불러내는 경지에 올라 우시르 교단에서 가장 높으신 분으로 대접받고 있다. 사실상 우시르와 동급으로 대접 받으며 교단의 다른 다크템플러들도 '지고하신 네메시스, 우시르의 대리자' 라고 부르며 극진히 대접한다.][* 하지만 동시에 힐더가 벼려낸 시련으로 연단되어 사도의 심장을 꿰뚫을 칼날이기에 혹시 모를 불상사를 막고자 미카엘라를 보호하는 일에서는 우시르가 모험가를 배제하고 아드라스에게 계시를 내린다. 모험가는 힐더를 의심하는걸 넘어 적대중인데도 저런 조치를 한 건 아무래도 사도 킬러로 살아온 그간의 세월이 있기 때문인듯하다.] * [[아드라스]][* 현시점에서 모험을 다니느라 들릴 일이 없다시피한 모험가 다크템플러를 대신하는 우시르 교단의 통솔자다. 교단원들 중 최초로 眞 각성을 했다.] [[파일:DNF_아드라스_여귀검_인게임.png|width=125px]] [[블레이드(던전 앤 파이터)|블레이드]] 전용 시나리오 던전인 눈 덮인 등선 던전에선 리테, 세렌, 에리니스와 함께 블레이드를 구해주는 모습으로 등장했었다. 사용하는 무기는 75제 에픽 [[던전 앤 파이터/아이템/소검|소검]]인 [[던전 앤 파이터/아이템/소검#s-6.4|세븐스 러키]]. * [[파일:던파리테.png]] [[파일:DNF_리테_여귀검.png|width=125px]] 맹혈자 늘어진 어둠 제트를 포획한뒤 아드라스와 같이 등장한 인물. 모험가 다크템플러의 진 각성 스토리에서 잠깐 등장한다. [[블레이드(던전 앤 파이터)|블레이드]] 전용 시나리오 던전인 눈 덮인 등선 던전에선 아드라스, 세렌, 에리니스와 함께 블레이드를 구해주는 모습으로 등장했었다. 사용하는 무기는 75제 [[던전 앤 파이터/아이템/소검/유니크|유니크 소검]]인 [[던전 앤 파이터/아이템/소검/유니크#s-1.15|진공수라왕]]. * 에리니스 [[파일:DNF_에리니스_여귀검.png|width=125px]] 2021년 11월 25일자로 중국서버에서 선 연재되다가 번역되어서 넘어온 공식 코믹스 다크템플러: Another Storty에서 등장한 우시르 교단원. 적색 단발에 녹안을 가지고 있다. 아드라스와 직책이 같은지 서로 반말한다. [[블레이드(던전 앤 파이터)|블레이드]] 전용 시나리오 던전인 눈 덮인 등선 던전에선 아드라스, 리테, 세렌과 함께 블레이드를 구해주는 모습으로 첫 등장. 사용하는 무기는 [[던전 앤 파이터/아이템/소검|소검]]. * 세렌 [[파일:DNF_세렌_여귀검.png|width=125px]] [[블레이드(던전 앤 파이터)|블레이드]] 전용 시나리오 던전인 눈 덮인 등선 던전에서 아드라스, 리테, 에리니스와 함께 블레이드를 구해주는 모습으로 등장했다. 사용하는 무기는 [[던전 앤 파이터/아이템/소검|소검]]. * 우시르 교단 전임 성주 - 역시 공식 코믹스 어나더 스토리에서 등장. 순혈자 데바스타르와 싸우다 전사했다. 코믹스 6화에서 아드라스가 대대로 이어진 성주의 이름 세렌과 검을 계승해 새로운 성주가 된다. == 다른 국가 및 세력과의 관계 == {{{#FF0000 빨간색}}} - 적대관계. {{{#00FF00 초록색}}} - 우호관계. {{{#FFCC21 노란색}}} - 애매하거나 중립관계.[* 숨어서 행동하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외부인과의 접촉을 피하는 편이다. 그래도 필요할 때 협력하긴 한다.] * [[펜네스 왕국|{{{#FFCC21 펜네스 왕국}}}]] - [[혼돈의 오즈마 레이드|제2차 검은 성전]] 이후 우시르의 계시를 받고 펜네스의 알프라이라 산에 위치한 [[왕의 유적#해머왕 보로딘|보로딘]]의 옛 거처를 새로운 성지로 삼아 이사를 간다. * [[데 로스 제국|{{{#FFCC21 데 로스 제국}}}]] - 기본적으로 제국에 대해 탐탁지 않게 보고 있지만[* 예를 들어 제국의 제 1황녀 [[히리아]]를 '''말 한 마디에 검을 쥔 사람 여럿을 죽일 수 있다'''거나 '''제국의 황녀라는 자리에서 나오는 힘'''이라고 뒷담까면서 비꼬았다.] 제2차 검은 성전 때 임시 동맹을 맺고 오즈마와 검은 교단을 토벌한다. * [[카잔(던전 앤 파이터)|{{{#FFCC21 카잔}}}]] - 그의 시신이 안치된 관을 보관중이었다. * [[프리스트 교단|{{{#FFCC21 프리스트 교단}}}]] - 가급적이면 이들을 피하는데 강경파인 [[레미디아 카펠라]]가 이교도인 우시르 교단도 적대하기 때문. * [[미카엘라(던전 앤 파이터)|{{{#00FF00 성안의 미카엘라}}}]] - 우시르의 계시로 교단의 보호 대상이 되었다. * [[그림시커|{{{#FFCC21 그림시커}}}]] - 자신들이 적대하는 검은 교단과 한때 교류를 했기에 이들을 믿지 못한다. * [[그림시커/강경파|{{{#FFCC21 그림시커 잔당}}}]] - 스트루 산맥에 조난당해 잠시 머물렀었다. 이후 데 로스 제국으로 길을 떠난다. * [[검은 교단(던전 앤 파이터)|{{{#FF0000 검은 교단}}}]] - 검은 교단에 의해 비밀 성채를 습격당하고 카잔의 육신이 든 소멸의 관마저 강탈당한 뒤 토벌대에 합류해 복수를 마친다. == 관련 던전 == * [[왕의 유적]][* 보스 해머왕 보로딘이 우시르의 신실한 신도 중 한 명이다.] * [[추방자의 산맥]] (네메시스의 성채) == 기타 == [[다크템플러(던전 앤 파이터)|모험가 다크템플러]]가 진 각성을 완료하고 아드라스와 만나면 모험가 다크템플러를 '지고한 네메시스 / 우시르의 대리자'라고 찬양한다. 다크템플러의 진 각성기는 이들이 섬기는 '''우시르를 잠시 현신시켜서''' 적들의 영혼을 빨아들인뒤 큰 폭발을 일으키는 방식이라서 우시르 교도들에게는 사실상 진 각성을 완료한 모험가 다크템플러가 우시르와 다름 없는 존재다. 지금까지 게임상에서 나온 인원들과 공식 코믹스에서 나온 인원도 죄다 여자들뿐이다. 과거엔 남자 신도도 있었는데[* 보로딘이 그 예.] 어쩌다 여자 신도만 남은 건지는 불명. 플레이어 다크템플러의 전직 복장이나, 공식 매체에서 묘사되는 교단원의 모습이 죄다 [[비키니 아머]]에 가까워 이에 대한 얘기도 제법 있다. 진:다크템플러의 진각기 콰이터스 리뎀션으로 나타난 우시르의 현신체는 여성으로 보이며 공식 코믹스 어나더 스토리에서 여성체로 그려지면서 확정되었다. 그러나 우시르의 성별은 없고 그저 신도가 상상한 모습으로 현현했다고 한다. 이 교단에서 숭배한다는 죽음의 신 우시르는 [[이집트 신화]]의 사후세계 군주인 [[오시리스]]의 추정되는 본래 발음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현대 학계에서 추정하는 재구된 본래 발음은 시대별로 다르지만 가장 오래된 고왕국 시기 기준으로는 '''와스이리트/wasˈjiːɾit/'''. 중국 서버에서 연재중이던 공식 코믹스가 2021년 11월 25일을 기점으로 한국 서버에서도 연재중이다. 제목은 다크템플러: Another Story. 추방자의 산맥 사건 이후, 오즈마 레이드 이전의 사건을 다루며 시로코 레이드 종료후 살아서 도주한 [[백수왕 운조|운조]], [[마탄 6 레이나|레이나]][* 부상이 심한지 운조가 [[공주님 안기|안고]] 가고있다.], [[풍월주 비화랑|비화랑]], 오도, 타일러가 샤르나크 산맥에서 조난 당하다시피 한 상황에서 우시르 교단과 조우하는 에피소드다. 2화의 내용을 보건데 기존 아지트를 버리고 이사를 준비중인듯. 이후 제 2차 검은 성전에 참전하고 53화에서 아드라스가 우시르의 계시를 받는다. 우시르는 "[[왕의 유적|산 아래, 나의 품에 잠든 오래된 왕의 거처로 향하라.]] 새로운 성지가 될지니. 모두가 그곳에 도달케 하라." 라고 계시를 내려 이들의 새로운 성지를 알려준다.[* 왕의 유적이 [[펜네스 왕국]]의 [[알프라이라 임시 주둔지|알프라이라]] 산에 위치해 있어서 제국이 우시르가 미카엘라를 보호하고 있다는 것을 눈치채면 이를 빌미삼아 펜네스에 간섭할 가능성이 높다.] [각주] [[분류:던전앤파이터/집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