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서)] 虞汜 생몰년도 미상 [목차] == 개요 ==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손오|오나라]]의 문관이자 [[우번]]의 넷째 아들로 자는 세홍(世洪). == 생애 == 우번이 [[손권]]한테 미움을 사 남해로 유배를 갔을 때 태어났으며, 자신이 16세 때 우번이 죽자 그의 영구를 고향으로 보낼 때 함께 온다.[* 우번은 70세 즈음에 사망했다고 알려져 있는데 유배 뒤에 우사가 태어났으므로 적어도 우사는 출생년도가 223년 이후여야 한다.] 우번의 아들 11명 중 가장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고 한다. 258년에 [[손침]]이 [[손량]]을 폐위시키고 [[손휴]]를 황제로 옹립할 때 손침이 은근히 자신이 황제에 즉위하겠다는 야망을 밝히자 다른 사람들이 모두 조용히 있을 때 우사만이 손침에게 자중할 것을 얘기했으며, 손휴가 즉위하자 선조랑에서 상기중랑시로 승진했다가 감군사자가 되었다. 269년에 [[설후]], [[도황(삼국지)|도황]]과 함께 형주에서 출발해 건안에서 출발한 이욱, 서존과 힘을 합해 [[서진]]에게 뺏긴 교지를 정벌하기 위해 출발했다가 271년에 교지를 점령하면서 부엄까지 토벌했다. 교주자사로 임명되지만 얼마 되지 않아 질병으로 죽었다. == 기타 창작물 == || [[파일:우사.jpg]] || [[파일:external/kongming.net/405-Yu-Si.jpg]] || || 100만인의 삼국지[* 이 일러스트는 삼국지 14의 [[유민(삼국지)|유민]]의 일러스트로 재활용된다.] || 삼국지 9, 10, 11 ||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237.jpg|width=400]] || || 삼국지 12, 13, 14 || [[코에이]]의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9탄부터 등장한다. 매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라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선 [[왕숙]]과 더불어 [[왕랑#s-1]] 세력의 등용셔틀.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72/38/80/72. 제사, 누선, 투석, 혼란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는 70/33/79/71/72의 능력치에 명사 특기를 가지고 있다. 후기장수로 통솔 70이면 전장에서도 굴릴수야 있지만 쓸만한 특기가 없다. 영웅집결에선 장수가 5명 밖에 없는 왕랑군의 귀중한 인재이며, 매력은 왕숙(76) 다음이다. 전체적으로 특기는 보수, 유인, 항변, 명사. 총 4개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밝은 얼굴로 왼손을 펼치고 있다. [[삼국지 13]]에서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1/34/74/71. 특기는 농업 1, 교섭 1, 수영 1. 전수특기는 농업이며 전법은 공격약화.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1, 무력 34, 지력 74, 정치 71, 매력 71이며 개성은 명경,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병기강화 Lv 3, 진형은 정란, 충차, 전법은 정란, 충차, 구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100만인의 삼국지 일러스트는 삼국지 14에서 [[유민(삼국지)|유민]]의 일러스트로 재활용되었다. [[삼국전투기]]에서 전투 외편(6-2)에서 [[다이나믹콩콩코믹스]]에서 "베개인간 메롱이"의 까롱이로 나온다. 전투외편 6-3편의 타이틀 컷을 장식하기도 했고, 소개컷에서는 우번의 아들 중에서는 가장 출세했다고 서술됐다. 전투외편 6편에서 처음 등장. [[손침]]이 [[손량]]을 폐출시킨 후 차라리 자기가 제위에 오를까 고민할 때 이를 반대하며 처음 등장했다. 손침은 당장 우사의 목을 날려버리려 했지만 우사는 손침은 이대로만 가면 명재상으로 영원히 이름을 남길 텐데 괜히 제위를 탐냈다가 그 이름에 오점이 남을 수 있으니 반대한 것이라고 말했고, 이에 손침이 납득하며 간신히 목숨을 건졌다. 작가는 우사의 이 행적에 대해 선대인 우번보다 능수능란하다고 평했고 진화론에 대한 증거로 채택할만도 하다며 개드립을 치기도 했다(...)[* --베개-우번-우사--] 소설 [[반삼국지]]에서는 아버지 우번의 명령에 따라 총사령관이 되어 [[우충]], [[우용#s-2]], [[우병]]과 함께 각기 2천의 병력을 이끌고 8천의 병력으로 마속이 지키는 계양으로 진격했다. 우사는 우번의 당부대로 첩자를 풀어 계양의 상황을 살피고 우번이 헤아린 것에 대해 동생들에게 아버님은 귀신 같은 분이라고 했다. 군사를 이끌고 번우로 철수하려 했지만 우병이 계양을 공격할 것을 주장하자 [[마속]]이 유인하고 있는 것, 군대를 무사히 철수시키면 벌을 받아도 가벼운 벌을 받은 것을 이야기하면서 설득하려 했다. 그래도 우병이 공격을 주장하자 병사를 선발해 산으로 보내 상황을 살피게 하면서 복병이 있으면 철수하고 없으면 진군하기로 했는데, 사흘 후에 돌아온 병사가 동료들이 모두 붙잡힌 것을 알리자 군대를 철수시켰다. 우번이 병으로 사망하자 번우태수에 임명되었고 오나라가 멸망하자 [[손영]]을 주군으로 받들겠다고 했으며, [[주순]], [[태사형|태사향]]과 함께 파라도로 가서 오나라의 명맥을 유지하자 우사는 우승상에 임명되고 주순과 함께 각 섬을 차례로 개척했다. [[분류:손오의 인물]][[분류:회계 우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