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1 우병기}}}[br]禹丙基'''}}}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우병기.jpg|width=100%]]}}} || || '''창씨명''' ||[[도쿠야마]] 헤이키(德山丙基) || || '''자 / 호''' ||계원(季元) / 월해(月海) || || '''본관''' ||[[단양 우씨]][* 판서공파-취백당(翠白堂)공 홍기(洪紀)파 28세 기(基) 항렬.] || ||<|2> '''출생''' ||[[1903년]] [[11월 10일]] || ||[[경상북도]] [[대구광역시|대구군]] [[월배지구|월배면]] 상인동[br](현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 [[단양 우씨]] 판서공파 집성촌이다.[[http://www.prsinmun.co.kr/news/view.html?no=42414&cate=07|#]] 독립유공자 [[우경동]]·[[우성동]]·[[우승기(독립운동가)|우승기]]·[[우찬기]]·[[우하교]]도 이 마을 출신이다.] || ||<|2> '''사망''' ||[[1944년]] [[10월 26일]][* 음력 9월 10일.] (향년 40세) || ||대전형무소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7묘역-66호 || || '''상훈'''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05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1903년 11월 10일 경상북도 대구군 월배면(현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에서 아버지 우하충(禹夏忠)과 어머니 [[전의 이씨]][* 이현호(李玄昊)의 딸이다.] 사이의 2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딸만 한 명 있던 작은아버지 우하모(禹夏謨)에 입양되었다. 고향 마을에 있었던 사립 [[https://terms.naver.com/entry.nhn?cid=59462&docId=3597895&categoryId=59493|덕산학교]]를 졸업하고 1934년경 [[일본]]에 건너가 [[도쿄]]에서 [[양산(도구)|양산]]제조업에 종사하였다. 1939년 11월 경부터 5명의 동지와 함께 조선독립을 목적으로 조선문제시국연구회(朝鮮問題時局硏究會)를 조직하였다. 이들은 1941년 8월까지 8회에 걸쳐 회합을 갖고 진천순모(鎭川淳模)·이광찬(李光讚)[* 일본식 성명 : 太原勇.[[http://theme.archives.go.kr/next/indy/listkeywordSearch.do?page=1&listSize=10&flag=1&actionFlag=det&keyword=%e5%a4%aa%e5%8e%9f%e5%8b%87&reKeyword=&owner=&organ=&sdate=19040101&edate=19451231&oldAddress=&momentDates=&sort=0&names=&crime=&depth11=&depth12=&ivl_cases=&retIvlRegion=&search_region=|#]]]·방산상봉(方山祥鳳)·박태을(朴台乙)[* 일본식 성명 : 蜂谷台乙, 海山台乙.[[http://theme.archives.go.kr/next/indy/listkeywordSearch.do?page=1&listSize=10&flag=2&actionFlag=det&keyword=%e8%9c%82%e8%b0%b7%e5%8f%b0%e4%b9%99&reKeyword=&owner=&organ=&sdate=19040101&edate=19451231&oldAddress=&momentDates=&sort=0&names=&crime=&depth11=&depth12=&ivl_cases=&retIvlRegion=&search_region=|#]]]·결성시백(結城時伯)·전윤필(全允弼)[* 주로 일본에서 활동하던 독립운동가로, 1937년 4월 15일 조선신문 관계자로서 전일본노동조합협의회(약칭 전협)에 가입한 혐의 등으로 일본 [[경시청]]에 검거되어 [[http://db.history.go.kr/id/tcmd_1937_04_15_0030|송치되었다]]. 그해 11월 25일에는 [[http://db.history.go.kr/id/tcmd_1937_11_25_0050|기소되었으며]], 1939년 2월 25일 도쿄 행사지방재판소에서 징역 3년형을 [[http://db.history.go.kr/id/tcmd_1939_02_25_0070|선고받아]] 옥고를 치렀다.] 등을 가입시키는 등 회원을 확충하여 [[중일전쟁]] 및 [[통제경제]]에 관한 시국담을 논하면서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그런데 이 일이 발각되면서 체포되었고, 일제 경찰은 이들에게 [[조선공산당]] 제주도 야체이카[* 세포조직]의 목적수행을 위해 협의를 일삼았다는 혐의까지 적용하였다. 결국 1942년 3월 5일 청진재판소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징역 7년형을 선고받아 청진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이후 1944년 대전형무소에 이감되었으며, 1944년 3월 27일 [[조선총독부]] 고등법원 형사부에서 열린 상고심에서 [[http://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1783&evntId=0034982580&evntdowngbn=Y&indpnId=0000014207&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상고 기각되어]] 원심 판결이 그대로 적용되었다. 결국 1944년 10월 26일 대전형무소에서 옥중 순국하였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47&aid=0002193601|#]] 199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포장이 추서되었으며, 이어 2005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47&aid=0002117724|#]] 그의 유해는 2022년 10월 4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7묘역에 이장되었다. [[대구 지하철 2호선]] [[월촌역]] 근처 월곡역사공원에 우병기 지사를 추모하는 '순국지사 월해 단양우공 휘병기 추모비'가 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47&aid=0002193601|#]]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단양 우씨]][[분류:달서구 출신 인물]][[분류:1903년 출생]][[분류:1944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