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36년 출생]][[분류:1953년 데뷔]][[분류:1972년 은퇴]][[분류:2022년 사망]][[분류:독일의 남자 축구 선수]][[분류:함부르크 출신 인물]][[분류:함부르크 SV/은퇴, 이적]][[분류:원클럽맨/축구]][[분류:독일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1958 FIFA 월드컵 스웨덴 참가 선수]][[분류:1962 FIFA 월드컵 칠레 참가 선수]][[분류: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 참가 선수]][[분류:1970 FIFA 월드컵 멕시코 참가 선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젤러는 이 문서로 연결됩니다. 1992년생 농구선수, rd1=코디 젤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82828 0%, #333333 20%, #333333 80%, #282828)" {{{#E0C9A5 '''우베 젤러의 수상 이력'''}}}}}}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틀:분데스리가 득점왕(1960년대)|[[파일:분데스리가 심볼.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d3010d; font-size: 0.9em;" [[틀:분데스리가 득점왕(1960년대)|{{{#ffffff '''1963-64 분데스리가 득점왕'''}}}]]}}} || || || || ---- ||<-3> '''{{{#white,#191919 1960 Ballond'or}}}''' || || 수상 [br] [[루이스 수아레스(1935)|루이스 수아레스]] || 2위 [br] [[페렌츠 푸스카스]] || 3위 [br] '''우베 젤러''' || ---- ||<-5> '''{{{#e0c9a5 1960 [[독일 올해의 축구 선수|{{{#e0c9a5 독일 올해의 축구 선수}}}]]}}}''' || || 상 제정 || {{{+1 →}}} || '''{{{#ffffff 우베 젤러[br]([[함부르크 SV|{{{#ffffff 함부르크 SV}}}]])}}}''' || {{{+1 →}}} || [[막스 모를로크]][br]([[1. FC 뉘른베르크]]) || ||<-5> '''{{{#e0c9a5 1964 [[독일 올해의 축구 선수|{{{#e0c9a5 독일 올해의 축구 선수}}}]]}}}''' || || [[한스 셰퍼]][br]([[1. FC 쾰른]]) || {{{+1 →}}} || '''{{{#ffffff 우베 젤러[br]([[함부르크 SV|{{{#ffffff 함부르크 SV}}}]])}}}''' || {{{+1 →}}} || [[한스 틸코프스키]][br]([[보루시아 도르트문트]]) || ||<-5> '''{{{#e0c9a5 1970 [[독일 올해의 축구 선수|{{{#e0c9a5 독일 올해의 축구 선수}}}]]}}}''' || || [[게르트 뮐러]][br]([[FC 바이에른 뮌헨]]) || {{{+1 →}}} || '''{{{#ffffff 우베 젤러[br]([[함부르크 SV|{{{#ffffff 함부르크 SV}}}]])}}}''' || {{{+1 →}}} || [[베르티 포크츠]][br]([[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 ---- [include(틀:독일 축구 연맹/명예의 전당)]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000000,#e5e5e5 ''' 독일의 前 축구선수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eeler_gi.jpg|width=100%]]}}} || ||<-2> {{{#000000,#e5e5e5 '''이름'''}}} || '''{{{+1 우베 젤러}}} [br] Uwe Seeler''' || ||<-2> {{{#000000,#e5e5e5 '''출생'''}}} ||[[1936년]] [[11월 5일]] [br] [[나치 독일|독일국]] [[함부르크]] || ||<-2> {{{#000000,#e5e5e5 '''사망'''}}} ||[[2022년]] [[7월 21일]] (향년 85세) [br] [[독일]] 노르더슈테트 || ||<-2> {{{#000000,#e5e5e5 '''국적'''}}} ||[[파일:독일 국기.svg|width=28]] [[독일]] || ||<-2> {{{#000000,#e5e5e5 '''신체'''}}} ||169cm || ||<-2> {{{#000000,#e5e5e5 '''직업'''}}} ||[[축구 선수]] ([[스트라이커]] / ^^은퇴^^) || || {{{#000000,#e5e5e5 ''' 소속 ''' }}} || {{{#000000,#e5e5e5 ''' 선수 ''' }}} ||[[함부르크 SV]] (1946~1953 / ^^유스^^) [br] '''[[함부르크 SV]] (1953~1972)''' || ||<-2> {{{#000000,#e5e5e5 '''국가대표'''}}} ||72경기 43골[* 대표팀 역대 득점 8위]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서독]] / 1954~1970)^^ || ||<-2> {{{#000000,#e5e5e5 '''클럽'''}}} ||580경기 489골 ^^([[함부르크 SV]])^^|| [목차] [clearfix] == 개요 == ## 현 나무위키 편집지침에서 상단 요약문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또한 축구선수 개요문단 선수 비교 및 서열 서술(ex:축구 역사상 최고의 선수 중 한 명, 21세기 최고의 골키퍼 중 한 명, 축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 등)은 금지된 상태입니다. 볼드체 사용하지 마세요. 또 개요부분에는 간략한 설명만 해주세요.## [[독일]]의 전 축구 선수. [[함부르크 SV|함부르크]] 역대 최다 득점자이자 [[프리츠 발터]], [[헬무트 란]]을 잇는 1960년대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의 간판 공격수이다. 키커 랑리스테 월드클래스 선정 횟수 역대 2위[* 14회. 1위는 [[프란츠 베켄바워]](21회), 3위는 [[베르티 포크츠]](11회), 4위는 [[하랄트 슈마허]]와 [[게르트 뮐러]](9회)이다.]를 기록했다. 사실 국내에서는 [[게르트 뮐러]]라는 존재, 그리고 결정적으로 국가대표와 클럽 커리어 상의 차이 때문에 젤러의 인지도가 낮은 편이지만 젤러 또한 당대 최고의 포스를 자랑했다. 169cm의 작은 키에도 공중볼 능력이 뛰어났고 양발을 자유자재로 쓸 줄 알았으며 바이시클 킥도 구사할 정도이니 그야말로 온 몸이 무기 그 자체였다. 또한 드리블 실력도 빼어났다. 선수 시절 최고의 기량으로 세계 각지의 여러 빅클럽에게서 러브콜을 받았지만 고향팀에 대한 사랑으로 모두 거절하고 HSV 한 팀에서만 뛰었다. == 클럽 경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mopo.de/21644758,17747818,highRes,oWITTERS_678960l.jpg|width=100%]]}}} || 17세의 나이에 프로무대에 데뷔하였고 1954년 [[홀슈타인 킬]]과의 [[DFB-포칼]] 경기에서 네 골을 퍼붓는 괴력의 포스를 보여주었다. 그의 첫 타이틀은 59/60 독일 챔피언십 리그[* 현 [[분데스리가]]의 기원.]우승이였고 그 다음 1960/61 시즌 유러피언컵[* 현 [[UEFA 챔피언스 리그]]의 전신.]에 출전하는데 바르셀로나와의 4강전에서 [[라슬로 쿠발라]]의 마법에 의해 결승 진출이 좌절된다. 사실 경기종료 1분을 남겨두고 2-0으로 이기고 있는 함부르크 선수들은 끝났다는 생각에 널널하게 플레이 했는데 그 찰나에 쿠발라의 크로스를 함부르크 수비진이 그대로 내버렸고 그 크로스를 '''[[산도르 코츠시스]]'''가 골로 넣어버렸다.[* 이 당시는 원정 다득점이 없어서 1차전 바르샤의 1-0승리, 2차전 함부르크의 2-1승리로 인해 3차전이 열렸고 결국 3차전에서 1-0으로 패하면서 결승 진출에 실패한다.] 아쉬움을 뒤로하고 1962/63 시즌 DFB-포칼에 우승하며 두 번째 타이틀을 획득한 뒤 1963년 분데스리가가 출범하게 되고 비록 팀은 6위로 시즌을 마쳤으나 젤러는 이 시즌에 30골로 분데스리가 첫 득점왕에 오른다. 하지만 그 다음 시즌 15골을 넣은 것 외엔 별다른 활약을 못 보여주었고 팀 역시 중하위권 수준으로 내려가게 된다. 그러다가 1967/68 시즌 팀의 [[UEFA 컵위너스컵]] 결승행을 도움과 동시에 득점왕을 차지하였고[* 1967/68 시즌 [[UEFA 컵 위너스컵]] 우승팀은 [[AC 밀란]]] 1968/69 시즌 23골로 오랜만에 저력을 보여주지만 이 시기 '''[[게르트 뮐러]]라는 역대급 사기 공격수의 등장'''으로 그 빛이 바랬다. 다음 시즌 17골을 넣었지만 이 활약을 마지막으로 서른 줄이 넘은 나이에 아킬레스건 부상의 후유증으로 예전의 임팩트를 보여주지 못한 채 1971/72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물러난다.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경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sm_seeler_uwe_steckbrief_image_84cba62606.jpg|width=100%]]}}} || 1954년 17세의 나이에 벌써 대표팀에 발탁이 되었을 정도로 어린시절부터 두각을 나타내었으나 아쉽게도 '''[[베른의 기적]]'''을 만든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1954 스위스 월드컵]] 대표팀 엔트리에는 들지 못한다. 이후 [[1958 FIFA 월드컵 스웨덴|1958 스웨덴 월드컵]]에서 본격적으로 [[헬무트 란]]과 같이 팀의 공격의 중심이 되어서 팀을 4강까지 올려놓지만 개최국 스웨덴에게 패하였고, 3·4위전에서도 [[쥐스트 퐁텐]]이 버틴 프랑스에 패하면서 4위로 마감한다. [[1962 FIFA 월드컵 칠레|1962 칠레 월드컵]]에선 [[헬무트 란]]이 은퇴하면서 팀의 무게감이 떨어졌고 8강에서 유고슬라비아에 일격을 당한다. 그러나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1966 잉글랜드 월드컵]]에선 설명이 불필요한 [[프란츠 베켄바워]], [[카를하인츠 슈넬링어]][* 당시 [[AS 로마]]와 [[AC 밀란]]의 수비수로 명성을 날렸다.], [[헬무트 할러]][* 당시 볼로냐의 플레이메이커로 볼로냐의 1964년 [[세리에A]] 우승의 주역이 되었고 이 후 [[유벤투스 FC]]에서도 명성을 날렸다.] 등 스타 플레이어들의 등장으로 서독은 당시 우승후보였고, 30대에 접어들며 절정의 기량을 발휘했던 젤러는 스페인전에서 천금같은 역전골을 넣으며 팀의 결승행을 도왔으나 팀은 잉글랜드와의 결승전에서 연장 끝에 아직까지도 골라인을 넘었는지 아니었는지 논란이 오가는 잉글랜드의 [[제프 허스트]]의 골[*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16강#s-1.3|2010년 남아공 월드컵 독일 대 잉글랜드전]]에서 [[프랭크 램파드]]의 골라인을 넘어간 중거리슛이 골로 인정되지 않으면서 독일은 44년만에 [[제프 허스트]]의 골에 대한 복수를 했다. 하지만 해당 경기는 램파드의 골이 들어갔든 아니었든 독일이 대승을 거둔 경기여서 복수라기에 임팩트는 좀 부족...]로 인해 4-2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이 후 [[1970 FIFA 월드컵 멕시코|1970년 멕시코 월드컵]]에서 33세의 나이에 출전을 해 3골을 넣는 등 진가를 발휘하지만 팀은 이탈리아와의 4강전에서 명승부를 펼친 끝에 3-4로 석패하였고, 젤러는 70년 월드컵을 끝으로 국가대표를 은퇴하게 된다. 이 대회에서의 활약으로 젤러는 월드컵 4개 대회 연속 득점을 기록한 네 명의 선수들 중 한 명으로 남아 있다.[* 나머지 세 선수는 [[펠레]], [[미로슬라프 클로제]],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호날두는 5개 대회 연속으로 득점을 기록했다] == 사망 == 2022년 7월 21일, 8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여담 == * 독일의 유망주 미드필더 [[레빈 외즈투날르]]가 젤러의 외손자이다. 함부르크 유스팀에서도 뛰었으나 막상 [[바이어 04 레버쿠젠]]을 거친 뒤 현재는 '''HSV의 최대 라이벌''' [[베르더 브레멘]]에서 뛰고 있다는 게 아이러니. 하지만 1년밖에 뛰지 않았고 [[1. FC 우니온 베를린]]을 거쳐 현재는 [[함부르크 SV]]에서 뛰고 있다. * 1966년 월드컵 당시 8강 상대였던 우루과이의 퇴장당한 선수에게 접근했다가 뺨을 맞는 일이 있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