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ffc300 {{{+1 '''우면산 터널'''}}}[br]{{{-2 '''牛眠山 터널'''}}}[br]{{{-2 '''Umyeonsan(Mt.) Tunnel'''}}}}}} || || [[반포대로|{{{#!html반포대로 직결}}}]][br]서초3동사거리[br]← -.- km || [[파일:Cityroad_kor_31m.svg|height=20]][[우면산로|{{{#!html
우면산로}}}]]'''{{{#000000 {{{+1 TN · TG}}}}}}''' || [[과천IC|{{{#!html과천 방면}}}]][br][[선암IC]][br]-.- km → || ||<-3> [include(틀:지도,장소=우면산터널,너비=100%,높이=225px)] || ||<-3> [[파일:external/pds25.egloos.com/c0209256_584a97fc71bbc.jpg|width=100%]] || ||<-3> {{{-2 '''[[http://www.iheadlin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434|출처]] 2004년 1월 6일 우면산터널 개통 당시의 모습. '''}}} || ||<-3> {{{#000 '''터널 길이'''}}} || ||<-3> 총연장 2,070m || ||<-3> {{{#000 '''주소(TG)'''}}} || ||<-3> [[서울특별시]] [[서초구]] 우면동 450-3 || ||<-3> {{{#000 '''관리기관'''}}} || ||<-3> 우면산인프라웨이㈜ || ||<-3> {{{#000 '''착공'''}}} || ||<-3> [[1997년]] [[12월]] || ||<-3> {{{#000 '''개통'''}}} || ||<-3> [[2004년]] [[1월 6일]] || ||<-3> {{{#000 '''왕복 차로 수'''}}} || || 전구간 ||<-2> 4차로 || ||<-3> {{{#000 '''접속도로'''}}} || ||<-3> [[반포대로]](직결) · [[효령로]](서초3동4R 교차) || [목차] [clearfix] == 개요 == [[우면산]]을 관통해 [[우면산로]]와 [[반포대로]]를 잇는 [[우면산로]]의 터널이다. 민자 사업으로 개통되어 우면산인프라웨이가 30년간 관리와 운영을 한다. [[교통 체증|상습정체]][* 우면산 터널 반포 방면 기준 터널 종점에 신호등이 있기 때문에 밀린다. ] 구간[* 막히는 데 요금은 2,500원이나 한다. ]이다. 경기 서남권 주민들이 서초구 방향으로 진입하며 애용하기 때문인데, 오죽했으면 '''우면산 유료[[주차장]]'''이라는 오명이 있을 정도. == 역사 == * 1997년 12월: 착공 * 2003년 10월 23일: 개통할 예정이었으나 소음 문제로 인하여 연기 * 2004년 1월 6일: 개통과 함께 통행료 징수 개시 * 2005년 3월 17일: 통행료 수납 기간을 2023년 1월 25일에서 2034년 1월 6일까지 연장 * 2011년 12월 17일: 통행료를 2,000원에서 2,500원으로 인상 * 2023년 2월 13일: 차로표시등이 1~2차로 모두 X표시와 통행 가능 표시를 번갈아 띄워서 혼란을 빚었다. --근데 운전자들은 기기 오작동이겠지 하고 신경 안쓴다.-- == 통행료 == || 소형차(1종) || 2,500원 || || 중형차(2종) || 2,500원 || || 대형차(3종) || 2,500원 || || 대형화물차(4종) || 통행불가 || || 특수화물차(5종) || 통행불가 || || 경형자동차(6종) || 1,250원 || || 이륜차[* 원동기장치자전거 포함] || 무료 || * 2017년 3월 1일부터 [[하이패스]] 차로가 1, 4차로에 운영중이다. 일반차로에서 하이패스카드로 요금을 지불하는 것도 가능하다. 판독기에 하이패스카드를 접촉하거나, 직원에게 카드를 건네면 된다. 참고로 2022년 4월 17일에 1~3종 자동차 1대 당 2,500원이나 요금을 받고 왕복 4차로인 도로에 상행선 1차로를 공사 중이었다. ([[창렬|한마디로 2500원 받고 1차로만 내어준다는 의미.]]) == 민자사업 손실 보전 논란 == 2000년대 초반부터 공공부문 민영화, 민자 [[사회간접자본|SOC]] [[http://www.ks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143|바람이 불면서]] 서울시내 여러 공공 인프라 중 대표적으로 [[서울 지하철 9호선]], 우면산 터널이 [[민자사업]]으로 진행되었다. 이들 사업은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가 최대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데, 이 맥쿼리에 터무니없는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72560|MRG]](최소지급보증)을 지급하면서 특혜 논란이 발생했다.[[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768326596474256&mediaCodeNo=257|#]] MRG는 최소지급보증이란 뜻으로, 예를 들어 MRG가 85%라면 A라는 회사가 100원의 이윤을 남겨야 하는데 이를 달성하지 못해 20원만 벌게 되면 나머지 100*0.85 = 85원에서 20원을 뺀 65원을 국가나 지자체가 세금으로 보전해줘야 하는 제도다. 즉, 수익성이 떨어져도 국가나 지자체가 세금으로 보전해주는 제도로 만약 사업이 수익이 난다면 문제가 안되지만, 그 반대면 막대한 세금이 민간 기업의 이익 보전으로 충당되는 사태가 발생한다.[[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204221280515207|#]] 2005년 [[https://www.si.re.kr/|서울시정연구원]]은 우면산터널의 1일 통행량이 최대 5만 1744대에 달하다고 분석한 연구용역 결과를 발표했다. 그리고 서울시는 이를 근거로 하여, 우면산터널 운영을 위해 설립된 [[특수목적회사]](SPC)인 우면산개발에 통행료 2,000원, 운영기간 30년, 그리고 MRG 85% 보장을 약속했다.[[http://www.hani.co.kr/arti/politics/administration/528911.html|#]] 이 과정에서 맥쿼리의 한국 지사인 맥쿼리 한국 인프라가 우면산개발의 최대 지분을 보유하게 되었고, 맥쿼리 한국 인프라는 [[SH공사]]와 함께 20%에 달하는 고이율로[* 2021년 현재 [[이자제한법]] 상 최대이자율이 '''연 20%'''이다.] 우면산 터널에 자금을 빌려준다. 여기에 우면산 터널은 [[국민은행]]을 비롯한 1금융권에서 연 7%의 고금리로, 그것도 복리로 대출을 받게 된다. 2004년 우면산터널은 성황리에 [[https://news.joins.com/article/280428|개통]]했으나, 상술한 서울시정연구원의 통행량 예측은 보기좋게 빗나가고 1일 평균 1만대의 차량만 다니게 되었다.[[http://www.hani.co.kr/arti/area/area_general/529492.html|#]] 원인은 2,000원이 넘는 [[http://kfem.or.kr/?p=77097|비싼 통행료]]와, [[남태령]]과 [[양재IC]]에 비해 비용대비 통행이익이 크지 않다는 인식 때문이었다. 이 때문에 우면산인프라웨이㈜의 적자는 눈덩이처럼 늘어나서, 2009년에는 202억원의 통행료 수익에서 영업비용 92억원 지출, 총 109억원의 영업이익을 냈지만 110억원의 이자비용으로 인해 순이익은 2,600만원에 불과했다. 2015년애는 통행료 이익을 포함한 영업이익 129억 중에서 이자비용이 101억이 나가서 서울시가 매년 100억원대의 손실 보전을 해줌에도 불구하고 자본잠식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https://stn.hcn.co.kr/user/news/BD_newsView.do?q_currPage=1&news_category=01&story_id=89429&story_seq=0&soCode=114&socttSn=89429&socttSeq=0|#]] 2011년 [[서울특별시의회|서울시 의원]]이던 [[강희용]]은 [[http://ms.smc.seoul.kr/attach/record/SEOUL/appendix/a08/A0025976.pdf|우면산 터널의 기이한 지배구조 및 주주 배당 구조에 대해 지적]]하였고 MRG 산정 방식과 통행량 예측에 대해 강한 의혹을 제기했다. 여기에 서울시가 맥쿼리 인프라 투자에 협약 내용을 유리하게 바꾼 시점이 [[이명박]] 당시 [[서울시장]]과 관련 있고[* 당시 맥쿼리 계열사에 [[이상득]] 의원의 아들 이지형이 취임한 뒤, 맥쿼리 한국 인프라가 우면산개발의 지분을 매입해 최대 주주가 되었다.[[http://www.viewsnnews.com/article?q=85775|#]]] 사업 실사를 했던 서울시정연구원의 백용호 원장은 공정거래위원장, 국세청장을 거쳐 이명박 정부 청와대 정책실장으로 승진하는 등의 사항을 지적하며 비위, 특혜 의혹을 제기했다.[[https://simin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5808|#]] 결국 [[서울특별시의회]]는 2012년 5월 지하철 9호선 및 우면산터널 특혜의혹 진상규명을 위한 행정사무조사특별위원회를 조직하고, 그해 7월 서울시정연구원의 과다 통행량 예측, 우면산인프라웨이㈜의 자본잠식 상태 및 적자성 수익구조, 막대한 세금 보전 문제를 적발했다. 이에 [[박원순]] 시장은 우면산인프라웨이㈜ 지배구조 [[https://news.joins.com/article/19411288|재구조화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고, 2016년 기존 주주였던 [[http://www.ktcu.or.kr/workPageP.jsp|교직원 공제회]]의 지분이 늘어나서 최대주주로 등극했으며, 맥쿼리인프라투자는 2대 주주로 주저앉게 되었다. 이후 값비싼 대출금을 납부하던 국민은행을 비롯한 여러 금융권 대출을 철회하였고 2006년부터 2011년까지 479억원의 보전지급 비용을 돌려받지 않는 대신 2012년~2015년 보조금 238억원과 이후 19년 동안 발생할 670억의 예상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기로 했다. 더 나아가 민간 사업자 수익률을 11%대에서 5%대로 현실화하였고 3천원대로 인상될 뻔한 통행료도 [[https://www.yna.co.kr/view/AKR20160114061300004|2500원으로 동결하는 데 합의]]하였다. == 주의사항 == * 가스나 석유와 같은 가연성 물질을 운반하는 차량과 10톤 이상 화물차는 이곳을 통과할 수 없다. * 도로 선형은 고속 주행에도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반포대교 방향은 곡선부 이후에서 정체가 발생[* 터널 종점에서 약 200m 앞에 신호등이 빨간불이면 우면산터널 안에서 꼼짝 못하고 신호등이 초록불로 바뀌면 차들이 시속 15~25km의 속도로 이동한다. 신호 주기가 2~3분이고 신호 초록불인 시간이 30~45초인 걸 감안하면 2~3분 멈춰있다가 30~45초간 속도가 조금 나고 다시 멈추고 무한 반복이다. 반포 방향 수요가 많지 않으면 신호에 잘 안 걸려서 곡선부도 안 막힌다.][* 곡선부부터의 정체는 터널 종점 약 200m 앞에 있는 신호등 때문이므로 곡선부가 막히면 [[반포대로]]가 포화 상태라고 보면 된다. 반포방향 선암IC 약간 전에 교통정보 vms에 '곡선부 지체'라는 문구가 있으면 터널 곡선부에서 반포대교남단까지 정체라는 뜻으로 보면 된다.]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추돌 위험이 있다. [[예술의 전당]] 바로 아래를 지나가기 때문에 소음 문제로 제한속도는 60km/h로 운영된다. 특히 과천 방향의 경우 60km/h 구간단속도 실시하므로 주의하자. 2020년 하반기에 서울시 전역 [[안전속도 5030]] 전면 시행으로 인해 제한속도가 50km/h로 하향되었다가, [[https://blog.naver.com/lovelove0539/223067534290|2023년 4월 9일에 원래대로 60km/h로 환원되었다.]] 50km/h 하향 당시 '''보행자 통행이 불가능'''하고 자동차와 이륜차만 통행 가능한 도로인데도 불구하고,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속도 5030에 포함된 졸속 행정 중 하나로 비판받았다. * 신중히 이용해야한다. 회차로가 없고, 길 잘못들면 꼼짝없이 통행료 지불이며, '''상습정체구간이기 때문. 우면산 터널 진입 전 전광판에도 정체가 아닌 '지체'로 나와 무심코 가곤 하는데 네비에서 '지체'라고 하면 '곡선부 정체'인 걸로 보면 된다.'''[* 서초역 방향으로 평일 출근시간대와 토요일 정체가 심한 편인데 이 경우 대부분 터널 진입 전부터 막히게 되고 더 심하면 [[경마IC]] 인근부터 막히기도 한다. 반대 과천 방향은 365일 내내 쌩쌩하다.] * 2022년 3월 초에 과천 방면 한정 구간 단속 카메라[* 렉스젠 레이더형 제품]가 설치되었다. 한동안 시험 운영하다가 9월 중순부터 구간단속이 시행 되어 통행중인 운전자들의 인내심을 테스트 하고 있다. [[http://kko.to/64sOkKZiy|시작]]-[[http://kko.to/HsY-N3Ler|종료]] 총 2.17km.[* 구간 단속 카메라가 있는 줄 모르고 과속을 했을 경우 우면산터널 종점부의 방음터널 우측의 갓길에서 잠시 정차하고 있으면 평균 속도가 내려간다. --근데 시점 통과 속도에서 딱지땔수도 있고 갓길 정차는 합법은 아니다. --] == 접속 도로 == * [[봉담과천로]] * [[47번 국도]] * [[31번 서울특별시도]] * [[반포대로]] == 이 도로를 경유하는 대중교통 노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우면산로, 앵커=우면산터널 대중교통)] [[분류:서울특별시의 터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