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2.png]][[파일: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1.png]] [목차] == 개요 == 牛馬羊猪染疫病治療方. [[조선]] [[중종(조선)|중종]] 36년(1541)에 왕명으로 편찬된 축산 수의서. [[서울대학교]] 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일본]] 궁내청 서릉부에 소장 중이다. == 내용 == 1541년 [[평안도]] 지역에 우역(牛疫)이 크게 발생하고 다른 지역으로 전염까지 되자 이에 조정에서 각종 가축의 치료법을 편찬, 각 지방에 내려보낼 때 함께 간행된 책이다. 서문에 따르면 [[본초]], [[신편집성마의방우의방]], [[산거사요]] 등의 내용을 인용했으며, 이 책과 같은 내용이 실려 있음을 주기한 책으로는 [[농상집요]], [[사시찬요]], [[거가필용]]이 있다. 또한 책에서 인용, 초록한 것 외에 당대 민간에서 쓰이던 치료법과 일반인이 쉽게 얻을 수 있는 약재 등이 함께 수록되었다. 다른 수의서와는 달리 서목 아래에 처방을 적고 그것을 다시 [[이두]]로 풀이하였으며, 그 아래에 또 다시 한글 표기를 싣는 형식으로 만들었다.[* 이두는 한국어의 표기법이므로 이두를 한국어로 번역할 수는 없다. 중국어의 한 형태인 한문을 한국어로 번역하고 이를 이두, 한글이라는 두 가지 표기법으로 서술한 것이다.] 한문을 모르는 일반 백성들도 처방 내용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 구성 == 본초 항에는 15종류 내용이 있는데 [[너구리]]의 간이나 고기, 그리고 오줌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방법, [[여우]]의 배와 머리, 꼬리를 이용하는 방법, 양제근, 천금목(千金木), 유엽, 청양혹두, 사향, 조중황토 등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우마의방 항에는 백목, 여노, 궁궁, 세신, 귀구, 창포 등의 가루를 이용하는 방법과 뜸질 등 2가지 방법이 기록되어 있으며, 신은 항에서는 석창포, 담죽엽, 갈분, 울금, 녹두, 창목, 파초 등을 이용하는 방법, 안식향을 이용하는 방법, 토두, 진다 등을 이용하는 방법 등 6가지 치료법이 있다. 사요 항에는 양구를 관리하는 법과 노초를 먹이지 말라는 것 등이, 광기 항에서는 저장병의 치료법으로 무우를 사용하는 방법이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편미도찬에서는 [[돼지]]의 병을 치료하는 방법들이 있다. 대체로 갑작스러운 가축의 전염병 만행이 발생했을 때 필요한 응급조치들을 설명했다. == 의의 == 우리나라 가축의 [[전염병]]에 관한 역사적 연구자료인 동시에 국어사 연구, 특히 [[이두]]와 [[한글]] 번역이 병기되어 이두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특히 1500년대 국내 수의술의 발달과 한방 수의술 연구에 참고가 된다. == 외부 링크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69608&cid=46674&categoryId=46674|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 :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항목]] [[분류:조선의 의학서]][[분류:훈민정음]][[분류:100대 한글 문화 유산]][[분류: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품]][[분류: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품]][[분류:궁내청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분류:해외 소재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