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0040,#FF0040 '''{{{+1 우마나리}}} {{{#F5A9E1 {{{+1 1펄롱}}}}}} {{{+1 극장}}}'''[br]馬なり {{{#F5A9E1 1ハロン}}} 劇場}}}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우마나리 1펄롱 극장.jpg |width=100%]]}}} || || '''{{{#FF0080,#FF0080 장르}}}''' ||[[경마]], [[개그물|개그]] || || '''{{{#FF0080,#FF0080 작가}}}''' ||요시다 미호 || || '''{{{#FF0080,#FF0080 출판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후타바샤]] || || '''{{{#FF0080,#FF0080 연재처}}}''' ||[[만화 액션]] || || '''{{{#FF0080,#FF0080 레이블}}}'''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주간 경마 호치 → 팡파레 → 만화 액션 → 후타바샤 웹 메거진 → 넷케이바 || || '''{{{#FF0080,#FF0080 연재 기간}}}''' ||'''1989년 12월 10일 ~ 연재 중''' || || '''{{{#FF0080,#FF0080 연재 횟수}}}'''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1000화 ,,(2019. 04. 19.[* 2019년 봄 편] 完),,[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우마나리 1펄롱! NEO ,,(2019. 05. 10. ~ 연재중),,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경마]] 만화. 작가는 요시다 미호(よしだみほ)이다.[* [[1961년]] [[8월 19일]] 생이며 일본 도쿄도 출생이다.] 우마나리 1펄롱 극장은 연재하고 있는 경마 만화들 중에서 가장 오래되었으며 2019년을 계기로 30년을 넘은 역사가 깊은 장수 만화이다. 명마들을 자신의 캐릭터에 맞게 각색을 시켜서 실제 경주마들의 커리어와 특징들의 표현을 잘 하기로 유명한 만화이다. 요시다 미호는 1987년 [[일본중앙경마회]]에서 발행하는 월간 경마지 우준(優駿)의 일러스트 코너에 투고를 하게 되면서 명성을 알리기 시작하였으며 1989년 경마에서 헤이세이 3강[* ([[오구리 캡]], [[이나리 원]], [[슈퍼 크리크]])] 및 멋진 외모로 아이돌 이상의 인기를 얻고 있었던 [[타케 유타카]]가 인기를 얻고 있을 무렵 '천재 유타카의 파워가 나오는 경마' 동인지를 발간한 것이 계기가 되어 이 해 가을에 '''날아라 [[오카베 유키오|오카베]] 군!'''라는 이름으로 연재를 개시를 하여 30년 넘는 지금까지 우마나리 1펄롱 극장을 연재하게 된다. 1998년 8월에 팡파르가 휴간을 하게 되고 설상가상으로 작가의 집이 화재가 일어난 바람에 반년간 휴재를 한 적이 있다.[* 공교롭게도 [[침묵의 일요일]]이 이때 일어나고 말았다.] 언제부터 연재 년도가 길어지자 권수로 발간을 하는 것이 아닌 년도 및 계절로 표기를 하였다. == 특징 == [[4컷 만화]]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 경마에서 있었던 사건 및 이야기들을 모티브로 하고 있기 때문에 개그물 요소를 가지고 있는 만화이기도 하지만 눈물과 감동적인 스토리를 가지고 있는 에피소드도 있다. 특히 작가 본인이 [[타케 유타카]]와 [[오카베 유키오]] 등 특정 기수와 관련한 에피소드들도 여러 에피소드들도 존재 한다.[* 당장 위의 1권 표지에서 나오는 기수들 역시 타케와 오카베이다.] 또 연말 특집 에피소드에서는 초창기 연재분 부터 모든지 아리마 기념(なんでも有馬記念!!)이라는 특별 에피소드를 매년마다 그리고 있다. 연재 시점에서 이미 은퇴한지 몇년이 지난 [[신잔]]이나 [[미호 신잔]] 같은 올드 멤버들은 얼굴에 선을 긋는 주름을 묘사하는 경우가 많다. == 기타 == 작가 요시다 미호는 심볼리, 특히 [[심볼리 루돌프]]의 광팬이었기 때문에[* 실제로 루돌프가 종마 시절 [[토카이 테이오]] 배출을 하며 활약을 하던 당시에 실제로 [[심볼리 목장]]에 방문을 하여 루돌프 옆에서 사진을 찍은 적도 있다.] 심볼리 루돌프와 다루는 에피에서는 실제로 말이 이끄는 마차에 타고 있는 말(?)로 묘사되기도 하며 작가가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말에 대해서는 약간의 음해(?)가 담겨있는 캐릭터로도 표현되기도 한다. 특히 [[라이스 샤워]]는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서의 [[잡곡]]으로 묘사가 되는데 실제로 우마나리 연재에서도 히어로가 아닌 도깨비 방망이를 들고 있는 악마의 표정을 내고 있는 [[빌런]]으로 묘사가 된다.[* 특히 2관마 및 3관마와 관련한 에피소드.] 그렇기 때문에 팬덤에서 떠돌고 있는 음해들이 고증일지도 모른다는 반응들이 많다. 헤이세이 3강의 현역 때 연재를 시작하였기 때문에 이 3마리들은 지금까지도 간혹 회자가 될 만큼 자주 나오지만 연재 시작 직전에 은퇴한 [[타마모 크로스]]는 분량이 거의 없다. 반면 오구리 캡이나 메지로 맥퀸 및 골드 쉽 등 많은 사람들로 부터 유명세를 얻고 있는 말들은 분량이 많은 편이다. 그리고 클래식 중상 및 G1 우승마들 뿐만 아니라 클래식 노선에 참전했다고 참패를 당한 말들도 소개를 하고 있기 때문에 좌절의 맛을 봐야만 했던 경주마들을 기억하고 있는 팬들에게도 감동을 선사해주고 있다. 또한 클래식 G1 우승마들에게 커플링이 있다는 전통이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1992년 세대의 [[미호노 부르봉]]과 [[니시노 플라워]] 에피소드이다. 이 둘을 클래식 암수 클래식 첫번째 경주들을 우승하였다. 현역 당시에도 [[딥 임팩트]]를 뛰어넘는 엄청난 인기로 팬아트까지 있었고 지금도 우마무스메를 이끌어가고 있는 [[골드 쉽]]은 특히나 총집편으로 따로 발간을 하였다. 오너 캐릭터가 있는데 오너 캐릭터에서도 입는 옷이 [[심볼리 목장]]의 승부복으로 묘사를 하고 있다. 사실상 경마계의 원조 커플링이기도 한 [[다이이치 루비]]와 [[다이타쿠 헬리오스]]의 커플링이 여기에서 나왔는데 현역이었던 1991~1992년 무렵은 연재 초창기 시절이었는데 이 커플 에피소드를 계기로 이 만화의 인기도 급상승을 하여 지금까지 있게 만들었다. [[우마무스메 마이너 갤러리]]에서도 이 커플링 에피소드의 반응이 터져나와 이후에 일부 에피소드 번역이 올라오고 있다. [[분류:일본 만화/목록]][[분류:경마 만화]][[분류:액션 코믹스 연재작]][[분류:1989년 만화]][[분류: 4컷 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