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4a9e1,#14a9e1 '''{{{+1 우{{{#00b5c4,#00b5c4 리들}}}의 비 {{{#00b5c4,#00b5c4 내리}}}는 {{{#00b5c4,#00b5c4 프}}}로{{{#00b5c4,#00b5c4 토}}}콜}}}''' (2023)[br]僕{{{#00b5c4,#00b5c4 ら}}}の雨{{{#00b5c4,#00b5c4 い}}}ろ{{{#00b5c4,#00b5c4 プ}}}ロ{{{#00b5c4,#00b5c4 ト}}}コ{{{#00b5c4,#00b5c4 ル}}}[br]Ou{{{#9fd9f7,#9fd9f7 r Ra}}}iny {{{#00b5c4,#00b5c4 Proto}}}col}}}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우리들의비내리는프로토콜_애니키비주얼.webp|width=100%]]}}} || ||<-2> {{{#14a9e1,#14a9e1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기타 키 비주얼 ▼ [[파일:우리들의비내리는프로토콜_애니티저비주얼.jpg|width=100%]]{{{#14a9e1,#14a9e1 티저 비주얼}}}}}}}}}}}} || ||<-2> {{{#00b5c4,#00b5c4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14a9e1,#14a9e1 장르}}}''' ||[[e스포츠]], [[청춘]] || || '''{{{#00b5c4,#00b5c4 원작}}}''' ||Team KITSUNE || || '''{{{#14a9e1,#14a9e1 총감독}}}''' ||<|2>[[야마모토 야스타카]] || || '''{{{#00b5c4,#00b5c4 음향 감독}}}''' || || '''{{{#14a9e1,#14a9e1 감독}}}''' ||카토 다이시(加藤大志) || || '''{{{#00b5c4,#00b5c4 스토리 원안}}}''' ||코츠코츠(兀兀) || || '''{{{#14a9e1,#14a9e1 시리즈 구성}}}''' ||[[타카야마 카츠히코]][br][[야마모토 야스타카]] || || '''{{{#00b5c4,#00b5c4 캐릭터 원안}}}''' ||부타(ぶーた) || || '''{{{#14a9e1,#14a9e1 캐릭터 디자인}}}''' ||[[히라야마 칸나]] || || '''{{{#00b5c4,#00b5c4 총 작화감독}}}''' ||모리마에 카즈야(森前和也) || || '''{{{#14a9e1,#14a9e1 메인 애니메이터}}}''' ||츠키미 미츠루(月海 充) || || '''{{{#00b5c4,#00b5c4 프롭 디자인}}}''' ||켄모츠 케빈 유타(監物ケビン雄太) || || '''{{{#14a9e1,#14a9e1 미술}}}''' ||고로쿠 히로시(合六 弘) || || '''{{{#00b5c4,#00b5c4 색채 설계}}}''' ||야마가미 아이코(山上愛子) || || '''{{{#14a9e1,#14a9e1 촬영 감독}}}''' ||이마이즈미 히데키(今泉秀樹) || || '''{{{#00b5c4,#00b5c4 특수 효과}}}''' ||마츠다 료헤이(松田陵平) || || '''{{{#14a9e1,#14a9e1 편집}}}''' ||후쿠나가 준이치(増永純一) || || '''{{{#00b5c4,#00b5c4 음악}}}''' ||[[코우사키 사토루]][br]MONACA || || '''{{{#14a9e1,#14a9e1 제작총지휘}}}''' ||나츠메 코이치로(夏目公一朗) || || '''{{{#00b5c4,#00b5c4 프로듀스}}}''' ||아이자와 료(藍沢 亮) || || '''{{{#14a9e1,#14a9e1 프로듀서}}}''' ||엔도 카즈키(遠藤一樹)[br]사사키 슈타(佐々木秀太)[br]오자키 호노카(尾崎穂乃香)[br]타사카 켄타(田坂健太)[br]소토카와 아키히로(外川明宏)[br]히라하라 마사야(平原誠哉)[br]마츠이 유코(松井優子)[br]오오츠키 히로미(大槻宏美)[br]세키 유시코(関 由志子)[br]후지와라 유키코(藤原由紀子)[br]토미하라 히로키(富原大稀)[br]오자와 후미히로(小澤文啓)[br]하야시 요시아키(林 義晃)[br]마에다 요시키(前田吉輝) || || '''{{{#00b5c4,#00b5c4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쿠리하라 켄이치(栗原堅一) || || '''{{{#14a9e1,#14a9e1 애니메이션 제작}}}''' ||Quad || || '''{{{#00b5c4,#00b5c4 제작}}}''' ||보쿠아메 [[제작위원회]] || || '''{{{#14a9e1,#14a9e1 방영 기간}}}''' ||[[애니메이션/2023년 10월|2023. 10. 08.]] ~ 방영 중 || || '''{{{#00b5c4,#00b5c4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테레비 아사히]] ([[NUMAnimation]]) / (일) 01:3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 / (월) 01:00 || || '''{{{#14a9e1,#14a9e1 스트리밍}}}''' ||[[애니플러스]] [[https://www.aniplustv.com/items/3004|▶]][br][[Laftel]] [[https://laftel.net/item/41667|▶]][br][[네이버 시리즈온]] [[https://serieson.naver.com/v2/broadcasting/593272|▶]] || || '''{{{#00b5c4,#00b5c4 편당 러닝타임}}}''' ||23분 || || '''{{{#14a9e1,#14a9e1 화수}}}''' ||12화 (예정) || || '''{{{#00b5c4,#00b5c4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373a3c 15세 이상 시청가}}}]] {{{-2 {{{#373a3c (주제, 모방위험)}}}}}} || || '''{{{#14a9e1,#14a9e1 관련 사이트}}}''' ||[[https://bokuame.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okuame_anime)]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오리지널 TV 애니메이션]]. 총감독은 [[야마모토 야스타카]], 감독은 카토 다이시, 캐릭터 디자인은 [[히라야마 칸나]]. 방영 시기는 [[애니메이션/2023년 10월|2023년 10월]]. 일본 창작물에서 흔하지 않은 소재인 [[e스포츠]]를 다루는 작품이다. 다루는 게임은 [[FPS]]. 공식 약칭은 보쿠아메(ぼくあめ). 분량은 NUMAnimation 2024년 1분기에 이미 [[내 마음의 위험한 녀석(애니메이션 2기)|내 마음의 위험한 녀석 2기]]가 편성되어 있기 때문에 1쿨로 추정된다. == 줄거리 == >엄마와 여동생 셋이서 살고 있는 고등학교 2학년 토키노야 슌. >사고로 인한 아빠의 죽음과 여동생의 부상을 계기로, 한때 열중했던 게임을 그만두고 >현재는 E스포츠 카페 'FOX ONE'에서 일하고 있었다. > >소꿉친구이기도 한 게임 친구들과 교류하면서 슌은 알바와 공부에 열중했지만, >별안간 'FOX ONE'에 막대한 액수의 빚이 있다는 것이 발각되었다. > >그렇게 빚을 갚기 위해 슌과 일동은 >'잭세리언 챔피언십'에서 우승해 상금을 획득하고자 했다. > >뭔가 석연치 않은 기분을 품은 채 온라인 게임 세계에 다시 한번 뛰어든 슌 앞에 나타난 건, >과거에 함께 게임을 했던 '폭렬 군'이었다. > >아직 해보지 못한 만남과 경험, 그리고 격투. >슌은 때때로 고민하면서도 동료들과 함께 앞으로 나아갔는데. > >게임을 통해 움직이기 시작하는 그들의 세계. >소년과 가족. 그리고 동료들의 이야기. >---- >[[https://www.aniplustv.com/items/3004|애니플러스]] == PV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O2b7g42OvQ, 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5RrSmG1MCjk, width=100%)]}}} || || '''티저 PV''' || '''본 PV''' || == 등장인물 == [include(틀:스포일러)] * '''토키노야 슌'''(時野谷 瞬) {{{-1 - 성우: [[오노 켄쇼]]}}} [[파일:bokuame-shun01.jpg|width=250]] 어머니[* 이름은 사토미. 성우는 [[코자카이 유리에]].], 여동생 미오와 어렵게 살고 있는 17살 소년. 3년 전 사고로 아버지가 사망하고 [[하반신 마비|걸을 수 없게 된]] 미오와 어려운 가정 때문에 과거 열중했던 온라인 게임을 포기하고 공부와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는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하지만 동료들의 도움을 받으면서 조금씩 복귀하게 되고 대회에 참가하게 된다. * '''사에구사 유우'''(三枝悠宇) {{{-1 - 성우: [[아마미야 소라]]}}} [[파일:bokuame-yuu.jpg|width=300]] 유우(ユウ)라는 예명으로 활동하고 있는 화제의 신인 여배우. 그러나 [[청초]]하고 가련한 배우 유우와 달리 평소의 본인은 낡은 아파트의 더러운 방에 살고 있으며 [[하라구로|실제 성격은 말도 행동도 매우 거칠다.]] 게임 대회에 참가할 때는 얼굴을 가리고 정체를 숨긴다. 과거 게임 온라인에서 슌과 만난 적이 있으며 '''슌이 다시 한 번 게임을 접속 했을 때 다시 게임을 포기하지 않게 해준 인물이기도 하며''' 그에게 특별한 마음을 품고 있다. * '''이나츠키 노조미'''(稲月 望) {{{-1 - 성우: [[미나세 이노리]]}}} [[파일:bokuame-nozomi.jpg|width=300]] 슌의 한 살 연상 소꿉친구. e스포츠 카페 'FOX ONE'의 점장 이나츠키 소타의 딸. 학교가 끝나면 가게 일을 돕고 있다. 슌의 불행한 과거와 여동생을 아끼는 마음을 이해해주며 항상 그를 가족처럼 돌봐주는 누나 같은 존재. * '''토키노야 미오'''(時野谷美桜) {{{-1 - 성우: [[아사쿠라 모모]]}}} [[파일:bokuame-mio.jpg|width=300]] 슌의 동생. [[하반신 마비|사고 부상으로 인해 걸을 수 없게 되어]] 가족들의 간호를 받으며 거의 누워 있는 생활을 하고 있다. 집에서 온라인 수업을 들으며 현실에서 사람들과 만날 기회도 거의 없다. 오빠를 굉장히 아끼며 슌이 게임에 복귀한 것에도 기뻐한다. 슌이 아르바이트 때문에 집에 잘 오지 못하는 것에 외로움을 느끼고 있으며, 재활치료를 위해 먼 병원에 입원해 오빠와 떨어지는 것에도 거부감을 느끼고 있다. * '''센도 아키토'''(仙堂暁斗) {{{-1 - 성우: [[키무라 료헤이]]}}} [[파일:bokuame-akito.jpg|width=300]] 슌과 오래 알고 지낸 같은 반 친구. 프로 선수를 목표로 하고 있다. 가벼운 면이 있어 트러블을 일으킬 때가 많지만 기본적으로는 동료애가 깊고 의리 있는 성격이다. 슌이 게임을 하고 싶은 걸 알고 있어서 다소 거칠지만 슌의 복귀를 권유한다. 온라인에서는 쉽게 불타는 버릇이 있어서 그럴 때마다 계정을 다시 만드는 환생 상습범이기도 하다. 그러다 보니 새 닉네임을 짓기 귀찮아져서 '아아아아'나 '이이이이' 같은 식으로 대충 짓다가 '토토토토'까지 온 상태. * '''나가미네 류세이'''(長嶺流星) {{{-1 - 성우: [[스기타 토모카즈]]}}} * '''나이토 무츠키'''(内嶋睦生) {{{-1 - 성우: [[마츠오카 요시츠구]]}}} * '''사토 세시루'''(佐藤星詩流) {{{-1 - 성우: [[혼도 카에데]]}}} * '''타카나시 에미코'''(小鳥遊恵美子) {{{-1 - 성우: [[와키 아즈미]]}}} * '''이나츠키 소타''' {{{-1 - 성우: [[신가키 타루스케]]}}} e스포츠 카페 'FOX ONE'의 경영자이자 노조미의 아버지. * '''JONATHAN''' {{{-1 - 성우: [[이와사와 토시키]]}}} 소타가 운영했던 프로팀의 코치를 맡았던 인물로 이러저러한 사정으로 인해 그를 떠났다. == 주제가 == === OP === ||<-2>
'''{{{#373a3c,#dddddd OP[br]S9ai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tsNhwrj8xQQ,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M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9ORQtKwzl1M,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 SennaRin || || '''작사''' || SennaRin(茜雫 凛)[br]cAnON || || '''작곡''' ||<|2> [[사와노 히로유키]]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2> [[나카야마 류]] || || '''연출''' || || '''작화감독''' || [[히라야마 칸나]]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ED === ||<-2>
'''{{{#373a3c,#dddddd ED[br]Another Complex}}}'''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T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373a3c,#dddddd Full ver.}}}''' || || '''노래''' ||<|3> somei || || '''작사''' || || '''작곡''' || || '''편곡''' || 후루카와 타카히로(古川貴浩)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회차 목록 == [include(틀:애니플러스 신작)] ||
'''회차''' || '''제목'''[*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3 제1화}}} || {{{-3 あきらめた未来[br]포기했던 미래[br]Cold Reboot}}} || {{{-3 [[타카야마 카츠히코]]}}} || {{{-3 [[야마모토 야스타카]]}}} || {{{-3 카토 다이시[br](加藤大志)}}} || {{{-3 츠키미 미츠루[br](月海 充)[br]후지타 마사유키[br](藤田正幸)[br]우스다 요시오[br](臼田美夫)[br]미야타 나오미[br](宮田奈保美)[br]사쿠라이 마사아키[br](桜井正明)[br]호무라 미노리[br](保村 成)}}} || {{{-3 켄모츠 케빈 유타[br](監物ケビン雄太)[br]모리마에 카즈야[br](森前和也)}}} || {{{-3 日: 2023.10.08.[br]韓: 2023.10.09.}}} || || {{{-3 제2화}}} || {{{-3 選ばれた邂逅[br]선택된 해후[br]Multiplexer}}} || || || || || || {{{-3 日: 2023.10.15.[br]韓: 2023.10.16.}}} || || {{{-3 제3화}}} || || || || || || || {{{-3 日: 2023.[br]韓: 2023.}}} || || {{{-3 제4화}}} || || || || || || || {{{-3 日: 2023.[br]韓: 2023.}}} || || {{{-3 제5화}}} || || || || || || || {{{-3 日: 2023.[br]韓: 2023.}}} || || {{{-3 제6화}}} || || || || || || || {{{-3 日: 2023.[br]韓: 2023.}}} || || {{{-3 제7화}}} || || || || || || || {{{-3 日: 2023.[br]韓: 2023.}}} || || {{{-3 제8화}}} || || || || || || || {{{-3 日: 2023.[br]韓: 2023.}}} || || {{{-3 제9화}}} || || || || || || || {{{-3 日: 2023.[br]韓: 2023.}}} || || {{{-3 제10화}}} || || || || || || || {{{-3 日: 2023.[br]韓: 2023.}}} || || {{{-3 제11화}}} || || || || || || || {{{-3 日: 2023.[br]韓: 2023.}}} || || {{{-3 제12화}}} || || || || || || || {{{-3 日: 2023.[br]韓: 2023.}}} || == 평가 == === 방영 전 === [[칠성의 스바루]]의 원화가 부타(ぶーた)가 캐릭터 원안에 인기 애니메이터 [[히라야마 칸나]]가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으로 발탁되어 수려한 캐릭터 디자인을 선보이면서 주목을 받았다. 다만 총 작화감독은 히라야마가 아닌 모리마에 카즈야라는 다른 사람이고 또 제작사인 Quad도 애니메이터 섭외력이 떨어져 필모작 중 작화에서 좋은 평을 받은 적이 없으므로 작화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e스포츠]]를 어떻게 다룰 것인지도 작품의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 같은 경우에야 [[e스포츠]]가 상당히 활성화되어 있고, 프로게이머를 소재로 한 창작물도 꽤나 많지만 일본의 경우에는 메인 소재로서 차용되는 애니메이션은 본작이 처음인 수준이다. 다만 최근에는 일본에서도 몇 년 전부터 [[오버워치]]나 [[발로란트]], [[Apex 레전드]] 등의 FPS 게임 위주로 e스포츠가 활성화되어가고 있으며, 인터넷 방송계를 중심으로 상금이 걸린 대회 등도 적잖게 열리고 있다. 이 애니 역시 그러한 추세에 따른 기획으로 보인다. === 방영 후 === 호쾌하게 진행하는 작품은 아니고 [[일본 드라마]]에 가까우며 재밌다는 반응과, 작위적이라는 반응이 동시에 나오며 호불호가 갈린다. 호평하는 측에서도 작중에 나오는 가상의 FPS 게임의 CG 퀄이 너무 허접하여 몰입을 방해한다는 비판이 있다. 작화도 [[히라야마 칸나]]가 캐릭터 디자인으로 참여했지만 작화감독은 맡지 않아서 일부 장면에서는 얼굴이 대놓고 찌그러지는 등 편차가 심해서 썩 좋은 편이 아니다. 히라야마의 좋은 캐릭터 디자인을 망쳤다는 반응도 많다.[* 단적으로 히라야마가 작화감독으로 참여한 오프닝과 본편을 비교하면 퀄리티 차이가 극과 극 수준으로 난다.] 총 작화감독은 모리마에 카즈야(森前和也)라는 사람인데 이 사람은 작화감독 경력은 길지만 대부분의 작품에서 [[작화 붕괴]]가 속출하거나 안정적이어도 썩 좋지는 않은 작화 퀄리티를 보여주었기 때문에 앞으로도 작화는 기대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 [[Laftel|라프텔]] 평점은 1화가 방영하자마자 바로 2.9점대로 추락했다. 한국은 일본보다 e스포츠가 발달한 나라라 한국 시청자 입장에선 작품의 묘사가 더욱 허접하고 작위적으로 보일 수 밖에 없으며, 일본 드라마 특유의 감성이 안 맞고 작화까지 안 좋으니 반응이 좋지 않다. 평론가 [[마에Q]]가 1화는 괜찮은 느낌이라고 호평했다. [[https://twitter.com/maeQ/status/1710701075534430220|#]] == 기타 == * 캐릭터 디자이너 [[히라야마 칸나]]는 이전 [[칠성의 스바루/애니메이션|칠성의 스바루]]에서 원화를 다수 그려낸 경험이 있어 부타의 원안을 애니메이션 캐릭터로 그려내는 게 어렵지 않았다고 술회했다. [[https://twitter.com/kaaaaaappe/status/1677558079418925057|#]] * 주인공 슌의 성우 오노 켄쇼가 인터뷰에서 말하길 본인은 [[발로란트]]를 플레이하고 있다고 한다. == 외부 링크 == * 디시인사이드 보쿠아메 마이너 갤러리 [[https://gall.dcinside.com/ourrainyprotocol|#]] [[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3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일본의 오리지널 애니메이션]][[분류:e스포츠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