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포켓몬스터/전설의 포켓몬)] [include(틀:패러독스 포켓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E08EE0><-3> {{{#FFFFFF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984MS.png|width=40]] 0984 [[위대한엄니]] || [[파일:985MS.png|width=40]] '''0985 {{{#000,#fff 우렁찬꼬리}}}''' || [[파일:986MS.png|width=40]] 0986 [[사나운버섯]] || ||<#E08EE0><-3> {{{#FFFFFF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1><-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9세대#팔데아도감 목록|{{{#white 팔데아도감}}}]] || ||<-3>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9세대#팔데아도감(본토)|본토]] || || [[파일:984MS.png|width=40]] 376 [[위대한엄니]] || [[파일:985MS.png|width=40]] '''377 {{{#000,#fff 우렁찬꼬리}}}''' || [[파일:986MS.png|width=40]] 378 [[사나운버섯]] || }}}}}}}}} || }}} ||<#E08EE0>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모습|모습]][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 [[파일:985 우렁찬꼬리.png|width=50%]] || || 우렁찬꼬리 || [anchor(앵커-기본 정보)] ||<-3> {{{#FFFFFF 기본 정보}}} || ||<#E08EE0> {{{#FFFFFF 이름}}} ||<#E08EE0> {{{#FFFFFF 도감 번호}}} ||<#E08EE0> [[포켓몬스터/타입|{{{#FFFFFF 타입}}}]] || || [[파일:985MS.png|width=50]][br]'''우렁찬꼬리''' [br] サケブシッポ(사케부싯포) [br] Scream Tail || 전국: 0985[br]팔데아: 377^^본토^^ || [include(틀:페어리타입)][br][include(틀:에스퍼타입)] || [anchor(앵커-특성)] ||<-3><#E08EE0> [[포켓몬스터/특성|{{{#FFFFFF 특성}}}]] || || [[포켓몬스터/특성/ㄱ#고대활성|고대활성]] || 부스트에너지를 지니고 있거나 날씨가 맑을 때 가장 높은 능력이 올라간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5> {{{#FFFFFF 세부 정보}}} || ||<#E08EE0> {{{#FFFFFF 포켓몬}}} ||<#E08EE0> {{{#FFFFFF 분류}}} ||<#E08EE0> {{{#FFFFFF 신장}}} ||<#E08EE0> {{{#FFFFFF 체중}}} ||<#E08EE0> {{{#FFFFFF 포획률}}} || || 0985 우렁찬꼬리 || [[패러독스 포켓몬]] || 1.2m || 8.0kg || 50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카운트 || 최대 경험치량 || || 무성 || 미발견 || - || 1,250,000 || [anchor(앵커-모습)] ||<#E08EE0><-4> {{{#FFFFFF 모습}}} || ||<#E08EE0> {{{#FFFFFF 모습}}} || [[파일:985우렁찬꼬리.gif|width=70]] [br]0985 우렁찬꼬리 || [anchor(앵커-방어 상성)] ||<-5><#E08EE0> {{{#FFFFFF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FFFFFF 2배}}} || {{{#FFFFFF 1배}}} || {{{#FFFFFF 0.5배}}} || {{{#FFFFFF 0.25배}}} || {{{#FFFFFF 0배}}} || ||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독타입)] ||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땅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바위타입)] [br]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악타입)][br][include(틀:얼음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include(틀:풀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 [include(틀:에스퍼타입)] || [include(틀:격투타입)] || [include(틀:드래곤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E08EE0><-8> [[종족치|{{{#FFFFFF 종족치}}}]] || ||<#E08EE0> {{{#FFFFFF 포켓몬}}} ||<#E08EE0> {{{#FFFFFF HP}}} ||<#E08EE0> {{{#FFFFFF 공격}}} ||<#E08EE0> {{{#FFFFFF 방어}}} ||<#E08EE0> {{{#FFFFFF 특수공격}}} ||<#E08EE0> {{{#FFFFFF 특수방어}}} ||<#E08EE0> {{{#FFFFFF 스피드}}} ||<#E08EE0> {{{#FFFFFF 합계}}} || || [[파일:985MS.png|width=50]][br]우렁찬꼬리 || 115 || 65 || 99 || 65 || 115 || 111 || '''570'''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985MS.png|width=50]][br]{{{#FFFFFF 우렁찬꼬리}}}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E08EE0>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E08EE0> [[파일:985MS.png|width=50]][br]{{{#FFFFFF 0985 우렁찬꼬리}}} || || 스칼렛 ||목격된 사례는 과거에 단 1건뿐이다. 오래된 탐험기에 기록된 정체불명의 생물을 닮은 포켓몬. || || 바이올렛 ||10억 년 전의 푸린이라며 오컬트 잡지에 소개됐던 정체불명의 포켓몬을 닮았다. || ||<-2><#E08EE0>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 소개 == ||'''「고대에 살던 푸린」이라는 설이 있다''' 괴상한 잡지(※)에서는 팔데아 모처의 숲에서 목격되었다고 적혀 있습니다. 푸린을 닮아 매우 귀엽게 생겼으나, 성격은 공격적이어서 접근하는 사람을 공격했다고 소개되어 있으며, 원시적인 외형과 흉포함 때문에, 일설에 의하면 10억 년 전의 푸린이라는 소문도 있습니다. ※아카데미에 소장된 오컬트 잡지에서 소개된 내용입니다. 내용의 진위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 [[https://pokemonkorea.co.kr/sv/menu168?stype1=&stype2=&number=2789&mode=view|포켓몬스터스칼렛・바이올렛 공식 사이트의 우렁찬꼬리 소개 페이지]]에서 ||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에서 등장하는 포켓몬. 다른 시간대에서 현재로 넘어온 포켓몬들인 [[패러독스 포켓몬]]의 일원으로, 먼 과거에서 온 고대의 포켓몬이다. [[푸린(포켓몬스터)|푸린]]과 매우 흡사한 생김새를 지니고 있다. >10억 년 전의 푸린 발견!? >수수께끼의 생물, 우렁찬꼬리! >팔데아 모처의 숲에서 목격된 >수수께끼의 생물이 바로 우렁찬꼬리다. >[[푸린(포켓몬스터)|푸린]]을 닮아 매우 귀엽게 생겼으나, >성격은 공격적이어서 접근하는 사람에게 >공격을 가했다고 전해진다. >원시적인 모습과 흉포한 성질 때문에 >10억 년 전의 푸린이라는 소문이 있다. >기서 스칼렛북에 기록된 >“우렁찬꼬리”라 불리는 >수수께끼의 생물이 이름의 유래다. >----- >팔데아 미확인 파일 No.10 == 스토리 및 포획 == [[올림박사]]의 부탁을 받고 [[팔데아의 대공]] 내부(에리어 제로)에 들어온 주인공 일행이 처음으로 만나게 되는 패러독스 포켓몬으로, 두 번째 잠금장치를 해제하기 위해 관측 유닛 2호에 도착한 주인공 일행과 조우하게 된다. 생김새가 푸린과 흡사한만큼 우렁찬꼬리를 본 모란이 푸린이라고 착각해 친근함을 느껴 가까이 다가가려 하지만 우렁찬꼬리는 모란을 적대하며 공격할 의사를 내비쳤고, 이에 겁먹은 모란은 주인공에게 도움을 요청해 우렁찬꼬리를 쓰러뜨린다. 옆에서 지켜보던 네모가 말하길, 푸린이라기엔 뭔가 더 사나운 것 같았다고.[* 바이올렛에서 이 역할을 맡는 것은 [[딜리버드]]가 원본인 [[무쇠보따리]]다.] 첫 조우를 마치면 포획이 가능한 야생 우렁찬꼬리가 에리어 제로 동굴 내에서 출현하므로 더 홈웨이 스토리 진행 중에도 우렁찬꼬리를 포획할 수 있으며,[* 바이올렛에선 비슷한 포지션은 무쇠보따리에 추가적으로 무쇠머리도 엔딩 이전부터 시간대에 관계없이 필드에서 발견가능하지만 스칼렛에선 우렁찬꼬리 외에 엔딩 이전에 등장하는 날개치는머리가 밤에만 등장하기 때문에 낮에 스토리를 진행하면 못보고 넘어가게 된다.] 1회차 엔딩을 보고 나면 에리어 제로 전역에 출현한다. 포획률이 50으로 다른 패러독스 포켓몬은 물론 600족이나 스타팅보다 높아서 꽤 쉽게 포획이 된다. === [[테라 레이드배틀]] === || 도구 || 빛의점토, 멘탈허브 등 || || 주요 기술 || 거짓울음, 도우미, 리플렉터, 빛의장막, 멀리짖기, 사이코필드[* 에이스번 레이드 한정] || || 역할 || 특수 어태커용 서포터 및 벽깔이 서포터 || || 노력치 배분 || HB + 방어 보정 성격[* 장난꾸러기/대담] || [[블래키]]와 더불어 공방이나 4인 모집 파티 어느 쪽에서건 평균 이상의 성능을 보여주는 포켓몬으로, 도발 습득이 불가능한 대신 벽을 깔기 좋도록 스피드도 높고 양쪽 내구도 탄탄하다. 4인 모집 파티에서는 주로 거짓울음 + 응원 + 도우미 몰빵을 통해 원콤을 노리는 특수 어태커용 서포터로 기용되는 편이지만, [[무쇠손]]이나 [[마릴리]] 등의 물리 어태커 픽률이 높은 공방 레이드에서는 벽깔이 + 멀리짖기로 운용할 수도 있다. 벽을 칠 수 있기 때문에 방어 응원에 턴을 쓸 필요가 없고, 원체 생존력이 높아 레이드 몹의 공격에 리타이어되는 일도 매우 적다. 특수 배리어가 생기고 랭크업 초기화가 잦은 공방에서는 블래키보다 더 좋을 수도 있는데, 랭업이 초기화되어도 멀리짖기 스택을 쌓으면서 공격 응원 쓸 일 없이 공버프를 넘겨줄 수 있고 도우미나 멀리짖기 모두 배리어와 큰 상관이 없어서 블래키보다 우렁찬꼬리가 더 안정적인 상황도 많다. 이렇다 할 변화기나 랭업기를 배워 순식간에 게임을 터뜨리는 레이드 몹이 아니거나, 블래키가 약점을 찔려 활약하기 어려운 레이드 몹인 경우 우렁찬꼬리도 충분히 좋은 픽이다. 실제로 2022년 12월 30일부터 등장한 7성 [[에이스번]] 레이드에서 대활약했는데, 이 이벤트 레이드에서는 첫 턴부터 쌓이는 벌크업 + 자속 무릎차기로 블래키가 한방에 죽어서 그 대체제로 원콤날 확률도 월등히 적으면서 [[카디나르마]], [[야도란]]과 합도 좋은 서포터가 이 우렁찬꼬리였던 것이다. [[고디모아젤]]이나 [[하랑우탄]]도 나쁘지는 않았다고 평가받았으나, 안정성 면에서는 우렁찬꼬리가 압도적이었다. 후반부에 에이스번이 [[아이언헤드]]를 쓰기 때문에 약점 찔릴 일이 아예 없지는 않았지만, 어느 정도 합이 맞는 모집 파티에서는 배리어 설치까지 갈 필요도 없이 벽 설치로 에이스번의 공격을 견디면서 거짓울음 스택 중첩 + 공버프로 원콤을 내 버렸기에 큰 문제는 되지 않았다. == 대전 == ||<|3> '''내구력''' || 기준: 성격 보정 || HB252 || HD252 || || 물리 내구 ||<)> 89,664 ||<)> 64,277 || || 특수 내구 ||<)> 72,919 ||<)> 98,846 || ||<|2> '''[[결정력|{{{#ffffff 결정력}}}]]''' || 기준 || 무보정 || || || [[사이코키네시스]] [br] [[치근거리기]] ||<)> 11,475|| ||<|2> '''스피드[br]실능''' || 기준 || S252 || 무보정 || || 111족 ||<)> 163 [br] ^^최속^^179 ||<)> 131 || ||<-4> {{{-2 성격 보정은 252 분배한 쪽의 내구에만 적용}}} || 타입은 페어리 / 에스퍼. [[가디안]], [[브리무음]], [[카푸나비나]], 가라르 폼 [[날쌩마]] 등과 같다. 에스퍼 타입의 타점이 좋지 않은데다 내구형인 우렁찬꼬리는 더더욱 에스퍼 타입 공격기를 채용하지 않으므로 에스퍼 타입은 디메리트 뿐이다. 메이저한 고스트 약점이 한개 늘고 격투는 원래 반감이라 에스퍼가 섞여서 잃은 것이 더 많다. 공격적인 종족값을 보유한 동기들과 달리 특수방어가 극대화된 형태의 종족값을 하고 있다. 570이라는 높은 총합에 더해 공격과 특공을 아예 내다 버린 만큼 115/99/115라는 튼튼한 내구에 111이라는 막이라고 보기 힘든 수준의 스피드를 가지고 있다. 방어와 특수방어도 충분하므로 체력 보정의 효율 역시 괜찮은 편이며, 4배 약점도 없는데다 스피드가 받쳐주니 초전설 없는 환경에서 [[루기아]]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우렁차다는 이름[* 일본판은 울부짖는 꼬리, 영문판은 비명의 꼬리.] 대로 소리치는 기술은 죄다 배운다. [[노래하기]], [[멀리짖기]], [[부르짖기]], [[하이퍼보이스]], [[멸망의노래]], [[폭음파]], [[거짓울음]] 등 짖거나 울거나 소리치거나 노래하는 기술이 많다. 1세대 포켓몬인 [[푸린(포켓몬스터)|푸린]]을 기반으로 해서 그런지 너무 많아서 쓰기 어려울 정도로 기술폭이 매우 풍부하다. 다만 공격과 특공이 65밖에 안 돼서 어태커로 쓰기엔 무리가 있으니, 공격기 말고 변화기를 봐야 한다. 자력으로 [[멀리짖기]], [[부르짖기]], [[잠자기(포켓몬스터)|잠자기]], [[희망사항(포켓몬스터)|희망사항]], [[멸망의노래]]를 배우며 기술머신으로 [[전기자석파]], [[리플렉터]], [[빛의장막]], [[망각술]], [[대타출동]], [[겁나는얼굴]], [[버티기]], [[배턴터치]], [[앙코르(포켓몬스터)|앙코르]], [[도우미(포켓몬스터)|도우미]], [[트릭(포켓몬스터)|트릭]], [[거짓울음]], [[벌크업(포켓몬스터)|벌크업]], [[명상(포켓몬스터)|명상]], [[스텔스록]], [[트릭룸]]을 배운다. 아쉽게도 방어가 높아 잘 쓸 수 있을 [[바디프레스(포켓몬스터)|바디프레스]]는 못 배운다. 변화기 기술폭이 넓다 보니 사용법은 다양하다. 벌크업과 명상에 바톤터치를 배울 수 있으니 바톤 요원으로 굴릴 수도 있고, [[멸망의노래]]나 [[앙코르(포켓몬스터)|앙코르]]로 상대 포켓몬의 교체를 유도한 다음 [[트릭(포켓몬스터)|트릭]]으로 느림보꼬리 테러를 저지르거나 [[전기자석파]]로 마비를 걸어 상대 파티를 교란시키거나, [[리플렉터]]와 [[빛의장막]]을 필두로 벽깔이로 쓸 수도 있다. 짓맘에 의존하지 않고 높은 스피드를 통해 변화기를 까는 특성상 악타입 포켓몬에게 카운터 당하지 않는다는 것도 큰 장점. 여러모로 서포터로 사용하기 좋은 포켓몬이다. 단 그만큼 [[도발(포켓몬스터)|도발]]에 매우 취약하니 주의. 공격과 특수공격은 낮지만, 기술폭 자체는 매우 차고 넘친다. [[폭음파]], [[매지컬샤인]], [[사이코키네시스]], [[사이코쇼크]]에 이어 삼색 펀치, 삼색 빔까지 온갖 기술을 섭렵하지만 가장 중요한 [[문포스]]는 배우지 못한다. 변화기를 채용하고 남는 기술칸은 주로 특수기가 많이 들어가기는 하지만, 4배 약점을 찌를 수 있는 [[고동치는달]] 상대로는 [[매지컬샤인]]보다는 [[치근거리기]]가 더 잘 들어가기 때문에 특수공격 하락 성격도 종종 채용된다. 레귤레이션 B 초반에는 [[하마돈]]과 비슷한 [[스텔스록]] 기점마련형 형태가 인기를 얻고 있는데 H252만 줘도 양내구가 7만을 넘어가고 약점도 3개밖에 없으며, [[멸망의노래]]도 있어서 스토퍼 역할도 가능하기에, 아군의 랭크업 스위퍼와 조합하기 좋은 포켓몬이다. 더블 배틀에서는 순수 서포터가 오히려 탑티어 딜러보다 강세이기 때문에 절찬리에 사용되고 있지만, 싱글에서는 서포터나 탱커도 최소한 유리 대면에서 상대를 돌파할 정도의 딜 소스는 필요하다보니 상대 체력을 까기가 너무나 어려운 우렁찬꼬리는 사용이 까다롭다는 평을 얻고 있다. 공특공이 65라는 미진화체 수준인지라 자속 치근거리기로도 4배 약점에 물리내구가 낮은 [[고동치는달]]을 아슬아슬하게 한방으로 보내는 정도인데, 맹독, 분노의앞니, 나이트헤드 등 고정 피해를 입히는 기술을 전혀 못 배워서 상대를 직접 제압할 수단이 전무하다. 나이트헤드라도 있었던 전작의 [[미라몽]]이 더블 배틀에서 롱런한 것과 비교하면 아쉬울 따름. 이마저도 도발이나 앙코르 채용률이 높은 [[무쇠보따리]], 자속으로 약점을 때리는 [[날개치는머리]]가 톱 티어인 점도 우렁찬꼬리의 사용률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 다른 매체에서의 모습 == == 기타 == * [[토게키스]], [[자시안]], [[러브로스]], [[무쇠무인]], [[두드리짱]]과 더불어 페어리 타입이 제 1타입인 포켓몬이다. * 패러독스 포켓몬 중 [[날개치는머리]], [[모래털가죽]]과 더불어 원본 포켓몬이 최종진화체가 아닌 케이스에 속한다. 세 포켓몬 모두 원본이 [[진화의 돌]]로 진화하는 공통점이 있다. * 색이 다른 우렁찬꼬리는 원본보다 색이 전체적으로 더 밝고 꼬리 끝이 선명한 분홍색이며, 눈이 빨간색인데, [[푸푸린]]의 모습과 비슷하다. * 푸린과 비교했을 때 생김새는 거의 같지만 앞머리의 길이가 매우 길다는 차이가 있는데 이름의 꼬리는 이 부분을 일컫는다. 현대의 푸린에게도 앞머리가 있지만 꼬리라고는 볼 수는 없을 정도로 크기가 매우 작은 것으로 볼 때 우렁찬꼬리가 현대의 푸린으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앞머리가 퇴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머리 뿐 아니라 뒤쪽에도 짤막한 꼬리가 나있다. * 패러독스 포켓몬들 중 원본과 종족값 차이가 가장 크다. * 푸린과 비슷하게 제한적으로 비행할 수 있다. 파도타기를 하면서 돌아다니면 푸크린 계열처럼 날아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배틀에서도 공중에 부유하는 스탠딩 모션이 존재하며, 볼에서 나왔을때 랜덤으로 볼 수 있다. * 우렁찬꼬리의 공식 일러스트는 원본 푸린의 공식 일러스트와 같은 자세로 그려졌다. * 일러스트나 도감 사진만보면 감이 잘 안오지만 푸린보다 2배넘게 크다. 푸크린보다도 크다. == 삽화 == || '''{{{#fff 포켓몬스터 스칼렛·바이올렛의 도감 이미지}}}''' || || [[파일:985 우렁찬꼬리 dex.png|width=50%]] || || '''우렁찬꼬리''' || == 국가별 명칭 == ||<:> {{{#FFF 언어}}} || {{{#FFF 이름}}} || {{{#FFF 유래}}}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일본어 || サケブシッポ || 叫ぶ尻尾(울부짖는 꼬리)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한국어 || 우렁찬꼬리 || 우렁차다 + 꼬리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영어 || Scream Tail || 소리치는 꼬리 || || [[파일:독일 국기.svg|width=20]]독일어 || Brüllschweif || - || ||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스페인어 || Colagrito || - || ||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0]]프랑스어 || Hurle-Queue || - ||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이탈리아어 || Codaurlante || - || || [[파일:대만 국기.svg|width=20]]중국어 || 吼叫尾[* hǒu jiào wěi] || 吼叫:큰 소리로 외치다. , 尾:꼬리 || [[분류:9세대 포켓몬]][[분류:패러독스 포켓몬]][[분류:페어리타입 포켓몬]][[분류:에스퍼타입 포켓몬]][[분류:진화체가 없는 포켓몬]][[분류:교배가 불가능한 포켓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