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 {{{+2 우드 디터 훔멜}}}[br]Udo Dater Fummel · ウド・デイター・フンメル''' || ||<-2>{{{#!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294px-Fummel_(BD).jpg|width=100%]]}}}|| ||<-2> '''[[은하영웅전설/애니메이션|OVA]]''' || ||<-2> '''{{{#000 인물 정보}}}''' || || '''신체 정보''' || 남성, ???cm, ?형 || || '''생몰년''' || ? ~ || || '''가족 관계''' || 불명 || || '''국적 및 소속''' || [[은하제국(은하영웅전설)|은하제국]] [[로엔그람 왕조]] || || '''최종 직책''' || 은하제국 고등판무관부 수석보좌관 || || '''최종 작위''' || 없음 || ||<-2> '''{{{#000 미디어 믹스 정보}}}''' || || '''성우''' ||<|2> 없음 || || '''배우''' || [목차] [clearfix] == 개요 == [[은하영웅전설]]의 등장인물. [[은하제국(은하영웅전설)|은하제국]]의 관료이자 법률가이다. 을지판에서는 우드 데이터 푼멜, [[서울문화사]]판에서는 우도 다터 품멜, [[이타카]]판에서는 우드 디터 훔멜로 번역했다. == 작중 행적 == [[바라트 화약]]에 따라 고등판무관으로 임명된 [[헬무트 렌넨캄프]] 상급대장의 보좌관으로 처음 등장하였으며, 계급이 언급되지 않는 것을 보면 군인이 아니라 행정관료 출신으로 추정된다. OVA에서도 군복이 아니라 마린도르프 백작 등이 입고 나오는 것 같은 양복을 입고 등장한다. 법에 관해서는 정통한 인물이었으며, 판무관부에 부임한 이후 동맹의 법률과 정책 등을 모조리 분석하여 어떻게 적국의 주요인물들을 옭아맬 수 있을지 연구한 인물이었다. 렌넨캄프가 [[양 웬리]] 처단을 결심하였을 때도 어떤 법에 근거하여 처벌될 수 있는 가에 대해 술술 읊었다는 점을 봐서는 어쨌든 이쪽 방면으로는 상당한 실력을 갖추었던 인물. 렌넨캄프에게 법률불소급의 원칙 때문에 반평화활동방지법 위반으로 양을 옭아맬 수 없으니 메르카츠에게 군함을 제공한 것을 이용하여 국방군 기본법과 일반 형법으로 직권남용죄와 배임횡령죄를 적용하라고 조언하였다. 사실 렌넨캄프를 보좌하기 위한 인물처럼 등장하였지만, 실상은 군무상서 [[파울 폰 오베르슈타인]] 원수의 지시에 따라 렌넨캄프의 일거수일투족을 보고하는 정보원으로 활동하고 있었다. 그 덕분에 렌넨캄프의 행동을 파악한 오베르슈타인이 넌지시 이 사건에 개입을 시도하였다. 물론 결과는 안좋았지만…. 렌넨캄프가 양 웬리 일당에게 납치되어 자살하는 등 사태가 급변하는 동안에도 고등판무관부를 계속 지키고는 있었지만, 무얼 어떻게 해야될 것인가를 판단하지 못하고 그저 분노와 공포심을 느끼고 있었다. 어쨌든 전후사정을 보면 오베르슈타인에게 버림받은 듯하다. 결국 [[마르 아데타 성역 회전]] 이후 라인하르트의 [[하이네센]] 입성을 앞두고 [[록웰]] [[대장(계급)|대장]]을 비롯한 동맹군내 불평분자들에게 [[조안 레벨로]]를 죽이라고 사주하였다. 여기에 넘어간 록웰과 반란장교들은 보신을 위해 레벨로를 죽이고, 제국군에게 항복하였다. 하지만 이 사건의 진상을 보고받은 라인하르트는 격노하였으며 훔멜을 잡아와 책임을 추궁하였다. 이에 "황제 폐하께 충성을 하기 위해 그런 것"이라 변명하였지만 라인하르트는 '''"짐에게 진심으로 충성했다면 렌넨캄프의 경거망동부터 막아야했다!"'''라는 반응을 보이면서 훔멜을 경질하고 제도 [[오딘(은하영웅전설)|오딘]]으로 보내버렸다. 그리고 이후 완전히 퇴장하였다. 일단 라인하르트를 격노하게 만든 인물치고는 죽음으로 그 대가를 치루지 않았다는 점에서 운이 좋은 편이다. 다만 훔멜은 어찌됐건 국가를 위해 사고를 친 것이니만큼 라인하르트도 분개하기는 했지만 그렇다고 죽이기는 내키지 않았을 것이다.[* 다른 사고친 당사자들은 렌넨캄프는 말로만 국가를 위해서지 실제로는 양 웬리에 대한 열폭, 록웰은 얄팍한 자기보신, 그리고 오베르슈타인은 국가를 위해 한건 맞지만 뭘 했다는 것은 드러나지 않았다.] OVA에서는 원작과 달리 분량이 팍 줄었다. 레벨로 살해도 훔멜이 부추긴 게 아니라 록웰의 독단으로 묘사되었으며, 렌넨캄프와 대화할 때도 나레이션만 흘러나올 뿐 대사는 한 마디도 없다. 레벨로 살해가 록웰의 독단으로 묘사되었기 때문에 이후 카이저 라인하르트의 질타를 받는 장면도 잘렸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로엔그람 왕조의 등장인물)] [[분류:은하영웅전설/등장인물/은하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