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릭스 버팔로즈/간략(투수))] ||
'''{{{#ffffff 우다가와 유키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파일:오릭스 버팔로즈 우승 엠블럼 V5.svg|width=70]][br]'''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 '''[[2022년 일본시리즈|{{{#9e751f 2022}}}]]''' || ---- ||
[[파일: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width=auto&height=70]][br]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c7bc69 '''우승반지'''}}}''' || ||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FFFFFF 2023}}}]]'''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30609 우다가와 유키.jpg|width=100%]]}}} || ||<-2> '''{{{#ffffff 오릭스 버팔로즈 No.14}}}''' || ||<-2> '''{{{#FFF {{{+2 우다가와 유키}}} [br] 宇田川 優希 / Yuki Udagawa}}}''' || || '''{{{#ffffff 생년월일}}}''' ||<(> [[1998년]] [[11월 10일]] ([age(1998-11-10)]세) || || '''{{{#ffffff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ffffff 출신지}}}''' ||<(> [[사이타마현]] [[코시가야시]] || || '''{{{#ffffff 학력}}}''' ||<(> 사이타마현립야시오미나미고교 - 센다이 대학 || || '''{{{#ffffff 프로입단}}}''' ||<(> 2020년 NPB 육성 드래프트 3순위([[오릭스 버팔로스|오릭스]]) || || '''{{{#ffffff 신체}}}''' ||<(> 184cm / 92kg || || '''{{{#ffffff 포지션}}}''' ||<(> [[투수]] || || '''{{{#ffffff 투타}}}''' ||<(> [[우투우타]] || || '''{{{#ffffff 소속팀}}}''' ||<(> '''[[오릭스 버팔로즈]] (2021~)'''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릭스 버팔로즈]]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일본인 아버지와 필리핀인 어머니를 둔 혼혈인으로, 초등학교 2학년 때 형의 영향으로 지역 소년야구 팀에 들어가 야구를 시작했다. 사이타마현립야시오미나미고교 3학년 재학중에는 [[고시엔]] 지역예선(사이타마현대회) 3회전에서 쇼치후카야고교 상대로 15회를 2-2로 버텨냈지만 그러나 재경기에서 팀은 패배하고 만다. 고교 시절엔 구속이 143km/h에 그쳤고 제구도 영 좋지 않아 주목받지 못했다. 고교 졸업 후 센다이대학에 진학했고 3학년부터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 3학년 봄, 가을 리그에서 규정이닝을 충족했고 특히 봄에는 5경기 28 1/3이닝 35탈삼진 평균자책점 0.64를 기록하였다. 대학 시절 최고 구속은 152km/h였고 평균 140km/h 중반대를 던졌다. 대학 시절 성적은 고교 시절보다 확실히 좋은 편이었으나 4학년 때 다소 부진한 것이 흠으로 남았다. 그 탓인지 2020년 NPB 드래프트에서 지배하 선수로 뽑히지 못했고 육성 드래프트 3순위로 오릭스 버팔로즈의 지명을 받았는데 정작 우다가와는 지배하 지명을 못 받을 경우 입단을 거부하고 사회인 야구로 갈 생각이라고 조사서에 기재했었다.[* 그럴만한 게 사실 우다가와는 당시 지배하 지명이 유력하다고 여겨지는 선수였다.] 사실 4학년 때의 부진 때문에 드래프트에 대한 불안감이 있었고 육성 선수로 지명되었을 때는 내심 안도했다고 한다. 그러나 이미 입단 거부 의사를 밝혔기 때문에 이대로 사회인 야구로 갈 수밖에 없는 운명인 듯 했고 그 때문인지 기자회견에서는 당혹스러워서 아무 말도 못했다. 다만 이후 입장을 번복, 결국 오릭스에 입단하게 된다. === 프로 입단 후 === 2021시즌 춘계캠프에서 재활조에 소속되었고 주로 팜 교류전이나 연습시합에 등판했다. 2군 공식전에서는 1경기만 등판했다. 미야자키 피닉스 리그 참가 후에는 폼 개조를 시작했다. 2022시즌에는 3월에 코로나 바이러스 양성 판정을 받으며 좋지 못한 출발을 했다. 그 결과 10일간의 격리생활 중 근육량이 크게 줄어버렸는데 이를 계기로 복귀 후 몸을 만드는 것에 전념, 구속이 크게 상승해 150km/h 중반대의 공을 꾸준히 던질 수 있게 되었고 제구도 좋아져 2군 공식전 15경기에 등판해 평균자책점 1.88을 기록. 7월 28일자로 등번호 96을 배정받으며 지배하 선수로 등록되었고 같은 달 31일에 1군으로 승격한다. 9월 8일 세이부전에서 선발 무쿠노키 렌이 오른팔 위화감을 호소하며 강판된 뒤 2번째 투수로 올라와 프로 첫 승리를 올렸다. 시즌 중후반에 1군에 합류해서 19경기밖에 던지지 못 했지만 22 1/3이닝 2승 1패 32탈삼진 평균자책점 0.81이라는 훌륭한 성적을 기록. 가을야구에서도 크게 활약했는데 특히 일본시리즈에서는 5 2/3이닝 무실점 10탈삼진을 기록하며 팀의 우승에 크게 공헌했다. 시즌 종료 후 연봉이 600%나 올랐다[* 450만엔→1700만엔(이상 모두 추정치)]. == 국가대표 경력 == 2022년의 활약을 높게 평가받아 WBC 일본 국가 대표팀에 발탁되었다. 약 2년만에 육성선수 - 지배하선수 - 국가대표라는 초고속 승진을 이루어낸 것. 이 후 3월 10일 [[이강철호/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일본전|한일전]]에 7회초에 계투로 등판하면서 일본 국가대표로써 첫 데뷔전을 가졌다. 여기서 [[최정]] - [[토미 에드먼]] - [[김하성]]을 상대로 탈삼진 2개를 포함해 단 11구만에 삼자범퇴로 지워버리는 피칭을 선보이며 괜히 초고속 승진을 이뤄낸 게 아닌 것을 보여줬다. == 피칭 스타일 == [youtube(wmiolSBzd_M)] 다소 투박한 폼에서 뿜어져나오는 최고 구속 159km/h, 평균 구속 152.5km/h의 포심 패스트볼과 슬라이더, 포크볼을 구사하는 우완 파이어볼러이다. 프로 이전부터 낙차 큰 포크볼이 주무기였는데 팀 선배 [[히라노 요시히사]]에게 포크볼이 결정구와 카운트 잡는 구종으로도 쓰일 수 있다는 것을 배웠고 포수 마츠이 마사토의 추천으로 포심에 가까운 궤적을 그리는 상대적으로 적은 변화량을 가진 포크볼을 장착. 140km/h 후반대의 덜 떨어지는 포크볼과 130km/h 후반대~140km/h 초반대의 더 떨어지는 포크볼,두 종류 포크볼을 구사하게 되었다. == 여담 == [[분류:일본의 야구 선수]][[분류:1998년 출생]][[분류:2022년 데뷔]][[분류:코시가야시 출신 인물]][[분류:우투우타]][[분류:우완 투수]][[분류:오릭스 버팔로즈/현역]][[분류:일본의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참가 선수]][[분류: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우승 선수]][[분류:필리핀계 일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