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별자리)] ||<-2> {{{+4 '''용자리'''}}}[br]Draco / Dra || ||<-2>[[파일:external/www.botproductions.com/chart_dra.gif|width=100%]] || || '''학명''' ||Draco|| || '''약자''' ||Dra|| || '''주요 별 수''' ||14|| || '''가장 밝은 별''' ||Eltanin (γ Dra, 2.24 등급)|| || '''가장 가까운 별''' ||HD 173739 & HD 173740 (11.5 광년)|| || '''한자명''' || || || '''인접 별자리''' ||작은곰자리, 기린자리, 큰곰자리, 목동자리, 헤라클레스자리, 거문고자리, 백조자리, 세페우스자리|| || '''관측 가능 여부''' ||O|| [목차] [clearfix] == 개요 == '''Draco, Dra''' [[북극성]]을 둘러싼 S자 형태의 꾸불꾸불한 모습을 한 [[별자리]]이다. 마치 [[드래곤]] 한마리가 우주를 나는 듯한 형태이다. == 상세 == 넓이에 비해 밝은 별은 많이 없는 별자리지만 이 별자리가 나름대로 유명해진 이유는 바로 용의 꼬리 부근에 위치한 [[알파성]] 투반.[* 알파성이지만 실제로 이 별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은 아니다. 가장 밝은 별은 감마별인 엘타닌이다. 투반은 3.65[[별의 등급|등급]]이고 엘레닌은 2.24 등급이다.] 이 별은 수천 년 전 한때 '''북극성이었다.''' [[고대 이집트]]에서 [[피라미드]]가 건설될 당시에는 하늘의 북극에 가장 가까웠으며, 그 후로 수백년 동안 북극성의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북극성은 지구의 [[세차운동]] 때문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움직이므로 세월이 흐른 현재는 [[작은곰자리]] 알파별인 [[폴라리스]]가 북극성이지만,[*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북극성]] 문서 참고.] 어쨌든 이 때문에 당시 이집트에서는 용자리를 신성시했고, 신전을 지을 때도 감마성 엘타닌이 보이는 방향으로 신전을 지었다. 이는 엘타닌이 용의 머리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 지금은 세차운동 때문에 방향이 어긋나 있다.] 이 별자리의 용은 대체로 헤스페리데스의 황금사과를 지키는 100개의 머리를 가진 용 [[라돈(동음이의어)#s-2|라돈]]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외에도 몇 가지 설이 더 존재한다. [[아레스]]의 성역인 샘을 지키다가 [[카드모스]]에게 죽는 [[드라콘 이스메니오스]]라든가, [[아폴론]]의 수레가 불타 떨어졌을 때 그 열기에 눈을 뜬 용이라는 설 등. 그 외에는 고대 신들과 연관된 설로, 최초의 혼돈 속에서 고대의 신들과 함께 탄생했던 용이 제우스를 필두로 한 젊은 신들과 싸웠을 때 아테나와 맞서게 되었는데, 아테나는 아이기스를 이용해 용을 물리치고는 용의 몸을 하늘로 던져 버렸다. 이 때 하늘로 나가떨어진 용은 하늘이 돌아가는 축에 부딪쳤고 그 축에 몸이 뒤틀린 채 걸려 하늘이 돌 때마다 함께 돌아가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용자리와 관련된 특이사항은 바로 이 별자리를 지나가는 [[유성우|유성군]]이 두 개나 된다는 점이다. 하나는 용자리 이오타성 부근을 중심으로 지나가는 커다란 유성군으로 사분의 유성군[* 라랑드 성좌 목록에서 용자리 이오타성과 헤라클레스, 목동자리 사이에 사분의자리를 만들었던 데서 유래한 이름. 현재는 사분의자리는 통용되지 않고 이름만 남아 있다.] 혹은 용자리 유성군이라 불리며, 다른 하나는 감마별 부근을 지나가는 대규모의 유성군인 용자리 감마 유성군, 일명 '자코비니 유성군[* 자코비니 [[혜성]]을 모혜성으로 갖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었다.]'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자코비니 유성군은 아직까지 아시아 지역에서는 목격된 바가 없다. 또한 지구는 [[세차운동]]을 해서 천구의 북극과 남극이 일정 주기마다 바뀌는데[* 이때문에 [[북극성]]과 남극성도 바뀐다.] 이 별자리의 델타별과 제타별 중간위치가 그 중심축에 해당해서[* 정확히는, 태양의 천구 북극.] 용자리는 항상 대부분의 별들의 적위가 65° 정도로 유지된다. 따라서 천구의 북극이 바뀌어도 우리나라에서 항상 관측 가능하다.[* 반대로 항상 관측 불가능한 경우는 [[황새치자리]]가 이에 해당한다.] == 창작물에서 == 서양 용인 라돈이 모티브이지만 몸이 길다는 이유로 동양용의 이미지가 많이 쓰인다. [[드래곤 하트]]에서는 드라코가 죽어서 이 별자리가 되는 장면이 있다. 게다가 이 용의 이름도 용자리 영칭인 Draco. [[세인트 세이야]]에서는 드래곤 성의가 용자리 모티브로 장착자는 [[드래곤 시류]], [[드래곤 류호]]이다. [[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에서는 [[류우가(메탈 파이트 베이블레이드)|류우가]]의 전용 베이인 [[라이트닝 엘드라고]], 메테오 엘드라고, 엘드라고 디스트로이가 용자리를 모티브로 했다. [[우주전대 큐레인저]]에서는 용자리를 모티브로 한 큐레인저 사령관이자 류 커맨더(드래곤 커맨더)인 [[쇼 론포]]도 있으며, 그의 출신별은 용자리계라고 한다. [[유희왕]]에서는 [[유희왕 GX(코믹스)|GX 코믹스]]의 [[마루후지 료]]가 이를 모티브한 [[사이버(유희왕)|사이버]] 카드들을 사용했다. 현재는 그 중 [[사이버 엘타닌]] 및 [[본 프롬 드라코니스]] 2장만 OCG화 되었다. 그리고 용자리를 모티브로 한 테마인 [[드라이트론]] 또한 존재한다. 몬스터가 각각 투반[* 용자리의 알파성], 라스타반[* 용자리의 베타성], 엘타닌[* 용자리의 감마성], 알타이스[* 용자리의 제타성], 알디바[* 용자리의 델타성], 용자리 감마 유성군에서 모티브를 따왔다. 두 테마는 등장 시기도 다르고 운영 방법도 다소 달라 모티브만 겹친 경우라고 볼 수 있지만, 일부 공통점이 존재하다.[* 드라이트론, 사이버 엘타닌 양쪽 모두 빛 속성/기계족의 특수소환 몬스터라서 [[이멀전시 사이버]]의 서치 범위에 들어간다. 또한 드라이트론을 묘지에서 제외하고 사이버 엘타닌을 특수소환 가능하다.] [[체스 오프닝]]의 일종인 [[시실리안 드래곤]]이 여기서 이름을 땄다. 흑의 [[폰(체스)|폰]] 구조가 용자리와 유사해서 이름이 붙었다. [[해리 포터 시리즈]]에서 [[드레이코 말포이]]의 이름이 여기서 따왔다. [[분류:별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