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용인시의 마을버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용인 39번 비야디차량.webp|width=100%]]}}}||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용인시 CI_White.svg|width=20]] {{{#ffffff 용인시 마을버스 39번}}} || ||<-6><:>{{{#!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용인39번버스 노선도.png|width=100%]]}}}|| ||<-2> 기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미금역) ||<-2> 종점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꽃메마을현대4차4단지) || ||<|2> 종점행 || 첫차 || 06:06 ||<|2> 기점행 || 첫차 || 06:00 || || 막차 || 23:48 || 막차 || 23:28 || ||<-2> 평일배차 || 10~25분 ||<-2> 주말배차 || 15~30분 || ||<-2> 운수사명 || [[구성운수·죽전운수·연원운수·한비운수|한비운수]] ||<-2> 인가대수 || 5대 || ||<-2> 노선 ||<-4> 미금역(1번 출구) - 오리역 - 현인마을 - 인현마을 - 새터마을5단지 - 건영캐스빌후문 - 대림아파트후문 → 단국대학교.죽전야외음악당.성현마을2단지 → 꽃메마을.세에덴교회 → 꽃메마을현대4차4단지 → 한양수자인 → 반도유보라 → 대림아파트후문 → 이후 역순 || == 개요 == 한비운수에서 운행 중인 마을버스 노선으로, 미금/오리역과 새터/내대지/꽃메마을을 잇는다. [[http://map.naver.com/?busId=11207&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2018년 8월부터 벽산아파트 대신 현인마을로 들어가게 되었다. == 특징 == * 미금, 오리역과 수지구 죽전동 내대지마을, 새터마을 등을 잇는 노선이며, 단국대학교 내부로는 들어가지 않고 꽃메마을에서 출발한다. '''주로 새터/내대지/꽃메마을 주민들의 지하철 연계 노선이다.''' * 원래 39번은 현재와 달리 [[용인 버스 39-1|39-1번]]처럼 벽산아파트-인현마을 경로로 갔었고, 39-1번은 현인마을을 들어가고 지금과 달리 현대1차 정류장에서 좌회전해서 지금의 [[용인 마을버스 22|22번]]이 가는 경로로 현암고와 죽전디지털밸리를 갔던 노선이었다. 하지만 현재와 같은 노선으로 됐다. * [[미금역 ]], 오리역에서 --내대지마을, 새터마을-- 꽃메마을 방면으로 갈때는 더 빠른 [[용인 버스 810|810번]], [[용인 마을버스 25|25번]]을 이용하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내대지마을, 새터마을 가는데, 이 두 버스 타면 답도없다-- 내대지마을 역시 돌아가기 때문에 이 노선보다 2배 넘게 비싼 [[성남 버스 102|102번]]을 타고 가는 승객도 있다. * 한때는 과속이 심했지만 위의 얘기는 옛날일이다. 물론 지금도 미금역-오리역 구간은 무정차라 810번을 제외한 다른 마을버스처럼 빠르지만 그 이후 구간은 '''매우''' 느려졌다. 농수산물센터 사거리(--오거리--) 신호체계 변동으로 오리역에서 현인마을 들어가는 시간도 늘어났고 죽전1동 전반에서 속도가 많이 죽었다. * [[미금역 ]] 방향으로 현대1차아파트나 대림아파트 후문 정류장에서 정차하고 간다. 둘 다 정차할 때는 승객으로서 환멸날 정도. * 원래 10분 간격으로 꾸준히 운행했지만 39-1번이 단국대학교로 단축되면서 두 노선이 엇배차로 운행하게 되었다. 39번이 한 대 오면 39-1번이 오는 방식. 따라서 통합 배차간격은 10분~15분 정도 된다. * 전 차량 전기 저상버스로 운행한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미금역]], [[오리역]]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7]] [[신분당선]] : [[미금역 ]] [[분류:용인시의 마을버스]][[분류:성남시 경유 관외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