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VOCALOID 프로젝트]][[분류:VOCALOID 오리지널 곡/2007년]][[분류:VOCALOID 전당입성]][[분류:나무위키 VOCALOID 프로젝트]] |||| {{{#ffffff {{{+2 '''龍ノ啼ク箱庭拠リ'''}}}[br](From A Miniature Garden Where The Dragon Howls)[br](용이 우는 모형정원에서)}}} || || '''가수''' || [[하츠네 미쿠]] || || '''작곡가''' ||<|2> [[요와네P]] || || '''작사가''' || || '''페이지''' || [[https://www.nicovideo.jp/watch/sm1411713|[[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https://www.nicovideo.jp/watch/sm1755073|[[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FULL버전], [[https://www.nicovideo.jp/watch/sm1804377|[[파일:니코니코 동화 아이콘.svg|width=24]]]][* 수정판]) || || '''투고일''' || 2007년 12월 18일 || || '''달성 기록''' || [[VOCALOID 전당입성]] || [목차] [clearfix] == 개요 == '용이 우는 모형정원의 거리'는 요와네P가 2007년 10월 30일에 최초로 [[니코니코 동화]]에 투고한 [[하츠네 미쿠]]의 [[VOCALOID 오리지널 곡]]이다. 이때는 1절만의 곡이었으나 후에 풀버전, 수정판을 공개하였으며 수정판이 [[VOCALOID 전당입성]]을 달성하였다. 작곡가인 요와네P가 다양한 보컬로이드 버전으로 투고하였다. === 설명 === 원래 의미는 '용이 우는 모형정원'''에서''''이나 한국에서는 '용이 우는 모형정원의 거리'라는 잘못 해석된 제목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항목도 처음에는 국내에서 더 많이 알려진 '용이 우는 모형정원의 거리'를 제목으로 하여 작성되어 있었다. 참고로 拠リ는 '~에서'라는 뜻으로[* 뉘앙스는 '~의 안에 틀어박혀서'에 가깝다.] '거리'라는 의미는 없다(street/distance 둘 다). 국내에 처음 알려질 때 拠(거)リ(리)로 해석된 듯. --흠좀무-- == 영상 == * 원본 [nicovideo(sm1411713)] * 풀버전 [nicovideo(sm1755073)] * 수정판 [nicovideo(sm1804377)] * 용이 우는 모형정원에서(act2) - [[카가미네 렌]](2008/08/13) [nicovideo(sm4270795)] * 용이 우는 모형정원에서 - [[카무이 가쿠포]](2008/09/16) [nicovideo(sm4642045)] * 용이 우는 모형정원에서 - [[메구리네 루카]](2009/10/27) [nicovideo(sm8628718)] * 용이 우는 모형정원에서 - [[네코무라 이로하]](2010/09/28) [nicovideo(sm12253464)] == 가사 == ||<:>
{{{#ffffff 夜の[ruby(帳, ruby=とばり)]下りて 月が舞台 照らす}}}|| ||<:>요루노 토바리 오리테 츠키와 부타이 테라스|| ||<:>밤의 장막이 내려와 달이 무대를 비추고|| ||<:>{{{#ffffff 私は一人踊るの}}}|| ||<:>와타시와 히토리 오도루노|| ||<:>나는 홀로 춤을 춘다|| ||<:>{{{#ffffff これは影の[ruby(叙事詩,ruby=じょじし)] 誰も知らぬ [ruby(物語, ruby=テイル)]}}}|| ||<:>코레와 카게노 죠지시 다레모 시라누 테이루|| ||<:>이것은 그림자의 서사시 아무도 모르는 이야기|| ||<:>{{{#ffffff 語られることなき 記憶}}}|| ||<:>카타라레루 코토나키 키오쿠|| ||<:>말해질 리 없는 기억|| ||<:>{{{#ffffff [ruby(今宵, ruby=こよい)][ruby(拝跪, ruby=はいき)]す 地の[ruby(徒, ruby=と)]が為}}}|| ||<:>코요이 하이키스 치노 토가 타메|| ||<:>오늘 밤 배궤한다 땅의 무리를 위해|| ||<:>{{{#ffffff [ruby(龍刻, ruby=りゅうこく)][ruby(縛, ruby=ばく)]す 意思の[ruby(暗闇, ruby=やみ)] [ruby(深淵, ruby=ふか)]く根を張り}}}|| ||<:>류우코쿠 바쿠스 이시노 야미 후카쿠 네오 하리|| ||<:>용이 새긴 결박이 의식의 어둠에 깊게 뿌리내려|| ||<:>{{{#ffffff 閉ざされた森の中 息[ruby(潜, ruby=ひそ)]め待つ}}}|| ||<:>토자사레타 모리노 나카 이키히소메 마츠|| ||<:>닫힌 숲 속에서 숨죽이며 기다린다|| ||<:>{{{#ffffff 絡まる[ruby(蔦, ruby=つた)][ruby(断, ruby=た)]ち [ruby(楔, ruby=くさび)][ruby(外, ruby=と)]る}}}|| ||<:>카라마루 츠타타치 쿠사비토루|| ||<:>얽힌 덩굴을 끊어 쐐기를 뽑는|| ||<:>{{{#ffffff 意味を 知りて}}}|| ||<:>이미오 시리테|| ||<:>의미를 알기에|| ||<:>{{{#ffffff [ruby(茨草, ruby=いばらぐさ)]喰い込む [ruby(身体, ruby=からだ)][ruby(抱, ruby=いだ)]き [ruby(昇, ruby=のぼ)]る}}}|| ||<:>이바라구사 쿠이노무 카라다 이다키 노보루|| ||<:>가시나무와 풀에 삼켜진 몸을 안아올려|| ||<:>{{{#ffffff [ruby(災, ruby=わざわ)]う力[ruby(解, ruby=と)]けせど}}}|| ||<:>와자와우 치카라 토케세도|| ||<:>재앙의 힘은 풀 수 없지만|| ||<:>{{{#ffffff 遠く龍[ruby(啼, ruby=な)]く空 届かぬ声[ruby(重, ruby=かさ)]ね}}}|| ||<:>토오쿠 류우 나쿠 소라 토도카누 코에 카사네|| ||<:>멀리서 용이 우는 하늘에 닿지 않는 목소리를 거듭해|| ||<:>{{{#ffffff いつか [ruby(碧空, ruby=へきくう)]に帰らん}}}|| ||<:>이츠카 헤키쿠우니 카에란|| ||<:>언젠가 창공으로 돌아가리라|| ||<:>{{{#ffffff [ruby(此, ruby=こ)]の[ruby(身体, ruby=み)][ruby(回紆, ruby=かいう)]す 血の[ruby(軌跡, ruby=きせき)]を}}}|| ||<:>코노 미 카이우스 치노 키세키오|| ||<:>이 몸의 돌아가며 구부러지는 피의 궤적을|| ||<:>{{{#ffffff [ruby(准, ruby=なぞ)]り[ruby(蠢, ruby=うごめ)]く [ruby(其, ruby=そ)]の[ruby(鼓動, ruby=おと)]は [ruby(深淵, ruby=ふか)]くへ[ruby(潜, ruby=ひそ)]み}}}|| ||<:>나조리 우고메쿠 소노 오토와 후카쿠에 히소미|| ||<:>모방해 꿈틀거리는 그 고동은 심연에 숨어|| ||<:>{{{#ffffff 私の中で[ruby(彼方, ruby=かなた)] 息[ruby(潜, ruby=ひそ)]め待つ}}}|| ||<:>와타시노 나카데 카나타 이키 히소메 마츠|| ||<:>내 안에서 당신은 숨죽이며 기다린다|| ||<:>{{{#ffffff [ruby(戒, ruby=いまし)]められし[ruby(身体, ruby=からだ)] [ruby(羨望, ruby=のぞ)]む}}}|| ||<:>이마시메라레시 카라다 노조무|| ||<:>결박당하지 않은 몸을 선망하는|| ||<:>{{{#ffffff [ruby(意思, ruby=もの)]の[ruby(宿命, ruby=さだめ)]}}}|| ||<:>모노노 사다메|| ||<:>의사의 숙명|| ||<:>{{{#ffffff 暗き泉の[ruby(淵, ruby=ふち)] 月が[ruby(水面, ruby=みなも)] 照らす}}}|| ||<:>쿠라키 이즈미노 후치 츠키가 미나모 테라스|| ||<:>어두운 깊은 연못의 수면을 달이 비추고|| ||<:>{{{#ffffff 私の姿映るわ}}}|| ||<:>와타시노 스가타 우츠루와|| ||<:>나의 모습도 비춰|| ||<:>{{{#ffffff [ruby(今宵, ruby=こよい)]流れるのは 誰も知らぬ [ruby(円舞曲, ruby=ワルツ)]}}}|| ||<:>코요이 나가레루노와 다레모 시라누 와르츠|| ||<:>오늘 밤 흐르는 것은 아무도 모르는 왈츠|| ||<:>{{{#ffffff 歌われることなき [ruby(旋律, ruby=メロディ)]}}}|| ||<:>우타와레루 코토나키 메로디|| ||<:>불려질리 없는 선율|| ||<:>{{{#ffffff 原始の記憶 [ruby(誘, ruby=いざな)]う[ruby(彼, ruby=か)]の地を[ruby(想, ruby=おも)]い}}}|| ||<:>겐시노 키오쿠 이자나우 카노 치오 오모이|| ||<:>원시의 기억을 자아내는 그 땅을 생각해|| ||<:>{{{#ffffff [ruby(煌, ruby=きらめ)]く星達 [ruby(彩, ruby=いろど)]る[ruby(天空, ruby=そら)]は遠く}}}|| ||<:>키라메쿠 호시타치 이로도루 소라와 토오쿠|| ||<:>빛나는 별들이 물들이는 하늘은 멀고|| ||<:>{{{#ffffff 龍[ruby(啼, ruby=な)]く 箱庭の中}}}|| ||<:>류우 나쿠 하코니와노 나카|| ||<:>용이 우는 모형정원 안|| ||<:>{{{#ffffff 吐息は[ruby(灼熱, ruby=しゃくねつ)]の[ruby(焔, ruby=ほむら)]を [ruby(喚, ruby=よ)]びて}}}|| ||<:>토이키와 샤쿠네츠노 호무라오 요비테|| ||<:>한숨은 작열하는 불꽃을 부른다|| ||<:>{{{#ffffff 深き森の[ruby(最奥, ruby=おく)]で 独り[ruby(彷徨, ruby=さまよ)]う日々}}}|| ||<:>후카키 모리노 오쿠데 히토리 사마요우 히비|| ||<:>깊은 숲속에서 혼자 방황하는 나날|| ||<:>{{{#ffffff [ruby(道標, ruby=みち)]は見えると信じて}}}|| ||<:>미치와 미에루토 신지테|| ||<:>길이 보이리라 믿으며|| ||<:>{{{#ffffff 翼の[ruby(戒, ruby=いまし)]めに [ruby(秘, ruby=ひ)]められし存在}}}|| ||<:>츠바사노 이마시메니 히메라레시 손자이|| ||<:>날개의 결박에 감춰진 존재|| ||<:>{{{#ffffff [ruby(制, ruby=せい)]し空へ帰らんと}}}|| ||<:>세이시 소라에 카에란토|| ||<:>통제된 하늘로 돌아가리라|| ||<:>{{{#ffffff [ruby(双頭, ruby=そうとう)]の龍舞う [ruby(遥, ruby=はる)]かなる[ruby(彼, ruby=か)]の地は}}}|| ||<:>소우토우노 류우 마우 하루카나루 카노 치와|| ||<:>쌍두의 용이 춤추는 아득히 먼 그 땅은|| ||<:>{{{#ffffff [ruby(古, ruby=いにしえ)]より変わらずに}}}|| ||<:>이니시에요리 카와라즈니|| ||<:>옛부터 변함없이|| ||<:>{{{#ffffff 月が紅く染まる 約束の[ruby(其, ruby=そ)]の日を}}}|| ||<:>츠키가 아카쿠 소마루 야쿠소쿠노 소노 히오|| ||<:>달이 붉게 물들 약속의 그 날을|| ||<:>{{{#ffffff [ruby(恋焦, ruby=こ)]がれ焼けた涙 [ruby(頬, ruby=ほほ)]を伝い[ruby(堕, ruby=お)]ちる}}}|| ||<:>코가레 야케타 나미다 호호오 츠타이 오치루|| ||<:>사랑을 바라며 불태운 눈물과 웃음을 전하며 떨어진다|| ||<:>{{{#ffffff [ruby(茨草, ruby=いばらぐさ)]喰い込む [ruby(身体, ruby=からだ)][ruby(抱, ruby=いだ)]き[ruby(昇, ruby=のぼ)]る}}}|| ||<:>이바라구사 쿠이노무 카라다 이다키 노보루|| ||<:>가시나무와 풀에 삼켜진 몸을 안아올려|| ||<:>{{{#ffffff [ruby(災, ruby=わざわ)]う力[ruby(解, ruby=と)]けせど}}}|| ||<:>와자와우 치카라 토케세도|| ||<:>재앙의 힘은 풀 수 없지만|| ||<:>{{{#ffffff 遠く龍[ruby(啼, ruby=な)]く空 届かぬ声[ruby(重, ruby=かさ)]ね}}}|| ||<:>토오쿠 류우 나쿠 소라 토도카누 코에 카사네|| ||<:>멀리서 용이 우는 하늘의 닿지 않는 목소리를 거듭해|| ||<:>{{{#ffffff いつか [ruby(碧空, ruby=へきくう)]に帰る日}}}|| ||<:>이츠카 헤키쿠우니 카에루 히|| ||<:>언젠가 창공으로 돌아갈 날을|| ||<:>{{{#ffffff [ruby(想, ruby=おも)]い [ruby(祈, ruby=いの)]る}}}|| ||<:>오모이 이노루|| ||<:>생각하며 바란다|| == 커버 == === 어레인지 === [[https://www.nicovideo.jp/watch/sm3933384|'선홍의 용이 우는 모형정원에서'(鮮紅ノ龍啼ク箱庭拠リ,The Grave of the red Scarlet Dragon)]] >요와네P이자 타이업왕자의 부탁이라면 거절할수 없지! [[데드볼P]]의 어레인지 버전. 2008년 7월 12일에 투고 되었으며 [[VOCALOID 전당입성]]을 달성하였다. 코멘트로써는 [[요와네P]] 본인이 부탁한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