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72년 은퇴]][[분류:1969년 데뷔]][[분류: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 기획자]][[분류:신천군 출신 인물]][[분류:한국 영화 감독]][[분류:대한민국의 애니메이터]] ||<-2> '''{{{+1 용유수}}}[br]Yong Yu-su'''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용유수 감독.jpg|width=100%]]]}}} || ||||<#ddd,#222> {{{-1 오른쪽 맨위애 있는 사진이 용유수 감독의 사진이다.}}} || ||<|2> '''출생''' ||[[1931년]] ([age(1931-01-01)]세)|| ||[[일제강점기 조선]] [[황해남도]] [[신천군]]|| || '''국적'''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width=25]] [[일제강점기 조선]](1931~1945)[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미군정)^^(1945~1948)[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1948~)|| || '''학력''' ||해주예술학교|| || '''직업''' ||[[애니메이션 감독]], 애니메이션 기획자|| || '''활동 시기''' ||[[1969년]]~[[1972년]]|| || '''가족''' ||[[아들]]||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애니메이션 감독]]겸 [[기획자|애니메이션 기획자]]. == 생애 == [[1931년]] [[황해도]] [[신천군]] 출신으로 해주예술학교에서 [[미술]]을 공부하고, [[1958년]] [[영화사]] 세기상사에 입사하여 선전부장으로 일하게 된다. 그즈음 디즈니의 애니메이션들을 수입해서 큰 이윤을 본 세기상사에서 직접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기로 하고, 그 첫 번째 기획을 신동우 화백 원작, 신동헌 감독의 <[[홍길동(1967)]]>(1967)으로 정한다. 그리고 그 기획과 제작을 맡아 <황금철인>(1968), <손오공>(1969), <보물섬>(1969) 등의 장편 애니메이션을 연달아 제작하고, 1969년 <홍길동 장군>부터는 직접 연출하기에 이른다. 이후 <왕자호동과 낙랑공주>(1971), <번개아텀>(1971), <괴수대전쟁>(1972) 등을 연달아 연출하며 1960년대와 1970년대 사이, [[한국 애니메이션]]의 첫 번째 붐을 장식한다. == 주요 경력 == * 한국전쟁 중 서울로 옮겨 와 명동 성당 인근 천주교 성구상에서 성구와 성모상 조각 * 1958년 영화사 세기상사 공채 입사하여 선전 및 홍보 담당 * 1960년대 중반 장편 애니메이션 제작 업무 * 1969년 <홍길동>의 속편인 <홍길동 장군>으로 감독 데뷔 == 작품 활동 == * 괴수대전쟁 (1972) * 여성의 적 암 (1972) * 주말을 가정에서 (1971) * 토끼와 거북이 (1971) * 새출발 (1971) * [[번개아텀]] (1971) * 돌아온 번개아톰 (1971) * 혹부리영감 (1971) * [[왕자호동과 낙랑공주]] (1971) * [[일편단심 갑순이]] (1969) * 홍길동 장군 (1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