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경산시의 면]] [include(틀:경산시의 읍면동)] ||<-2> '''[[경산시|{{{#000000,#dddddd 경산시}}}]]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용성면}}}'''[br]龍城面 | Yongseong-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산시 용성면&zoom=10,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상북도 || || '''기초자치단체''' || 경산시 || || '''행정표준코드''' || 5130041 || || '''관할 법정리''' || 20리 || || '''하위 행정구역''' || 29행정리 83반 || || '''면적''' || 79.44㎢ || || '''인구''' || 3,265명[* 2023년 8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41.10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경산시'''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윤두현]] ,,(초선),, || ||<-2> '''경상북도의원 | 제4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철식]] ,,(초선),, || ||<-2> '''경산시의원 | 마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김인수 ,,(초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미옥 ,,(3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양재영(정치인)|양재영]]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원효로 1423 (당리리 132) || || [[https://www.gbgs.go.kr/open_content/village/dong10/index.do|용성면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경산시에 있는 [[면(행정구역)|면]]이다. 남천면에 이어 경산에서 2번째로 인구가 적은 읍면이다. 경산에서 가장 오지인 곳으로, 여기와 같은 오지인 남천면은 [[경산 버스 남천1|남천1번]]으로 바로 위에 있는 경산시내와 이어져 교통이 비교적 낫지만 이 곳에서 밖으로 나가려면 한 시간씩 오는 [[경산 버스 용성1|용성1번]]을 기다려야 한다. 이 곳 근처의 지역 또한 자인, 남산, 청도 운문, 금천 같은 면밖에 없어 이 곳이 오지로 여겨지는 이유다. [[6.25 전쟁]] 때인 1950년에는 면사무소가 공비한테 불태워지기도 했으며, 2007년 일광리가 일제 잔재 청산 명목으로 쟁광리에서 개칭되었다. 이 곳의 학교 용성초와 용성중에는 각각 약 60명, 30명의 학생이 있다. 이 면의 남쪽에 있는 대종리, 용천리, 용전리 등을 흔히 '육동'이라고 부르며, 매남리에는 구룡산 속에 있는 경산 제일의 오지 마을인 구룡마을이 있다. 경산에서 제일 [[경주시]]와 가까운 면이며 최단거리 기준 3km를 두고 맞닿아 있지 않다. == 인물 == 공무원 한국사 강의로 유명한 [[전한길]]이 용성면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