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장.svg|width=26]]]]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ffffff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 || 427호 ||<|2> ← || '''428호''' ||<|2> → || 429호 || || [[제물포고등학교#s-5|인천 제물포고등학교 강당]] || '''서울 구 용산철도병원 본관''' || 벽걸이형 자석식 전화기 || ---- [[파일:external/planar.co.kr/1122612868.jpg]]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등록문화재]] 제428호.[* 근대건축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2008년]] [[10월 27일]] 지정.]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14길 35-29([[한강로동]] 65-154) 소재. [[파일:용산역사박물관 MI.svg|width=300]] 현재는 병원으로서의 역사를 마감하고 '''용산역사박물관'''으로 리노베이션되었다. [[https://museum.yongsan.go.kr|박물관 홈페이지]] [목차] [clearfix] == 개요 == [[1913년]] 용산에 설립한 [[조선총독부 철도국]] 산하 서울진료소가 전신으로 지금의 건물은 화재 후 [[1928년]]에 신축한 [[근대건축물]]이다. 당시 용산 일대는 철도 기지와 신시가지 및 용산에 주둔하는 [[조선군(일본제국)|조선 주재 일본군]]의 병참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개발된 곳으로 과거에는 용산 외에도 [[부산]][* 지금의 일본 영사관 자리(초량동)에 있다가 현재의 한성기린프라자 자리(범일동)로 이전해 국립부산병원으로 바뀌어 운영된 후 [[1984년]] 4월 부산보훈병원으로 바뀌었고 [[1992년]] 5월 다시 주례동으로 이전하여 현재에 이른다.], [[대구광역시|대구]](현재 [[민영화]]해 동인병원), [[순천]], [[원산]] 등지에 철도병원이 있었다. == 역사 == [[파일:중앙대학교용산병원개원.jpg]] 철도청은 서울철도병원을 민영화하기 위해 임대입찰공고를 냈고, 학교법인 중앙문화학원이 낙찰받았다. 그리하여 [[1984년]]부터 [[학교법인 중앙대학교|학교법인 중앙문화학원]]에서 서울철도병원의 부지와 건물을 임대하여 대학병원으로 운영하고 있었다. 그 후 시간이 지나고 2000년대가 되자 부지 소유자인 [[한국철도공사]]는 내보내려는 입장이었다. 결국 [[2007년]]에 철도공사가 반환 소송을 냈고 [[2009년]] [[12월 5일]] 승소함에 따라 결국 [[2011년]] [[3월 25일]], 임대계약이 만료되며 중앙대학교 용산병원의 진료도 종료되었다. 2011년 [[3월 31일]] 중앙대학교 용산병원의 폐업이 신고되면서 [[병원]]으로서의 역사는 마감되었다. 이후 신규 사업자를 모집한다는 얘기가 있었지만 현재까지 모집을 못하고 방치되어 있었다. 반드시 병원으로 써야 한다는 조건이 부담스럽다는 듯. 결국 [[2019년]]이 되어서야 [[용산구]]에서 한국철도공사로부터 [[기부채납]]을 받아 구립 역사박물관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최종 결정되었다. [[2021년]] 구 중앙대학교 용산병원 건물이 철거되었고, [[2022년]]에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건물에 용산역사박물관이 개관했다. == 연혁 == === 서울철도병원 === * 1907년 12월 1일 - 용산동인병원 개원[* [[한국통감부]] 철도국이 주도하여 설립되었고, 실질적으로도 철도병원의 역할을 하였다.] * 1913년 9월 - 용산철도병원으로 개칭 * 1926년 4월 1일 - 용산철도의원으로 개칭, [[조선총독부 철도국]]이 직영 * 1928년 - 현존 병원건물 신축 * 1938년 6월 - 경성철도병원으로 개칭 * 1947년 5월 1일 - 서울운수병원으로 개칭 * 1953년 6월 1일 - 서울교통병원으로 개칭 * 1963년 9월 1일 - 서울철도병원으로 개칭 * 1972년 2월 1일 - 서울병원으로 개칭 * 1984년 7월 1일 - [[대한민국 철도청|철도청]], 서울병원을 중앙문화학원에 위탁, 중앙대학교 부속 용산병원으로 개칭 * 1991년 11월 13일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용산병원으로 개칭 * 2004년 12월 6일 중앙대학교 용산병원으로 개칭 * 2008년 10월 27일 - [[등록문화재]] 제428호로 지정 * 2011년 3월 25일 - 용산병원 진료 마감 및 현 [[중앙대학교병원]]으로 이전 완료 * 2011년 3월 31일 - [[학교법인 중앙대학교]], 용산병원 폐업신고 * 2022년 3월 23일 - 리노베이션하여 용산역사박물관으로 재탄생 === 부산철도병원 === * 1944년 4월 1일 - 부산교통병원 개원 * 1947년 5월 1일 - 부산운수병원으로 개칭 * 1950년? - 한국전쟁으로 건물 소실, 이전 * 1953년 6월 1일 - 부산교통병원으로 개칭 * 1963년 9월 1일 - 부산철도병원으로 개칭 * 1970년 2월 13일 - 서울철도병원 부산분원으로 개칭 * 1972년 2월 1일 - 부산병원으로 개칭 * 1983년 8월 8일 - 철도청, 부산병원을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한국원호복지공단]]에 매각 * 1984년 4월 3일 - 한국원호복지공단, 부산보훈병원 개원 === 순천철도병원 === * 1937년 8월 - 순천교통진료소 개원 * ? - 순천교통병원으로 개칭 * 1963년 9월 1일 - 순천철도병원으로 개칭 * 1970년 2월 13일 - 폐원 === 마산철도병원 === * 1961년 2월 27일 - 마산교통병원 개원 * 1963년 9월 1일 - 마산철도병원으로 개칭 * 1970년 2월 13일 - 서울철도병원 마산분원으로 개칭 * 1972년 - 폐원 === 기타 === * 1942년 4월 1일 - 평양철도진료소 개원 * 1944년 4월 1일 - 평양교통병원으로 개칭 * 1943년 2월 1일 - 함흥교통병원 개원 === 철도간호전문대학 === 서울철도병원에는 철도청 산하의 철도간호전문대학도 있었다. [[한국철도대학]]과 [[철도고등학교]]와 마찬가지로 학비는 전액 국고지원되었다. 철도병원으로의 특채제도를 운영했는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연혁은 다음과 같다. * 1914년 - 용산철도병원 부속 간호부양성소로 개교 * 1945년 - 미군정의 운수부가 주무기관이 되면서 운수고등간호학교로 변경 * 1970년대 - 철도간호학교로 개편 * 1977년 - 철도간호전문학교로 개편 * 1979년 - 철도간호전문대학으로 개편 * 1985년 - 폐교[* 철도고등학교도 이듬해인 1986년 폐교되었다. 이 시기에 폐교된 철도고등학교는 지금의 [[용산철도고등학교]]가 아니라 철도전문대학 부설 철도고등학교였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철도대학]] 문서 참고.] == 외부링크 == 철도산업정보센터, 국유철도의 조직 [[https://www.kric.go.kr/jsp/railman/blg/historyBlogList.jsp?q_relorg=nr3|*]] [[분류:대한민국 철도청]][[분류:서울특별시의 병원]][[분류: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분류:근대건축물]][[분류:공립박물관]][[분류:용산구의 건축물]][[분류:1913년 건설]][[분류:1928년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