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언어별 욕설]][[분류:중국어]]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욕설)] [목차] == 중국 == * [[세계인 비하명칭]] * [[한국인]] * [[가오리방쯔]](高麗棒子/高丽棒子 [Gāolí Bàngzi], 고려봉자) / [[한궈빵즈]](韓國棒子/韩国棒子 [Hánguó Bàngzi], 한국봉자) / [[방쯔]](棒子 [Bàngzi], 봉자): 직역하면 고려 [[몽둥이]]라는 뜻으로, 한국인이나 조선족, 산둥성 사람에 대한 별명 혹은 비칭이다.[* 산둥성 사람을 욕할 때는 산둥방쯔이나, 별로 쓰지 않는다.] 보통 방쯔로 줄여서 쓰며, 이 욕설의 유래에 대해 여러가지 가설들이 있다. * [[씨발|샤오시바]](小西八 [xiǎo xībā], 소서팔), 또는 시바(西八): 작은 국가를 낮잡아 이르는 샤오(小)와 한국어 욕설 [[씨발]]을 음차한 시바(西八)의 합성어. 샤오(小)를 빼고 시바(西八)라고 줄여서 쓰기도 한다. 주로 [[분청]]들이 2020년대 들어 많이 사용하며, 인터넷상에서 방쯔 또는 가오리방쯔보다 사용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시바가 욕설 필터링에 걸리면 발음이 같은 西巴[xībā] 또는 西吧[xība]와 같이 우회하기도 한다. * [[일본인]] * [[르번구이쯔]](日本鬼子 [Rìbĕn guĭzi], 일본귀자): 일본 놈. 기타 외국인에 대한 욕과는 차원이 다르다. [[중일전쟁]] 당시 일본침략군이라는 뜻. [[2ch]]의 일본인들은 저 욕설을 '''[[모에화]]'''하는 비범함을 보였다. 물론 중국인들은 이를 불쾌해한다. 항목 참조. * [[샤오르번]](小日本 [xiǎo Rìbĕn], 소일본): 작은 국가를 낮잡아 이르는 샤오(小)와 일본의 합성어. 그런데 샤오(小)가 작은 국가를 낮잡아 이르는 말인 동시에, 작고 귀여운 것에 붙는 애칭이기도 하기 때문에 르번구이쯔와 마찬가지로 일본인들에 의해 [[모에화]]를 당하기도 했다. * [[인도인]] * [[아삼|아싼]]([[阿]][[三]] [Āsān], 아삼) * [[러시아인]] * 마오쯔(毛子 [Máo‧zi], 모자): [[로스케]]와 비슷한 뉘앙스. * [[미국인]] * 메이궈라오(美国佬 [Měiguólǎo], 미국로): [[양키]]와 비슷한 뉘앙스. 그러나 생각보다 자주 쓰이진 않는다. * 기타 [[인종차별]] * 허우쯔(猴子 [Hóu‧zi], 후자): 단어 자체는 원숭이라는 뜻이지만, 동남아 사람들에 대한 멸칭으로도 쓰인다. [[똥남아]]와 비슷한 뉘앙스. * 헤이꾸이(黑鬼 [Hēiguǐ], 흑귀): 흑인들에 대한 멸칭. [[니그로]], [[Nigger]]라는 뜻이다. 직역하면 검은(黑) 귀신(鬼). * 바이꾸이(白鬼 [Báiguǐ], 백귀): 백인들에 대한 멸칭. 흰둥이라는 뜻이다. 직역하면 하얀(白) 귀신(鬼). * [[무슬림]] * 뤼뤼(绿绿 [Lǜlǜ], 녹록): 무슬림에 대한 멸칭. 녹색이라는 뜻으로, 이슬람에서 녹색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다. 원래는 인터넷 검열을 피하기 위해 사용되는 은어였으나 이슬람의 이미지가 나빠지면서 욕설에 가깝게 사용되기 시작했다. [[개슬람]]과 비슷한 뉘앙스. * 냐오위(鸟语 [Niǎoyǔ], 조어): 본인 기준으로 알아듣지 못할 언어에 대한 멸칭. 예를들어 중국인 앞에서 한국어를 구사하면 그게 냐오위가 되는 것. 직역하면 "새들의 언어", "짐승의 언어", "새소리"가 되겠다. * 찡까알(井盖儿 [Jǐnggàir]): 원래는 맨홀 뚜껑이라는 뜻이지만 [[허난성]] 사람들이 이걸 훔치고 다닌다는 편견이 있어서 일종의 [[지역드립]]으로 쓰인다. * 친셔우/추셩(禽兽 [Qínshòu]/畜生 [chù‧sheng]): 짐승. 여자를 겁탈하는 남자, 자식/부모 살인자 등등 윤리를 범하는 자들에 대한 욕설. 하지만 둘 다 약간 고전적인(?) 욕설로, 뜻은 알아듣지만 현대에서 그걸 욕설에 쓰는 경우는 생각보다 많지 않다. * 이관친셔우(衣冠禽兽 [Yīguān qín shòu]): 사람 모습을 한 금수/짐승. 친셔우의 심화 버전으로 아주 심한 욕설이다. * 싼바(三八 [sānbā]): 여성 비하하는 욕이다 * 빠포(八婆 [Bāpó]), 싼바포(三八婆 [sānbā pó]): [[엠창]]과 동급의 여성 멸칭. 원래는 앞의 형태로 쓰였으나 [[국제 여성의 날]]이 제창되면서 해당 날이 3월 8일임에 착안해 후자의 형태로도 쓰이고 있다. * 짜난(渣男 [Zhānán]): 쓰레기 같은 남자 라는 뜻이다. 보통은 이성교제에서 행실이 바르지 못한 남성[* 양다리 등]을 욕하는데 쓰인다. 드라마에서 쓰이기도 한다. * 짜뉘(渣女 [Zhānǚ]): 짜난의 여자버전. 드라마에서 쓰이기도 한다. * 궈난(蝈蝻 [Guōnǎn]): 중국의 [[자국 이성 혐오]]자들이 사용하는 자국 남성 비하 용어로, 자국 남성을 의미하는 国男[Guónán]과 발음이 같으면서 虫가 들어간 한자를 가져다가 차용한 용어로 보인다.[* 어느 욕설이든 다 그렇겠지만(...) 蝈(청개구리 괵)와 蝻(메뚜기 남) 모두 일상생활에서는 사용할 일이 전혀 없는 벽자이다.(...)]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서로의 성조로 바꿔서 읽기도 하며(...)]], 한국어로 번역하자면 '중남충' 정도가 되겠다. 그야말로 중국판 [[한남충]]. * --샤과(傻瓜 [Shǎguā])--: 바보. 엄밀히 따지면 욕이 아니다. 부모가 애들을, 썸남썸녀 끼리 백치미를 칭찬할 때 쓰는 말이다. 말 그대로 '바보'라는 말로 일상적으로 쓰는 표현이지 욕설로 취급하긴 어렵다. 부모-자녀, 이성 간 뿐만 아니라 친구 간에도 편히 쓰인다. * 뻔딴(笨蛋 [Bèndàn]): 멍청이, 바보, 숙맥, 얼간이. (욕하는 말로 쓰임) 사실 교과서나 TV에도 나오는 순한 욕으로 평소엔 잘 쓰지 않는다. 蛋이 들어간 욕설들은 수위가 낮기 때문에 TV에 자주 등장한다. * 훈딴(混蛋 [Húndàn]): 직역하면 '잡종'에 가까운 뜻이지만 '나쁜 놈'으로 자주 번역된다. 사극, 현대극 가리지 않고 중국드라마에 자주 등장한다. * 처단(扯蛋 [Chědàn]): 개소리. 수식어가 붙어 샤지바처단(瞎鸡巴扯蛋), 처지바단(扯鸡巴蛋)이 되기도 한다. 직역하면 불알 뜯는 소리. * 차오단(操蛋): 쓰레기라는 비속어이다. [[좆같다]]와 쓰임새가 비슷하다. * 왕바단(王八蛋 [Wángbādàn]): 중국어로 직역하면 '자라 알' 을 뜻한다. 유래를 따지자면 고대 중국에선 자라는 수컷이 없어서 생식을 하려면 암컷 자라와 뱀과 교미를 하는거라 생각해서 대충 부인이 바람 피워서 낳은 아기를 자라알이라 불렀다고... 하여간 단어 자체의 [[뉘앙스]]까지 따진다면 '호로새끼' 내지는 '애비없는 자식' 정도 된다. '''중국 남자에게 할 수 있는 최악의 욕설'''이다. 왠만하면 쓰지 말자. 수위가 방송불가급은 아니라서 중국드라마에서 젊은 여자가 매너없는 남자에게 자주 쓴다. * 얼(二 [èr]): 숫자 2이지만 중국어에서 욕으로 쓰이기도 한다. 형용사로 쓰이며 얼간이라는 뜻이다. * 얼바이우(二百五 [èrbǎiwǔ]): 숫자 250[* 한자만 보면 205지만 바로 뒤에 오는 십진 체계 단위가 앞보다 한 단계 낮은 경우 이를 생략하는 언어상 관습 때문에 '이백오' = '이백오(십)' = 250이 된다.]의 중국어로 멍청이라는 뜻이다. 유례에 대해서는 [[http://hljxinwen.dbw.cn/system/2011/10/28/000416659.shtml|돈의 단위에서 유래했다는 설]], 혹은 [[http://www.tradeking.co.kr/tradeking/board.php?board=cultureforum&page=3&category=1&command=body&no=452&PHPSESSID=b13b2603d3e655144328911996841641|전국시대 제나라에서 있었던 일에서 유래했다는 설]] 등이 있다. 중국드라마에 대사로 등장하기도 한다. * 샤비(傻[[屄]], 傻逼 [shăbī], SB)[* 보통 '비'를 영문 B로 표기한다.]: '''중국 국민 욕설로 사용 빈도수가 타 욕설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다.''' 씹구녕[* 직역하면 그렇지만 이런 의미로 잘 안 쓰이며 의외로 친한 친구들 사이에서 자주 쓰이는 말이다.], 한국어 욕설 중 '병신새끼'와 가장 유사하다. 줄여서 SB. 영화 [[범죄도시]]에서도 [[마석도]]와 강력반 팀에게 잡힌 흑룡파 조직원인 [[위성락]]이 심문 중에 이 욕을 썼으며, 옆에 있던 통역관이 '병신'으로 해석했다. 모 게임 한국 서버에서는 중국인들이 가끔 들어와서 棒子国(한국 비하 멸칭)sb라고 하기도 한다. * 얼비(二屄, 二逼 [Èrbī]): 사삐의 순화 버전으로 얼간이라는 뜻이다. * 지바(鸡巴 [Jī‧ba], JB): 남성의 성기, 정확히는 "[[좆]]" 의미로 쓰인다. 우리나라 방송에 좆이라는 단어가 등장하지 않듯 중국방송에도 등장하지 않는 표현이다. * 댜오([[屌]] [Diǎo]): 역시 "좆"이라는 뜻이지만 이 경우는 찌바와 달리 "폼 잡는다", "간지 작살"의 뜻으로 쓰인다. * 나오찬(脑残 [Nǎocán], NC): 직역하면 지적장애인인데, 저능아/빡대가리 정도로 해석 가능. 한때 [[합한족]]들을 지칭하는 욕으로 통했다. * 션징빙(神经病 [Shénjīngbìng]): 한자 그대로는 신경병, 직역하면 [[정신병]]이지만 한국어로 따지면 미친놈, 또라이 정도의 뜻이 되며 일상에서 사용 빈도가 높다. 중국드라마에 자주 등장하는 표현이다. * 아삥거(阿兵哥 [Ābīnggē]): [[군바리]]라는 뜻. * 왕바가오쯔(王八羔子 [Wáng‧ba gāo‧zi]): 왕바단과 같은 의미긴 하나 더 심화된 욕이다. * 샤오투짜이쯔(小兔崽子 [xiǎotù zǎi‧zi]): 고얀놈. 영어에서의 'you little ...' 계열의 욕과 정확히 일치한다. 주로 어린아이를 욕할 때 쓴다. 드라마에도 등장하는 표현이다. * 아시바(阿西吧 [ā xība]): 한국의 욕설 '아 [[씨발]]'을 음차한 욕. 阿(아)를 때고 西吧만 쓰기도 한다. * 차오([[肏]] [cào])[* 대만에서는 같은 의미의 카오(靠 [kào\])도 있다.]: Fuck과 의미도 같고, 쓰임새도 같다. 원본인 肏는 모양부터 노골적이기 때문에[* [[入]](들 입)과 [[肉]](고기 육)이 합쳐진 [[회의자]]다.] 발음이 비슷한 [[操]](cāo)나 [[草]](cǎo) 등으로 우회해서 표기하기도 한다. 비슷한 발음의 단어로는 [[이탈리아어]]의 '안녕'(Ciao)가 있다. --이탈리아 사람들이 절대 중국에 가면 안되는 이유-- --중국에서 [[벨라 챠오]] 불렀다가는...-- * 차오니마(肏你妈 [cào ní mā]): '''중국 국민 욕설 2'''. [[니미]], 니미럴놈, 니기미 씨부랄, 씨발놈, 니네(你) 엄마(妈)를 오늘 밤에 범하겠다(肏), 니네 엄마 쩔더라. Fuck과 같은 쓰임새인 만큼 수많은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 본래 肏你妈가 가장 정확한 표현이지만 한자 '肏(성교하다)'의 강한 어감 상 발음이 같은 操/草로 대체시켜 사용하곤 한다. 우스운 점은 중국에서는 동물 [[알파카]]도 차오니마(草泥馬, 풀에 진흙을 섞어 먹는 말이란 뜻이다.)라고 불러 중화권 인터넷에서는 알파카에게 肏你妈라 이름 붙여 [[모에화]]하는 [[밈(인터넷 용어)|밈]]이 흥행하기도 했다.(神兽라고도 하며, 중국 본토에서는 차오니마의 각종 우회어들이 操你妈=肏你妈=草泥马=神兽=草你妈로 통하며 실상 전부 같은 뜻을 가진 욕설이다, 온라인 게임할 때 주의하자). 인터넷에서는 CNM이라고 줄여쓰는 경우도 잦다. [[我]]를 붙여서 '워차오니마'라고도 한다. * 워차오(我肏) * 차오니쭈쭝스바다이(肏/操你祖宗十八代 [Cào nǐ zǔzong shíbādài]) : 차오니마의 심화 버전으로 직역하면 니네(你) 조상(祖宗)위로 18대(十八代)까지 범하겠다(肏/操) 라는 뜻이다. '''중국대륙 욕설 중 가장 심한 욕설'''으로 이 욕을 사용하면 보통 관계 단절을 의미한다. * 니마비(你妈逼 [Nǐ mā bī]): 직역하면 '니네(你) 엄마(妈) [[보지]](逼)'로, [[니미럴]] 의미로 쓰인다. 마비(妈逼)로 줄여서 쓰거나 앞에 차오를 붙여 차오니마비(操你妈逼)로 쓰기도 한다. 逼는 저속한 글자인 [[屄]]를 대체하는 글자. 肏你妈屄라고도 한다. * 니마쓰러(你妈死了) : 직역하면 '니에미 뒤짐'으로 위와 같이 패드립이다. 중국 인터넷 등지에서 축약어로 자주 쓰이는 NMSL이 바로 이거다. 비슷한 변형으로 WDNMD도 있는데, 이는 중국의 한 프로게이머에서 유래되어 유행했다고 알려져있다. WDNMD는 대략 우리나라의 [[응 니 애미]]와 비슷한 위상. * 니다예(你大爷 [Nǐ dàyé]): 니 애비/할애비. 의외로 순화된 욕으로 친구끼리 자주 쓴다. * 타나이나이(他奶奶 [Tā nǎinai]): 제기랄. 상대방을 욕하는 게 아닌 본인의 상스러운 일을 탓하는 욕으로 자주 쓰인다. * 펑쯔(疯子 [Fēng zi])[* 펑런(疯人 [Fēng rén\])보다 더 잘 쓰인다.]: 정신질환자, 미치광이, 광인(狂人), 이성을 잃은 사람, 미친 놈. 뉘앙스로 따지면 또라이 정도 된다. 드라마에 대사로 가끔 등장한다. * 포셰(破鞋 [Pò xié]): 직역하면 '해진 신발'이지만 일반적으로는 [[걸레]]같은 년. 음탕한 년을 뜻한다. 잘 쓰지는 않고 주로 여자끼리 뒷담화할 때 쓴다. 중국드라마에 가끔 등장하는 표현이다. * 싸오훠(骚货 [Sāo huò]): 걸레년 * 젠훠(贱货 [Jiàn huò]): 썅년 * 뱌오쯔(婊子 [Biǎo zi]): 창년, 썅년, [[매춘부]] * 마쯔(马子 [Mǎ zi]): 여친을 비하하는 말 * 카이쯔(凯子 [Kǎi zi]): 남친을 비하하는 말 * 샤오싼(小三 [Xiǎo sān]): 첩, 유부남과 간통하는 여인을 비하하는 말이다. 제3자라는 뜻으로 숫자 삼(三)에 일반적으로 비하하는 뜻인 작다(小)가 수식어로 붙은 경우다. 참고로 중국에서 [[미니 쿠퍼]]는 부자/당간부들의 첩들이 타고 다니는 차라고 해서 샤오싼처(小三车)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방송불가급 표현은 아니라서 드라마에 가끔 등장한다. * 볘싼(瘪三 [Biē sān]): 거지 새끼. 중국드라마에 가끔 등장하는 표현이다. * 피쯔(痞子 [Pǐzi]): 씹양아치 * 거우르더(狗日的 [Gǒu rì de]): 제기랄. 수식어가 없으면 상대방이 아닌 불특정 제 3자를 욕하는 말로 재수 없다는 뜻이다. 직역하면 "개새끼가 씨부랄 것" 정도가 되겠다. 중국드라마에 가끔 등장하는 표현이다. * 르(日 [Rì]): 해 일자가 중국어에서는 단 하나의 한자로 욕이 될 수 있다. 일본을 뜻하기도 한다. Fuck와 뜻이 같다. 차오 대신에 많이 쓴다. * 르니다예(日你大爷 [Rì nǐ dàyé]) : "니네 애비/할애비를 범하겠다"라는 뜻으로 차오니마의 성별 전환 버전이다. * 간(干 [Gàn]) : 르, 차오와 같은 뜻으로 Fuck라는 뜻이다. 뒤에 엄마/아빠 등 가족이 주로 붙으며 가족안부를 묻는 대표적인 표현이다. 이와 관련된 유명한 중국 유머가 있다. [[조조]][* 중국어 발음은 차오차오(Cáo Cāo)]가 [[장간]][* 중국어 발음은 장간(Jiǎng Gàn). 원래 글자는 幹인데 [[간체자]]에서는 이 항목과 같은 干으로 간화된다.]을 보고는 "간(干), 니마(你妈, 너희 엄마) 하오마?(好吗?, 잘있냐? 또는 좋냐?)"[* 붙여서 읽으면 '''[[패드립|니네 엄마 범해도 좋냐?]]'''(...)가 된다.]라고 인사하자 장간이 "차오(肏), 니마 하오마?" ~~좆조님 어머님은 멀쩡하십니까~~로 응수했다고 한다. * 니메이(你妹 [Nǐ mèi]): 너네 여동생이라는 뜻으로, 대표적인 가족 안부이자, 기분이 안좋을 때 건드리면 흔히 나오는 반응이다. 어디까지나 친구끼리... * 댜오쓰(屌丝 [Diǎosī]):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자조적 욕설, 인터넷 파생 욕설로''' 직역하면 실좆이라는 뜻이지만 루저, 찐따, 흙수저 등등 뜻이 섞인 단어로 한줌되는 월급으로 하늘을 치솟는 집값, 결혼 비용[* 조금만 성대하면 못해도 백만 위안(약 2억원 정도)은 족히 넘어가서 결혼 비용을 못갚고 파산하거나 이혼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에 허덕이며 기성세대/기득권/금수저에 밀려 3류 인생을 사는 현시대 중국 젊은이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 니요우삥아(你有病啊? [Nǐ yǒu bìng a]): 너 돌았냐?라는 뜻으로 거의 모든 중국드라마에 등장하는 표현이다. * 다이뤼마오쯔(带绿帽子 [Dài lǜmàozi]): 녹색 모자를 쓰다. 본인의 아내/여친이 다른 남자와 잤는 데 본인만 이 사실을 모르고 있다는 뜻이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녹색 모자가 더럽게 안 팔린다.(...) 한국어로 치면 [[퐁퐁남]]과 의미가 완전히 일치한다.(...) 뿐만 아니라 중국 컨텐츠에서도 남성 등장인물들의 애인 혹은 부부가 다른 남자와 썸 혹은 바람을 피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질때 주변 패널들이 녹색 모자 드립을 치면서 개그 포인트를 만든다.[* 특히 중국의 유명 추리예능인 [[명성대정탐]] 시리즈에서도 에피소드 속 남성 등장인물들의 애인 혹은 아내에게 내연남이 있다고 하면 본 '''남편역을 맡은 배우의 머리 혹은 옷에 녹색 CG 혹은 초원 CG를 씌운다.'''] * 진싼팡(金三胖 [Jīn sān pàng]): 김 씨의 비칭, 즉 김정은을 조롱하는 용어. 셋째 뚱보라고 부른다. 싼팡쯔(三胖子)라고 부르기도 한다. * 진이팡(金一胖 [Jīn yī pàng]): 김일성을 빗대어 부르는 용어, 뜻은 김씨네 첫째 뚱보. * 진얼팡(金二胖 [Jīn èr pàng]): 김정일을 부르는 비하 명칭. 김씨네 둘째 뚱보. * 썽무뱌오(圣母婊 [Shèngmǔ biǎo]): 성모[* 기독교에서 말하는 성모 마리아가 아니라, 성녀 정도의 이미지로 생각하면 쉽다.]+기생이라는 단어의 조합으로, 착함이 도를 넘어서 민폐충이나 사회에 해악을 끼치는 존재에까지도 감성적으로 자비를 베푸는 사람들을 욕하는 단어. 가장 비슷한 단어라면 PC충 정도가 있겠지만 PC충보다도 범위가 더 넓다. * 톈거우(舔狗): 자신을 좋아하지 않는 이성을 상대로 자신의 존엄까지 버려가며 호구처럼 행동하고 찌질대는 사람을 말한다. 기본적으로 남성을 지칭하기 때문에 여성일 경우 앞에 여(女)자를 붙여서 뉘톈거우라고 말한다. [[보빨러]]나 [[퐁퐁남]]과 비슷하면서도 느낌이 조금 다르다. * 타마더(他妈的): 직역하면 걔 엄마. --[[패드립]]-- 주로 씨발이라 쓰이고, 영어의 Fuck과 비슷하게 쓰인다. * 차오니자(肏你家): 중국 조선족들이 대표적으로 쓰는 말이다. 625전쟁 이후 조선족들이 중국어를 배워 이렇게 욕 문장을 만든 것으로 확인된다. 집 가(家)와 중국의 대표적인 욕(肏)가 들어갔으니 듣기만 해도 집안 욕이나 집의 대한 욕, 그리고 집에 있는 가족과 그 가족과 집안과 관련된 사람을 모두 욕하는 것과 그 집안 조상과 그 집안 미래와 관련된 모든 욕을 하는 거다. --그중에 친척도 있다 조상중 욕 하는 본인 조상도 있을 수 있다-- 그러니 따지고 보면 엄청나게 심한 욕이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아무리 화나는 일이 있고 약해보이고 비실비실한 애한테도 절대 이 말은 쓰지 않는다. 그러니 정말 중국 문장에서 '''가장 위험한 문장'''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 쭈주이(住嘴): '닥쳐'라는 뜻이다. * 삐주이(闭嘴): 역시 '닥쳐'라는 뜻이다. 거의 모든 중국드라마에 등장하는 표현이며 일상적으로 많이 쓰인다. * 졘런(贱人): 문자적 의미로는 미천하거나 천박한 사람이라는 뜻이다. 중국드라마에서 여자를 욕할 때 자주 쓰인다. [[쌍년]]과 비슷하다. == 대만 == 대만의 공용어는 [[표준중국어]]이기 때문에 욕설에서 중국과 공유하는 부분이 많지만, [[대만어]]에서 유래한 욕설 또한 널리 쓰인다. 대만어 욕의 경우 표기할 때 표준중국어 발음이 비슷한 한자로 음역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발음만 비슷하다면 때에 따라 표기하는 한자가 달라질 수 있다. 대만어에서 유래한 욕일 경우 '한국어 발음(대만어 본자 / 표준중국어 의역자/대만어병음)'순으로 병기하였다. * 깐([[姦]] / [[幹]], 淦, [[乾]] / kàn): [[씨발]]. ‘차오’의 대만어. * 깐니냥(幹你娘 / Kàn lín-niâ): 차오니마의 대만어. * 지바이([[膣]][[屄]] / 雞掰, 雞拜, 雞巴 / tsi-bai): [[질]]. 기분이나 상황 또는 누군가가 몹시 마음에 안 들 때 쓰며, 이에 대응하는 욕설은 한국어의 ‘좆같다’, 영어의 ‘suck’ 등이 있다. 앞에 老[라우, lāu]나 臭[차우, tshàu]를 붙여 사용하기도 한다. e.g. 你好機掰喔(너 진짜 좆같다), 你娘臭雞掰(니미 썩은 개보지) * 산샤오/사샤오(啥潲 / 三小, 啥小, 殺小 / siánn-siâu 혹은 sánn-siâu): 영어의 ‘What the fuck’에 해당하는 욕. 潲는 [[정액(체액)|정액]]을 뜻한다. 단독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동사 뒤에 붙어 쓰이기도 한다. '쟈사샤오(吃三小, 뭐 쳐먹냐)', '총사샤오(衝三小, 뭔 지랄이냐)', '콰사샤오(看三小, 뭘 꼬라보냐)', '파사샤오(趴殺小, 왜 때리냐)냐'등이 그 예시이다. * 카오베이([[哭]][[父]] / 靠北 / khàu-pē): 아버지가 죽어서 운다는 뜻으로, '애비 뒤질'로 번역될 수 있다. '에미 뒤질'이라는 뜻으로는 카오부(靠不)라고도 하고, 카오베이카오부(靠北靠不)라고 같이 쓰기도 한다. 한자가 다른데, 이건 [[대만어]]를 국어로 전사해서 옮긴 표기. 靠爸靠母라고 써도 대만어로 '카오베이카오부'라고 읽는다. 보통 위의 '지바이'와 비슷한 용법으로 쓰이며, 감탄사로도 쓰인다. e.g. 很靠北的時候(진짜 좆같을 때), (실수로 물을 엎으면서)靠北!(씨발!) * 카오야오([[哭]][[枵]] / 靠夭, 靠邀 / khàu-iau): 배가 고파서 운다는 뜻으로, '굶어 뒤질 '으로 번역될 수 있다. '카오베이'와 용법이 비슷하다. 그러나 형용사로는 쓰이지 않는다. e.g. (문에 발을 부딪히고)喔,靠邀!(아악, 씨발!), 你很靠腰* (넌 씨발이야.) * 케햐꽁(契兄公 / 客兄公 / khè-hiann-kong): 여자와 잠을 자고 다니는 남자라는 뜻으로, 보통 '你娘的客兄公(린냐에케햐꽁, 네 어머니와 외도를 하는 남자)'으로 많이 쓰이며, 이 문장은 감탄사로도 자주 쓰인다. * 터우케햐(討契兄 / 討客兄 / thó kheh-hiann): '남자와 외도하다'라는 뜻으로, 보통 '你娘討客兄啦(린냐터우케햘라, 네 어머니 외도 하더라)'으로 많이 쓰인다. 상대방을 모욕할 때도 쓰이지만, 감탄사로도 쓰인다. * 파따이파따이(爬怠爬怠): 멍청이. '파따이'는 [[대만 원주민]] 평포족어에서 '죽다'라는 뜻을 가졌으며, 이 낱말이 '頭殼(머리)'라는 말과 합쳐져 '頭殼爬怠爬怠(머리가 죽다)', 즉 '멍청하다'라는 뜻이 되었다. * 바이츠(白痴, 白癡): 백치. 멍청이. * 즈장(智障): 지능장애아. 이것 말고도 중국에서 쓰는 욕설도 번체자로 쓰면 글로 통하긴 한다. 표준중국어도 쓰기 때문. == 홍콩 == * 광동어를 쓰는 홍콩에서는 [[성기]]와 관련된 욕이 많다. 남자의 [[고환|성기]]는 gau1, nan2, cat3, diu2[* 鳥(새 조)의 발음이 달라지는 원인이 되며, 현대 광동어에서 鳥는 niu5라고 한다. 자세한 사항은 [[속음]] 항목 참조.]가 있고, 여자의 [[보지|성기]]는 hai1라고 한다. * 띠우(屌): [[씨발]] * 따이낭(低能): [[저능아]].[* 광동어는 낮은 성조를 높게 올려말하는 습관이 있다. 低能은 dai1 nang4으로 발음하는데, nang4의 성조를 올려서, 그리고 /-ng/ 종성을 /-n/ 종성으로 발음하는 경향을 생각하면 dai1 nan2으로도 발음할 수 있어서 이중 비속어가 된다.] * 띤까우(癲狗): 미친 개 * 로우모우(老母): '[[니미럴]]'이라는 뜻의 屌你老母(디우레이로우모우, diu2 nei2 lou5 mou5)라는 말을 줄인 것이다. 응 니애미에 해당. * 빳포(八婆): [[썅]]년. 비슷한 말로 쏘이 포(衰婆)가 있다. * 차우하이(臭閪): [[걸레]]. 음탕한 여자. 당연히 hai1에서 유래되었다. * 치신(癡線): [[미친놈]]. * 폭까이(仆街): 홍콩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욕설 중 하나로, 원뜻은 길에서 넘어지다. 상황이나 사물에 대해 말할때는 '[[제기랄]]', '[[염병]]', '좆됐다' 등이고, 사람에게 직접 말할때는 쓰레기같은 놈, [[개자식]] 등의 의미. 비슷한 말로 허이 세이(去死)도 있다. * 치마깐(痴孖筋): [[지랄]]([[염병]]) [[지랄하고 자빠졌네|하고 있네]]~ * 쎅시오판(食屎屙飯): '똥 처먹고 밥을 싸라' (sik6 si2 o1 faan6)라는 뜻인데, 멍청한 사람을 욕할때 쓰인다. 비슷한 말로 你食屎啦, 吔屎啦(네이/레이 쎅 시 라, 약 씨 라, 똥이나 처먹어라)라는 말도 있다. * 함까찬(冚家剷): 직역하면 '집안 폭삭 다 망해라'라는 뜻. 폭까이(仆街)와 함께 쓴다. [[존 윅 4]]에서도 나오는 유명한 욕설이다. 영국 식민지였던 만큼 영어 욕설도 통용이 되고, 가끔씩은 중국어 욕설도 통하긴 한다(...) == 싱가포르 == 말레이계, 중국계, 인도계가 함께 사는 나라이고 영어를 공용어로 쓰므로 영어 욕설은 다 통하고(...), 당연히 말레이어/중국어/타밀어 욕설도 잘 먹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