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요한 블레이크}}}[br]Yohan Blak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Yohan Blake.jpg|width=100%]]}}} || || '''{{{#white 국적}}}''' ||[[자메이카]][[파일:자메이카 국기.svg|width=25]] || || '''{{{#white 출생}}}''' ||[[1989년]] [[12월 26일]] ([age(1989-12-26)]세), 세인트 제임스 || || '''{{{#white 신체}}}''' ||180cm, 80kg || || '''{{{#white 종목}}}''' ||[[육상]] || || '''{{{#white 주종목}}}''' ||단거리(100m, 200m) || || '''{{{#white [[https://worldathletics.org/athletes/jamaica/yohan-blake-14201842|최고기록]]}}}''' ||100m: '''9.69''' (2012 로잔 다이아몬드 리그)[br]200m: '''19.26''' (2011 브뤼셀 다이아몬드 리그)|| || '''{{{#white 링크}}}''' ||[[https://www.cameo.com/theblessone?utm_source=share&utm_campaign=profile_share&utm_medium=android_app&_branch_match_id=886409472835985736|카메오]] [[https://youtube.com/c/YohanBlakeTV|[[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yohanblake, 크기=24)] [[https://facebook.com/YohanBlak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https://instagram.com/yohanblak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자메이카]]의 남자 [[육상]]선수이다. 2010년대 초에 100m 세계 최정상 급에 있던 선수이자, [[우사인 볼트]]에게 밀려 상대적으로 덜 조명 받았던 비운의 선수이지만, 100m 기록 9.69[* 9.6초대를 주파한 선수는 세 명 뿐인데, 바로 볼트, [[타이슨 게이]], 블레이크이다. 게이와는 100m 기록이 같으며, 그 위의 기록은 우사인 볼트의 9.63, 9.58이다.], 200m 기록 19.26[* 우사인 볼트와 함께 19.3초 이내로 완주한 유일한 선수이다.]으로 무시 못 할 기록을 보유한 선수이다. 역사상 두 번째로 빠른 단거리 육상선수라는 평이 다수이다.[* 100m의 경우는 9.69의 타이슨 게이와 9.73의[[저스틴 게이틀린]]과 비슷하지만, 200m 기록이 워낙 압도적이다 보니 대부분 요한 블레이크를 꼽는다.] == 선수 경력 == === 2009년 === 2009년 세계선수권 대회 직전 각성제 메틸헥산아민(Methylhexanamine)에 대해 양성 반응을 보여 3개월 자격정지를 받은적이 있다. 이로인해 자메이카 아마추어 육상 협회는 블레이크를 계주경기에서 제외시킨 후 국제스포츠 중재 재판소(CAS)에 항소했으나 재판소는 금지조치가 적절하다고 결정을 내렸다. === 2011 대구 세계선수권 ===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2011 세계선수권]]에서 100m 금메달을 획득하며 21세 245일의 나이로 최연소 100m 우승자가 되었다. 이 때의 기록은 9.92.[* [[우사인 볼트]]가 부정출발로 실격당하는 이변이 있었다. 종전 기록은 [[칼 루이스]]가 기록한 22세 38일이다.] === [[2012 런던 올림픽]] === 100m, 200m 결승에서 [[우사인 볼트]]에 이어 모두 2위를 기록했다.[* 100m 9.75, 200m 19.44] 특히 당시 100m는 라인업부터 장난 아니었는데, 세계 신기록 보유자 우사인 볼트는 물론 [[2004 아테네]]올림픽 100m 우승자였던 [[저스틴 게이틀린]], 자신과 더불어 세계에서 2번째로 빠른 기록인 9.69를 기록한 [[타이슨 게이]], 다수 수상경력의 [[아사파 포웰]][* 결승전 경기 도중 부상] 등등의 수많은 선수들이 즐비했다. 그런 선수들 속에서 9.75라는 기록으로 준우승을 차지한 것이다.[* 특히 양 옆에 저스틴 게이틀린과 타이슨 게이 사이에서 셋이 2,3,4위를 두고 경쟁하며 거의 일자로 달리는 장면이 진광경이다.] 4x100m 계주에서는 [[아사파 포웰]]이 부상으로 기권했음에서도, 볼트와 함께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서 세운 신기록을 다시 갈아치우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 예선 1라운드에서 10.11을 찍으며 가볍게 1등으로 들어왔다. 이후 치러진 결승에선 9.93으로 4위에 그치고 말았다. 3위의 [[앤드리 디 그라스]]의 기록 차이는 단 0.02초 차이였다. 후반에 매섭게 추격하는 모습을 보이긴 했지만, 초반 스타트가 너무 늦었는지 차이를 극복하지 못했다. === [[2020 도쿄 올림픽]] === 2008년 이후, 볼트가 빠진 첫 올림픽 대회인 2020 도쿄 올림픽에서는 10초대의 처참한 기록을 찍으며 준결승에서 탈락했다. 자메이카는 남자 100m에서 단 한명도 결승에 올려보내지 못하는 처참한 경기력을 보여주었고 이탈리아 출신 [[마르셀 제이콥스]]가 금메달을 따내는 모습을 그저 방송으로 지켜보게 되었다. == 수상 기록 == ||
'''대회''' || '''{{{#white 금}}}''' || '''{{{#white 은}}}''' || '''{{{#white 동}}}''' || || 올림픽 || {{{#white 2}}} || {{{#white 2}}} || {{{#white 0}}} || || 세계선수권 || {{{#white 2}}} || {{{#white 0}}} || {{{#white 0}}} || || 세계 계주선수권 || {{{#white 2}}} || {{{#white 0}}} || {{{#white 1}}} || || 커먼웰스 게임 || {{{#white 1}}} || {{{#white 0}}} || {{{#white 1}}} || || 대륙간 컵 || {{{#white 1}}} || {{{#white 0}}} || {{{#white 0}}} || || '''합계''' || '''{{{#white 10}}}''' || '''{{{#white 4}}}''' || '''{{{#white 2}}}''' || ---- ||<-3>
{{{#white 올림픽}}} || || 금메달 || [[2012 런던 올림픽|2012 런던]] || 4×100m 계주 || || 금메달 ||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2016 리우데자네이루]] || 4×100m 계주 || || 은메달 || [[2012 런던 올림픽|2012 런던]] || 100m || || 은메달 || [[2012 런던 올림픽|2012 런던]] || 200m || ||<-3> {{{#white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2011 대구]] || 4×100m 계주 || || 금메달 ||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2011 대구]] || 100m || ||<-3> {{{#white 세계 계주선수권}}} || || 금메달 || 2014 바하마 || 4×100m 계주 || || 금메달 || 2014 바하마 || 4×200m 계주 || || 동메달 || 2017 바하마 || 4×200m 계주 || ||<-3> {{{#white 대륙간 컵}}} || || 금메달 || 2018 오스트라바 || 4×100m 계주 || ||<-3> {{{#white 커먼웰스 게임}}} || || 금메달 || 2018 골드코스트 || 100m || || 동메달 || 2018 골드코스트 || 4×100m 계주 || ---- ||<-3>
{{{#white 주니어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2006 베이징 || 4×100m 계주 || || 은메달 || 2008 비드고슈치 || 4×100m 계주 || || 동메달 || 2006 베이징 || 100m || ||<-3> {{{#white 주니어 팬아메리카선수권}}} || || 은메달 || 2007 상파울로 || 100m || || 동메달 || 2007 상파울로 || 4×400m 계주 || ||<-3> {{{#white 주니어 중앙아메리카선수권}}} || || 금메달 || 2006 포트오브스페인 || 4×100m 계주 || || 금메달 || 2006 포트오브스페인 || 100m || || 금메달 || 2006 포트오브스페인 || 200m || ||<-3> {{{#white 주니어 중앙아메리칸 게임}}} || || 금메달 || 2006 레자빔 || 4×100m 계주 || || 금메달 || 2006 레자빔 || 200m || || 금메달 || 2007 프로비덴시알레스 || 4×100m 계주 || || 금메달 || 2007 프로비덴시알레스 || 100m || || 금메달 || 2008 바스테르 || 100m || ||<-3> {{{#white 청소년 중앙아메리칸 게임}}} || || 금메달 || 2005 바콜레트 || 100m || || 금메달 || 2005 바콜레트 || 200m || [각주] [[분류:자메이카의 남자 육상 선수]][[분류:1989년 출생]][[분류:자메이카의 올림픽 육상 메달리스트]][[분류:2012 런던 올림픽 육상 메달리스트]][[분류: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육상 메달리스트]][[분류:자메이카의 커먼웰스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8 골드코스트 커먼웰스 게임 메달리스트]][[분류:콘월주(자메이카)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