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TheRighteousAndHallowedWool, 합의사항1=단종된 사물이나 프로그램은 적지 않기)] [목차] == 개요 == >죽음은 쓰라린 고통이지만, 제대로 살아 보지도 못한 죽음만큼 힘든 건 없다. >----- >[[에리히 프롬]][* 프롬 본인은 1900년 3월 23일부터 1980년 3월 18일까지 79세로 [[장수]]했다.] 요절([[夭]][[折]])이란 젊은 나이에 [[죽음|죽는 것]]을 말한다. == 기준 == 전근대 시기에는 성년에 이르지 못하고 죽는 경우를 일컬었다. 《의례(儀禮)》[* [[주례#s-3]], [[예기]]와 함께 삼례(三禮)로 일컬어진다.]에 따르면 16~19세에 죽는 것은 장상(長[[殤]]), 12~15세는 중상(中殤), 8~11세는 하상(下殤), 8세 미만은 무복지상(無服之殤)으로 세분된다. 보통 평균 수명의 절반을 못 산 경우까지를 요절이라 봐서, 과거에는 보통 40세 이전에 죽는 경우를 요절이라고 했으나 의학의 발달 등으로 점차 [[인간]]의 [[평균 수명]]이 늘어나게 되면서 40대~50대에 죽는 경우도 요절이라고 한다. 그러다 보니 요절이라는 표현까지는 안 쓰더라도 중진국 이상 되는 수준의 국가에서 60대에 사망한 것 또한 현재는 오래 살지 못한 것으로 간주된다. [[선진국]] 평균 수명이 70대 후반에서 80대 초중반이니 40대에 죽으면 평균의 절반 정도, 60세에 죽어도 평균보다도 10~20년 가까이 빨리 죽은 셈이다. 이렇듯 요절의 기준은 애매할 수 있으므로 본 문서에서는 39세까지를 기준으로 두고 [[요절/목록]]에 기재하였다. 단, 40~59세 사이에 죽은 사람은 [[요절/목록/40세 이상]]에 기재하였다. == 이미지 == 앞으로도 많은 일을 할 수 있는 나이에 날개를 펴지 못하고 생을 마감하는 요절은 많은 죽음 중에서도 특히나 안타까운 죽음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이나 공무원 시험에서 성공하지 못한 수험생들이인 정신적인 충격을 견디지 못하고 자살하는 일이 잦은 현대에는 더욱 그러하다. 병으로 건강이 악화되어 요절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사고나 사건에 휘말려서 사망하거나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 일이 많다. 요절한 유명인 중에서 인생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사망한 사람은 전성기의 이미지로 영원히 남기 때문에 시대의 한계를 초월하는 신비로움을 주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이소룡]], [[제임스 딘]], [[마릴린 먼로]], [[브라이언 존스]], [[커트 코베인]], [[지미 헨드릭스]]. 청춘과 반항아를 상징하는 제임스 딘은 2023년이면 92세이고 역사상 가장 유명한 아티스트 중 하나인 마릴린 먼로는 97세이다.[* 마릴린 먼로는 1926년생으로 [[엘리자베스 2세]] 여왕과 같은 해에 태어났다. 그러나 1962년에 요절한 먼로와는 달리 무려 60년을 더 살며 2022년까지 장수한 여왕에게는 젊은 시절 이미지보다 건강하게 장수하시는 인자한 할머니 이미지가 더 강하게 남게 된 것을 생각해보자. 물론 [[손기정]] 처럼 장수했음에도 젊은 이미지를 가진 사람도 있다.] 그리고 27세에 사망한 브라이언 존스, 커트 코베인, 지미 헨드릭스는 20대의 나이에 사망하여 20대의 이미지로 기억되지만 이들이 현재까지 생존한다면 청춘과는 거리가 멀다. 브라이언 존스와 지미 헨드릭스는 81세, 이소룡은 83세, 커트 코베인은 56세이다. 40세 이상의 중년에 사망한 사람도 수명이 긴 현실을 감안하여 요절로 인식하는데 [[존 레논]]이나 [[마이클 잭슨]]이 대표적이다. [[송해]]나 [[노먼 로이드]]처럼 90세를 넘기고 장수한 연예인도 많지만 요절한 연예인이 주는 인상이 천재는 단명한다는 이미지를 만들어낸 것이다. 전성기의 젊은 나이에 요절한 [[아웅 산]], [[담딘 수흐바타르]], [[체 게바라]]는 과업을 이루고 오점을 남기기 전에 사망하여 결함이 없는 천재로 영웅시된다. 이들과 같이 혁명이나 독립운동을 완수한 [[네 윈]], [[허를러깅 처이발상]], [[피델 카스트로]]는 장수하여 독재자로 대중들에게 기억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승만]]과 [[김구]]는 겨우 1살 차이지만 김구가 사망하고 오랜 시간이 흐른 뒤에 이승만이 사망하면서 김구가 요절한 것이라고 인식하는 사람도 많다. 하지만 김구는 72세에 사망하고 이승만은 90세에 사망한 것을 살펴보면 당시 기준으로 두 사람 모두 장수한 편이다. 수명이 길지 않았던 과거의 관점에서는 단명한 것이 아니지만 현대의 기준으로는 단명한 것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조선의 왕들은 대부분 50대에 승하한 왕의 비율이 높고 20~30대에 승하하여 당시에도 요절이라고 인식된 왕도 보인다. 조선에서 가장 장수한 왕은 83세에 승하한 [[영조]]이고 가장 단명한 왕은 17세에 승하한 [[단종(조선)|단종]]이다. == 어형 == 단명(短命)이라고도 한다. 단, 요절과는 다르게 단명은 사람이 아닌 것에도 사용할 수 있다. [[신나라]]나 [[서진]] 같은 나라를 단명 왕조라고 부르는 경우나, 적은 수만에 빨리 끝난 바둑이나 장기 등의 대국을 단명국이라고 부르는 경우 등이 있다. 사전을 뒤져보면 요절이랑 유의어 관계인 단어가 많다. 단명, 단절, 요몰, 요사, 요상, 요서, 요수, 요졸, 요찰, 요촉, 요함, 절사, 조사, 조서, 조세, 조졸, 횡요 등이 있다. == 원인 == 20세기 이전만 해도 의료·보건·위생·환경 등에 대한 무지 등으로 인해 젊은 나이에 죽는 경우가 많았다. [[충수염|아랫 배가 살살 아프다더니]] 가문의 장남이 급사했다더라 하는 식으로 간단한 처치를 못하고 죽기도 했다. 그러다가 20세기 이후 의학과 위생, 과학이 발전하면서 평균 수명이 급속도로 늘어나 현대에는 [[자살]][* 대한민국 사망 원인 10~30대 1위, 40~50대 2위, 60대 4위를 차지한다.]이나 타살, 사고사 등을 제외하면 요절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줄었다. 아래는 오늘날 요절의 주된 원인이다. * [[병사]] * [[유전병]] * 소아 시절의 각종 질병 노출 * [[아동학대]] * 사고 및 재난 * [[교통사고]] * [[압사]] * [[익사]] * [[전사(죽음)|전사(戰死)]][* '전쟁을 일으키는 건 [[높으신 분들|노인들]]이지만 전장에서 죽는 건 젊은이다'라는 말이 있으며, 군인이 아니더라도 전시에는 사망률이 폭증한다.] * [[돌연사]] * 동사 및 열사[* 아기는 체온 조절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얼어죽거나 쪄죽을 확률이 높다. '''절대 어린 아기를 차에 혼자 두고 내리면 안 된다'''.] * [[아사]][* 저개발국의 주요 어린이 사망 원인 중 하나.] * [[살해]] 등 각종 범죄 피해 * 피([[被]])[[학살]] * [[자살]] * 폭동 * 약물 중독[* 특히 보디빌딩에서 [[로이더]]가 이런 경우가 많다.] 이 외에도 [[여성]]보다는 [[남성]]이, [[선진국]] 국민보다는 [[개발도상국]] 국민이 요절할 확률이 더 높다. == 요절한 인물 == === [[요절/목록|실존했던 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요절/목록)] ==== [[요절/목록/40세 이상|40세 이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요절/목록/40세 이상)] === [[요절/목록/가상 인물|가상 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요절/목록/가상 인물)] == 여담 == * 전근대에는 군주나 왕위 계승권자의 요절로 인해 왕가의 직계 혈통이 단절되어 먼 [[방계]]에서 왕위를 계승하는 경우가 많았다. * 요절한 사람 중 신원이 밝혀지지 않은 사람도 있다. [[5.18 민주화운동]] [[국립민주묘지]] 4-97번 무명열사 묘에는 가족을 찾지 못한 4살(5·18민주화운동 당시·추정) 아이가 잠들어 있다. [[https://www.hani.co.kr/arti/area/honam/995312.html|4살, 품속엔 1천원 한장...어린 5·18무명열사의 이름은]], [[https://www.nocutnews.co.kr/news/5553906|[노컷브이]아직도 엄마를 못찾은 4살짜리 5.18 희생자]]. == 관련 문서 == * [[노소부정]] * [[미인박명]] * [[오나라의 요절징크스]] * [[재위기간이 짧은 왕들]] * [[악상(죽음)|악상]] * [[참척]]: 참척을 겪은 부모들의 자식은 대부분 여기에 해당한다. * [[27세 클럽]] * [[선수/현역 생활 중 사망자 목록]] * [[임기 중 사망한 대한민국 국회의원]] == 동음이의어 == * 撓[[折]]: 휘어져서 부러지다. * [[腰]][[折]]: 허리가 부러지다. 그 정도로 몹시 웃는다는 뜻으로 쓰인다. 용례로는 '요절 복통'이 있다. * [[要]][[節]]: 글 중의 중요하거나 요긴한 부분. 동아시아 고문헌 중에선 본래 책을 추린 것에 '-절요', '-촬요'(撮要)라고 제목을 붙인 것이 좀 있다. [[직지심체요절]]이 그 예이다. 순서를 바꾼 '절요'(節要)라는 말도 쓰인다. 한국사에선 [[고려사절요]]가 그런 제목의 책으로 유명하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한자어]][[분류:악상(죽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