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Stray Kids))]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315deg, #b40000 30%, #000 30%)" [[SKZ-PLAYER|[[파일:SKZ PLAYER.png|height=20]]]]{{{#fff '''·'''}}}[[SKZ-RECORD|[[파일:SKZ Record White.png|height=20]]]] {{{#fff '''타임라인 {{{-2 (공개순)}}}'''}}}}}} || || {{{-5 SKZ-RECORD : 아이엔}}}[br]'''[[막내온탑 (Feat. 방찬, 창빈)|{{{-1 {{{#DA981C 막내온탑 {{{-1 (Feat. 방찬, 창빈)}}}}}}}}}]]'''[br]{{{-4 (2021.01.16)}}} ||{{{-3 {{{#888 》}}}}}}|| {{{#fff {{{-5 SKZ-RECORD : 한}}}}}}[br]'''[[외계인 (Alien)|{{{-1 {{{#fff 외계인 (Alien)}}}}}}]]'''[br]{{{#fff {{{-4 (2021.01.30)}}}}}} ||{{{-3 {{{#888 》}}}}}}|| {{{-5 SKZ-RECORD : 창빈, 필릭스}}}[br]'''[[좋으니까|{{{-1 {{{#ff53aa 좋으니까}}}}}}]]'''[br]{{{-4 (2021.03.14)}}} || ||<-2>
{{{+1 '''외계인 (Alien)''' }}}[br]{{{-2 '''Alie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KZ-REPLAY Online Cover.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SKZ-RECORD 커버 ] {{{#!wiki style=" 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외계인 (Alien)_SKZ-RECORD.jpg|width=100%]]}}}|| }}}}}}}}} || ||<-2> [[SKZ-RECORD|{{{#fff '''SKZ-RECORD''' }}}]] || || '''공개일''' || [[2021년]] [[1월 30일]] || || '''발매일''' || [[2022년]] [[12월 21일]] || || '''가수''' || [[한(Stray Kids)]] || || '''수록 앨범''' || [[SKZ-REPLAY]] || [목차] [clearfix] == 개요 == [[Stray Kids]] 멤버 [[한(Stray Kids)|한]]이 [[2021년]] [[1월 30일]] [[SKZ-RECORD]]를 통해 공개한 솔로곡. == 음원 == [include(틀:SKZ-REPLAY/B-Side 트랙)] ||<-3>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wZSBKuUERU)]}}} || ||<(> '''{{{+3 외계인 (Alien)}}} {{{-1 (한)}}}''' '''{{{-1 08b}}}'''[br]3' 2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1px;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8D2323; font-size: .6em" {{{#E8B36F 장르}}}}}} {{{-4 {{{#8D2323 랩, 힙합}}}}}} [br]'''{{{-2 제 10대 시절의 장면들을 모아 그린 곡입니다.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것 같았던 그때의 감정들을 비롯해 많은 고민과 생각들이 담겨있고 그 안에서 성장하는 제 모습을 표현했습니다.}}}'''[br]{{{-4 - HAN's Comment -}}} {{{#!wiki style="keep-all" ||<:> {{{#!wiki style="margin: -5px -10px ;" {{{-4 {{{#!folding [ Song Credit ] '''Lyrics by''' 한^^(3RACHA)^^ '''Composed by''' 한^^(3RACHA)^^, 방찬^^(3RACHA)^^ '''Arranged by''' 방찬^^(3RACHA)^^}}}}}}}}} ||}}} || ||<-3> {{{#!folding [ 가사 보기 ] [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wiki style="margin: -5px -5px -5px -5px" ^^{{{-2 '''고음 구간 색 정의'''}}}^^}}} || || ^^'''{{{-3 {{{#yellowgreen 2옥타브 파♯(F♯4)}}}''' '''{{{#green 2옥타브 솔♯(G♯4)}}}''' '''{{{#5eb8ea 2옥타브 라(A4)}}}''' '''{{{#orange 2옥타브 시(B5)}}}''' '''{{{#orangered 3옥타브 도(C5)}}}''' '''{{{#red 3옥타브 도♯(C5)}}}''' '''{{{#purple 3옥타브 레(D5)}}}}}}'''^^ ||}}} ^^'''{{{#519A6E 한}}}'''^^ {{{#519A6E "The only thing predictable about life is its unpredictability; anyone can be anything, you can be everything"[* 곡 시작에 나오는 음성으로, 처음 부분은 애니메이션 "[[라따뚜이(애니메이션)|라따뚜이]]" 후반부에서 주인공 [[레미(라따뚜이)|레미]]가 하는 대사를 인용한 것이며, 다음 부분은 애니메이션 "[[주토피아]]"에서 주인공 [[주디 홉스|주디]]가 하는 대사를 인용한 것이다.][* "인생에서 유일하게 예측할 수 있는 건 예측할 수 없다는 점이죠; 누구든 뭐든 될 수 있듯이, 너도 뭐든 될 수 있어"] 지'''{{{#5eb8ea 구{{{#green 에}}} 툭 떨{{{#green 어}}}진}}}''' I’m an '''{{{#red al{{{#purple ien}}} on {{{#orange this earth}}}}}}''' '''{{{#5eb8ea 나 {{{#green 홀}}}로}}}''' 어'''{{{#5eb8ea 디{{{#green 에}}}도}}}''' 속하지 '''{{{#red 않{{{#purple 아}}} 보}}}{{{#orange 이고}}}''' '''{{{#5eb8ea 아{{{#yellowgreen 무}}}리 {{{#yellowgreen 웃}}}어봐{{{#yellowgreen 도}}} I feel {{{#yellowgreen so}}} lone{{{#orange ly}}}}}}''' '''{{{#5eb8ea 지{{{#yellowgreen 구}}}인{{{#yellowgreen 과}}} 섞{{{#yellowgreen 이}}}려{{{#yellowgreen 고}}} 드{{{#yellowgreen 는}}} 외{{{#orange 계인}}}}}}''' '''{{{#orangered 소}}}{{{#red 리 내 말을}}} {{{#5eb8ea 해봐도 누구{{{#yellowgreen 도 듣질}}} 않아}}}''' 낯선 곳에 불시착해 처음에는 기대만 가득 찼던 나의 눈망울엔 까만 밤이 되면 자꾸 눈물이 고여 나의 당당함 또한 누군가에게 밉보일 수 있기 때문에 죽은 듯 살아왔더니 어느새 난 홀로서 저기 동떨어져 있지 그들과 나는 왠지 같은 곳에 있어도 I was an alien yeah 우주에서 날아와 불시착해 상처만 가득해진 나는 외톨이 It’s a lonely night 조용한 밤이야 너무 어둡다 나의 나지막한 내 목소리로 이뤄낼 거야 저기 별들 사이에서 I’m just lonely 누가 날 위해 손을 뻗어 날 잡아줘 지'''{{{#5eb8ea 구{{{#green 에}}} 툭 떨{{{#green 어}}}진}}}''' I’m an '''{{{#red al{{{#purple ien}}} on {{{#orange this earth}}}}}}''' '''{{{#5eb8ea 나 {{{#green 홀}}}로}}}''' 어'''{{{#5eb8ea 디{{{#green 에}}}도}}}''' 속하지 '''{{{#red 않{{{#purple 아}}} 보}}}{{{#orange 이고}}}''' '''{{{#5eb8ea 아{{{#yellowgreen 무}}}리 {{{#yellowgreen 웃}}}어봐{{{#yellowgreen 도}}} I feel {{{#yellowgreen so}}} lone{{{#orange ly}}}}}}''' '''{{{#5eb8ea 지{{{#yellowgreen 구}}}인{{{#yellowgreen 과}}} 섞{{{#yellowgreen 이}}}려{{{#yellowgreen 고}}} 드{{{#yellowgreen 는}}} 외{{{#orange 계인}}}}}}''' '''{{{#orangered 소}}}{{{#red 리 내 말을}}} {{{#5eb8ea 해봐도 누구{{{#yellowgreen 도 듣질}}} 않아}}}''' 그래 나는 없어 매일 가득 넘쳐 나는 나의 걱정을 짊어진 채로 그 누구도 신경 안 써도 난 지쳐 쓰러지지 않을 거란 나의 맹세로 하늘 높이 바라보는 곳에 무수히도 많은 꿈이 나를 반기니까 Don’t care about depression도 그래 내가 살아가야 하지 무너지면 모든 게 수포가 될 거야 꿈마저도 수포가 될 거야 꿈마저도 내가 이곳에서 마셨던 숨마저도 너무 쓰라리고 아팠지만 참을 수 있어 꿈을 위해서 탐탁지 않아? 그래 누군가는 나를 원치 않았고 모두의 호감을 사기엔 나는 너무 어렸어 시간이 지날수록 나는 어른이 돼 갔고 완벽하진 않아도 자랑스럽게 날 다독여 It’s a lonely night 조용한 밤이야 너무 어둡다 나의 나지막한 내 목소리로 이뤄낼 거야 저기 별들 사이에서 I’m just lonely 누가 날 위해 손을 뻗어 날 잡아줘 지'''{{{#5eb8ea 구{{{#green 에}}} 툭 떨{{{#green 어}}}진}}}''' I’m an '''{{{#red al{{{#purple ien}}} on {{{#orange this earth}}}}}}''' '''{{{#5eb8ea 나 {{{#green 홀}}}로}}}''' 어'''{{{#5eb8ea 디{{{#green 에}}}도}}}''' 속하지 '''{{{#red 않{{{#purple 아}}} 보}}}{{{#orange 이고}}}''' '''{{{#5eb8ea 아{{{#yellowgreen 무}}}리 {{{#yellowgreen 웃}}}어봐{{{#yellowgreen 도}}} I feel {{{#yellowgreen so}}} lone{{{#orange ly}}}}}}''' '''{{{#5eb8ea 지{{{#yellowgreen 구}}}인{{{#yellowgreen 과}}} 섞{{{#yellowgreen 이}}}려{{{#yellowgreen 고}}} 드{{{#yellowgreen 는}}} 외{{{#orange 계인}}}}}}''' '''{{{#orangered 소}}}{{{#red 리 내 말을}}} {{{#5eb8ea 해봐도 누구{{{#yellowgreen 도 듣질}}} 않아}}}''' }}} }}} || == 가사 영상 == || {{{#fff '''{{{+1 외계인 (Alien) (SKZ-RECORD)}}}'''[br]{{{-1 2021.01.3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eQvDHBSxbQ)]}}} || == 여담 == * 곡 시작에 나오는 음성의 처음 부분은 애니메이션 "[[라따뚜이(애니메이션)|라따뚜이]]" 후반부에서 주인공 [[레미(라따뚜이)|레미]]가 하는 대사를 인용한 것이며, 다음 부분은 "[[주토피아]]"에서 주인공 [[주디 홉스|주디]]가 하는 대사다. * 학교를 안다녔던탓에 사회성이 부족했던, 친구에 대한 갈망과 외로움이 있었던, 연습생 시절을 바탕으로 쓴 곡이다. * '외계인' 이라는 단어나 소재를 좋아해서 곡을 쓰고싶던 찰나에 [[방찬]]에게 트랙을 받게 되어서 탄생하게 되었다고 한다. === 음역대 === * 최고음은 '''진성 3옥타브 레 (D5)'''. 진성 최고음은 [[Close]]와 같지만 가성 최고음은 한 음 낮다. 다만 후렴이 전체적으로 [[Close]]보다 한 키가 높아서 듣는 입장에서는 더 높게 느껴지긴 한다. * 곡 자체가 되게 음이 높은데 일부러 이렇게 높게 만드려고 하진 않았고 이정도일 줄 모르고 만들었다가 부르려고 하니 너무 높았다고 한다. 하지만 이 멜로디가 제일 좋아서 결국 득음하는 기분으로 불렀다고. == 둘러보기 == [include(틀:Stray Kids/노래)] [include(틀:SKZ-PLAYER · SKZ-RECORD)] [[분류:SKZ-PLAYER · SKZ-RECORD]][[분류:한(Stray Kids)]][[분류:Stray Kids/노래]][[분류:SKZ-REPLAY/수록곡]][[분류:2021년 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