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 '''{{{#000,#ddd 왕중왕 관련 틀}}}''' || ||<-7><:><#fff,#2d2f3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군주의 호칭)] [include(틀:아케메네스 왕조)] [include(틀:사산 왕조)] ---- }}}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SC_6631.jpg|width=100%]]}}}|| ||<-3> [[아케메네스 제국]]의 샤한샤 [[다리우스 1세]] || ||<|6> '''언어 표기''' || [[한국어]] || 왕중왕 || || [[영어]] || King of Kings || || [[아카드어]] || Šar Šarrāni || || [[페르시아어|고대 페르시아어]] || Xšâyathiya Xšâyathiyânâm || || [[히브리어|고대 히브리어]] || Měʹlěḵ Melāḵîm || || [[코이네 그리스어]] || Basileus Basileōn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아시아|중근동]] ~ [[페르시아]] 일대에서 사용한 군주의 칭호. [[페르시아어]] 형태인 '샤한샤'가 특히 유명하다. == 설명 == 아카드어로 '''샤르 샤라니''',[* 𒈗𒊭𒈗𒈨𒌍 / ''Šar Šarrāni''] 고대 [[페르시아어]]로는 '''흐샤야시야 흐샤야시야남''',[* 𐏋 𐏐 𐏋𐎠𐎴𐎠𐎶 / ''Xšâyathiya Xšâyathiyânâm''(영상: [[https://youtu.be/BBpoIsAeh4A?t=355|1]], [[https://youtu.be/bYcsuEpxyHM?t=38|2]]).] 중세 페르시아어로는 '''샤한 샤흐''',[* 𐭬𐭫𐭪𐭠𐭭 𐭬𐭫𐭪𐭠 / ''Šāhān Šāh''] 현대 페르시아어로는 '''셔한셔흐'''(شآهَنشآه / ''Šâhanšâh'')라고 한다. 근동 문화권의 여러 언어들에서 각기 다른 호칭으로 칭하지만 번역하면 '''왕들의 왕'''이란 의미가 된다.[* 페르시아어(Šāhān), 그리스어(Basileōn), 히브리어(Melāḵîm) 모두 '왕'이라는 말 앞에 붙은 말이 '왕'의 복수형이기에 '''왕들의 왕'''이라고 번역할 수 있다.] 한국어에서는 일반적으로 의역이 가미된 '''왕중왕'''이라 한다.[* 그 외 번역: 임금들의 임금(한국천주교주교회의 성경), 만왕의 왕(개역개정)] 유의어로는 '''왕들의 주인'''이라는 뜻의 '''[[파디샤]]'''(Padişah, 페르시아어로 پادشاه / ''Pâdešâh'')가 있다. [[아시리아]]의 왕 투쿨티니누르타 1세(재위 BC 1233~BC 1196) 때 '''샤르(도시국가의 왕)들의 왕'''이라는 뜻으로 만들어져 처음 쓰였으며 [[신바빌로니아]] 제국이나 기원전 6세기경 오리엔트 세계 전체를 석권한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를 비롯한 근동의 군주들도 이 [[칭호]]를 사용했다. [[기독교]]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가리켜 '''임금들의 임금'''(βασιλεύς τῶν βασιλέων)[* ''basileús tôn basiléōn'']이라고 하는 것도 근동 문화의 영향이고, 유대교에서 [[야훼|하느님]]을 칭하는 호칭 중 하나인 '''왕중왕의 왕'''(מֶלֶךְ מַלְכֵי הַמְּלָכִים)[* ''melech malchei ha-m'lachim'']의 경우는 신바빌로니아에서의 [[바빌론 유수]] 당시 영향을 받아서 생긴 호칭으로 생각된다고 한다. [[사산조 페르시아]]와의 교류를 통해 [[인도]]에도 비슷한 칭호가 생겼다. 전통적인 '라자'와 '[[마하라자]]' 칭호[* '라자'와 '마하라자' 둘 다 [[왕]]을 의미하지만; '라자'는 '번왕(藩王)', '마하라자'는 '[[대왕]]' 정도의 차이다.]에서 '''마하라자디라자'''(왕중의 대왕)가 생긴 것이 바로 그 예이다. [[오스만 제국]]에서도 [[파디샤]]의 별칭으로 '''[[술탄]] 중 술탄'''(Sultânü's-Selâtîn)이라는 칭호를 썼다. 페르시아어인 '샤한샤'도 사용했는데, [[오스만 제국 국가]] 중 유일하게 가사가 있는 하미디예 행진곡에서 [[압뒬하미트 2세]]를 지칭해 '''세상 왕중의 왕'''(Şehinşah-î cihan)이라고 지칭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른 문화권에서 이러한 의미에 가장 어울리는 칭호를 고르자면 단연 중화제국의 [[황제]]와 로마 제국의 [[임페라토르]]를 꼽을 수 있다. 특히 중국에서는 왕씩이나 되는 인물들이 한 나라도 아니고 [[영주(중세)|고작 지방을 통치하며]], 그보다 더 위에 군림해서 여러 명의 왕들마저 복종시키는 진정한 절대자의 개념으로 쓰이기 때문이다. 다만 왕중왕이 황제급의 호칭인건 맞지만 항상 황제로 번역되는 것은 아니다. 군주가 왕중왕 칭호를 썼지만 대외적으론 왕국이었던 경우[* 예시로 몽골의 봉신이 된 [[조지아 왕국]], 로마로부터 독립하지 못한 제국 이전의 [[팔미라 제국|팔미라]] 군주 등이 있다.]나 군주가 왕중왕 칭호도 썼지만 다른 미칭도 써서 통일된 미칭이 없었던 경우[* 예시로 [[아시리아]] 등이 있다.]는 황제로 잘 번역되지 않는다. [[팔라비 왕조]]의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는 고대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제국의 창건자이자 정복군주인 [[키루스 2세]]의 영광을 재현한다는 의미에서 이 칭호를 사용했다. 정확히 1935년, 부황 [[레자 샤 팔라비]]가 국호를 '페르시아'에서 '[[팔라비 왕조|이란 제국]]'으로 통일[* 사실 [[사산 왕조]] 때부터 국호는 이란국이었지만 서방에서는 '페르시아'로 통용되고 있었다.]하고 [[국왕]](king)으로 번역되던 왕호인 '[[샤]]'를 [[황제]](emperor)를 의미하는 '샤한샤'로 격상했다. 신라의 [[마립간]] 호칭도 넓게 보면 왕중왕과 비슷한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는데, 당시 한반도 남부 국가들의 군주 칭호인 '간'을 차용해 "간 중의 으뜸"으로 세운 호칭이기 때문이다. 그 전의 왕칭인 [[이사금]](현자)과 비교하면 초기 신라의 세력 성장을 느낄 수 있는 부분. 각종 대회에서 실력자들(주로 역대 우승자)이 참가할 때 왕중왕전이라는 말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 이 호칭이 사용된 인물 === * 샤르 샤라니: 아카드어, 샤르의 왕중왕격 * 기원전 13세기부터의 [[아시리아]] 일부 군주 * [[신바빌로니아]] 일부 군주 * [[우라르투]] 일부 군주 * [[샤한샤]]: 페르시아어, [[샤]]의 왕중왕격 * [[페르시아|이란계 제국]]([[아케메네스 왕조]], [[파르티아]], [[사산 왕조]], [[사파비 왕조]], [[카자르 왕조]], [[팔라비 왕조]] 등) 역대 군주 * 아르메니아 아르탁세스 왕조의 [[티그라네스 대왕]] * 아르메니아 바그라투니 왕조 일부 군주 * [[무굴 제국]] 군주[* '샤한샤'를 쓰기도 했지만, '[[파디샤]]' 칭호를 더 자주 사용했다.] * [[알프 아르슬란]][* [[셀주크 제국]]의 군주인데 술탄 뿐만 아니라 샤한샤 칭호도 있었다.] * [[일투트미쉬]][* [[델리 술탄국]] 군주인데 '술탄 중의 술탄' 칭호 뿐만 아니라 샤한샤 칭호도 있었다.] * 바실레우스 바실레온: 그리스어, [[바실레우스]]의 왕중왕격 * [[헬레니즘 제국]] 군주[* [[알렉산더 대왕]]이 페르시아 정복 후 된 샤한샤의 번역] * [[카이사리온]][* [[알렉산드리아 영토분할령]]에서 '왕중의 왕'으로 선언되었다. 참고로 공동 통치자인 [[클레오파트라 7세]]는 '왕중의 여왕'.] * [[팔레올로고스 왕조]] 군주[* 가문의 모토가 '''군주들의 군주, 통치자들의 통치자'''였다.] * 기독교에서의 [[예수]] 호칭 중 하나 * [[파르티아]] 군주[* 이란계 제국이지만 그리스어도 썼다.] * 티마르코스[* 메디아의 [[사트라프]]로, [[데메트리오스 1세]]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켰다가 토벌당했다.] * [[폰토스 왕국]] 군주 일부 * 술탄 중의 술탄: [[술탄]]의 왕중왕격 * [[델리 술탄국]] 일부 군주 * [[벵골 술탄국]] 일부 군주 * [[오스만 제국]] 군주 * 마하라자디라자: 산스크리트어, [[마하라자]]의 왕중왕격 * [[굽타 제국]] 군주 * [[마라타 제국]] 군주[* '마하라자디라자'를 쓰기도 했지만, '차트라파티'라는 독자적인 칭호를 더 자주 사용했다.] * [[네팔 왕국]] 군주[* 군주를 '마하라자디라자'라고 칭하긴 했으나, [[외왕내제|대외적으론 왕국이라 칭했다.]]] * 7세기부터의 [[참파]] 군주[* 보통은 '라자디라자'이지만 '마하라자디라자'도 있었다.] * 그 외 인도계 국가 역대 군주 일부 * [[느구서 너거스트]]: 암하라어, 느구스의 왕중왕격 * [[에티오피아 제국]] 군주[* [[자우디투]] 여제의 칭호는 '왕중여왕'이었다.] * 말리크의 왕중왕격 * 팔미라 군주([[오다에나투스]]부터 [[바발라투스]]까지)[* [[로마 제국]] 내에서 실질적인 독립을 획득하여 왕중왕을 칭했는데, 마지막 왕중왕 바발라투스는 그의 어머니인 [[제노비아]]에 의해 [[아우구스투스(칭호)|아우구스투스]]로 옹립되어 [[팔미라 제국]]을 선포했다.] * [[유대교]]에서의 [[야훼|하느님]] 호칭 중 하나 * 메페타 메페: 조지아어, 메페의 왕중왕격 * [[다비트 4세]]부터의 조지아 군주들 == 게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왕중왕(게임))] == 영화 1 == . [[예수]]의 일대기를 다룬 영화. 1927년작.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s3.amazonaws.com/Film_266w_KingOfKings_original.jpg|width=100%]]}}}|| 1923년에도 <[[십계(영화)|십계]]>를 만든 바 있는 [[세실 B. 드밀|세설 B. 드밀]]이 [[감독]]을 맡았고, 흑백에 무성영화지만 당대 할리우드 최고 수준의 물량이 동원되어 완성되었다. 할리우드 버전 대작 종교 영화들의 선구적인 존재 중 하나.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media2.wnyc.org/1961-king-of-kings.jpg|width=100%]]}}}|| 1961년에는 앞선 작을 [[니컬러스 레이]] 감독이 리메이크하는 형태로 역시 같은 제목으로 예수의 일대기를 다룬 영화가 만들어졌다. 이 역시 수만 명의 엑스트라 동원에 상영 시간만 세 시간 가까이 되는 대작으로 만들어졌으며, [[성탄절]] 때가 된다든가 하면 종종 지상파나 케이블 티비 등에서 방영되곤 하는지라 한국에선 1927년작보다는 1961년작이 더 유명한 편. 1961년판 영화의 음악은 <[[쿠오 바디스#s-3]]>, <[[벤허(1959년 영화)|벤허]]>, <[[엘 시드]]> 등의 영화음악을 작곡한 로저 [[미클로시]]가 맡았다. == 영화 2 == . 1990년도 영화로 별 내용 없는 킥복싱 액션 영화며 당시 비디오 빌려보던 사람들에게는 그 나름대로 익숙한 영화. == [[왕중왕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왕중왕전)] == 관련 문서 == * [[샤]] [[분류:동음이의어]][[분류:샤한샤]][[분류:아시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