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려의 왕자]][[분류:조선의 관리]][[분류:1398년 사망]][[분류:살해된 인물]] [include(틀:역대 고려 왕조 봉사손)] ||<-3> {{{-1 '''특진보국숭록대부 상장군'''}}}[br]{{{-1 '''마전군 귀의군'''}}}[br]{{{+1 '''왕조'''}}} || ||<-2> '''작위''' ||정강군(定康君)[br]귀의군(歸義君) || ||<-2> '''본관''' ||[[개성 왕씨]] || ||<-2> '''휘''' ||조(珇)|| ||<|2> '''사망''' ||음력 ||1398년 8월 26일 || ||양력 ||1398년 10월 6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여말선초]]의 인물. 귀의군 [[왕우(고려)|왕우]]의 아들이다. == 생애 == [[고려]] 말에 정양부원군 왕우의 적장자로 정강군에 봉해졌다. 1392년 [[조선]]이 건국된 뒤로 사돈 집안인 [[태조(조선)|태조]]의 비호로 아버지와 동생 등 일가족은 다른 왕씨들처럼 [[개경]]에서 지방으로 쫓겨나지 않았다. >[[왕조(고려)|노조(盧珇)]]를 상장군(上將軍)으로 삼고, 노관(盧琯)을 대장군으로 삼았다. 〈이 사람들은〉 [[왕우(고려)|왕우(王瑀)]]의 두 아들인데 외가(外家)의 성을 따르게 하였다. [[왕조(고려)|노조]]는 고려 왕조의 정강군(定康君)이다. >----- > - 태조실록 2권, 태조 1년 12월 13일 기미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id/kaa_10112013_001|왕우 아들의 성을 외가를 따라 노씨로 하게 하다]] 조선에서 왕조는 상장군, 동생 왕관(王琯)은 대장군에 임명되는데, 이 때 형제는 어머니의 성씨인 노씨로 성을 바꿨다. 1397년 부친상을 당한다. 왕조는 특진[[보국숭록대부]] 마전군 귀의군을 습봉하고 성씨를 원래대로 바꿔, 아버지의 뒤를 이어 [[고려 태조]] 및 고려 왕조에 대한 제사를 지낸다. 이듬해 [[제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 정안군 이방원이 집권한다. [[정도전]], [[남은]] 등과 [[무안대군]], [[의안대군(이방석)|세자 방석]] 등이 죽임을 당하는데, 왕조와 동생 왕관도 같은 날에 죽는다. 왕조 형제를 죽인 주체가 실록에 남아있지는 않지만 두 사람이 [[왕씨 제거]]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살아남은 왕씨라는 점과 숙청 대상인 무안대군과 처남매부 지간이라는 점 때문에 이방원 일파에게 죽임을 당한것으로 보인다. 왕씨 제사를 받들던 형제의 죽음으로 마전군 귀의군 작위의 습봉과 고려 왕실에 대한 제사는 끊겼다. 50여년 뒤 [[문종(조선)|문종]]의 집권기에 공주에 살던 순흥군 왕승의 자손 [[왕우지]]를 데려와 제사가 이어질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