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D00, #FFBE0D 20%, #FFBE0D 80%, #FF9D00)" '''{{{+1 왕재녀 왕씨[br]王梓女 王氏}}}'''}}} || || '''본관''' ||[[개성 왕씨]] || || '''부모''' ||부친 [[왕재(수사공)|수사공 왕재]] 모친 [[개성 왕씨]][* [[숙종(고려)|숙종]]의 5남 [[대원공|대원공 왕효]]의 딸] || || '''형제자매''' ||[[외딸 ]]|| || '''출생''' ||1141년 추정^^([[인종(고려)|인종]] 19년)^^[* 43세 몰년 기준으로 만나이로 역산] || || '''사먕''' ||1183년^^([[명종(고려)|명종]] 11년)^^ 4월 1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려의 왕족. 검교우복야(檢校右僕射) 수사공(守司空)을 지낸 [[왕재(수사공)|왕재]]와 그 부인 왕씨[* [[숙종(고려)|숙종]]의 5남 [[대원공]] [[왕효]]의 딸]의 딸이다. 이름은 실전되어 그녀의 묘지명을 일컬을 때는 '왕재녀 왕씨 묘지명(王梓女 王氏 墓誌銘)'이라고 한다. == 생애 == 일찍 모친을 여의고 부친을 효성으로 받들었다. 왕재는 그 때문에 왕씨를 아들처럼 여겨 왕씨에게 가문을 물려주기에 이른다. [[의종(고려)|의종]] 18년인 1164년부터 가문을 이은 왕씨는 평생 결혼하지 않고 절개를 지키며 살다가 [[명종(고려)|명종]] 13년인 1183년 4월 초하루, 43세의 나이로 자택에서 병사한다. 왕씨의 빈소는 증고사(拯苦寺)에 마련됐고, 20일 [[정선군|정선]]의 조양산(朝陽山)에서 화장됐으며, 화장한 뒤 남은 유해는 12월 24일 [[개풍군|덕수현]] 경내 와촌 동산 동쪽 기슭에 안치되었다. == 가족관계 == 왕재녀 왕씨는 [[숙종(고려)|숙종]]의 [[증손|증손녀이자 외증손녀]]다. [[낙랑공|낙랑공 왕영]]과 숙종은 같은 항렬에 있으며, 왕재녀 왕씨는 마찬가지로 숙종의 증손자인 [[의종(고려)|의종]], [[명종(고려)|명종]], [[신종(고려)|신종]] 등과 같은 항렬이다. 왕재녀 왕씨 묘지 비문에는 부친 검교우복야 [[왕재(수사공)|수사공 왕재]]는 정의공(定懿公)이고, 조부 승화백 왕정은 양희공(良僖公)에 봉해졌다고 적혀있다.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8> 왕씨[br]{{{-2 (1141 ~ 1183)}}} ||<|4> [[왕재(수사공)|수사공 왕재]][br]{{{-2 (? ~ 1164)}}} ||<|2> 승화백 왕정[br]{{{-2 (? ~ 1130)}}} || [[낙랑공|낙랑공 왕영]][br]{{{-2 (1043 ~ 1112)}}} || || 보령궁주[* [[문종(고려)|문종]]과 [[인예왕후]]의 딸][br]{{{-2 (? ~ 1113)}}} || ||<|2> 흥수궁주[br]{{{-2 (? ~ 1123)}}} || [[숙종(고려)|고려 숙종]][br]{{{-2 (1054 ~ 1105)}}} || || [[명의왕후]][br]{{{-2 (? ~ 1112)}}} || ||<|4> 왕씨[br]{{{-2 (? ~ ?)}}} ||<|2> [[대원공|대원공 왕효]][br]{{{-2 (1093 ~ 1161)}}} || [[숙종(고려)|고려 숙종]][br]{{{-2 (1054 ~ 1105)}}} || || [[명의왕후]][br]{{{-2 (? ~ 1112)}}} || ||<|2> 공비 이씨[br]{{{-2 (? ~ 1133)}}} || 양간공[br]{{{-2 (? ~ ?)}}} || || ?[br]{{{-2 -}}} || [[분류:고려의 왕족]][[분류:1141년 출생]][[분류:1183년 사망]][[분류:개성 왕씨 평양공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