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KOF 시리즈의 캐릭터 마린의 기술, rd1=마린(KOF), anchor1=왕거미)] ||<-5> [[파일:왕거미.jpg|width=240]] || ||<-5> '''왕거미''' || ||<-3>Orb-weaver spiders||<-2>이명: || ||<-5> '''Araneidae''' Clerck, 1757 || ||<|8>분류|| ||[[계]]||<-3>[[동물계]]|| ||[[문]]||<-3>절지동물문(Arthropoda)|| ||[[아문]]||<-3>[[협각아문]](Chelicerata)|| ||[[강]]||<-3>거미강(Arachnida)|| ||[[목]]||<-3>거미목(Araneae)|| ||[[목|아목]]||<-3>세실젖거미아목(Araneomorphae)|| ||[[과]]||<-3>왕거미과(Araneidae)|| [목차] [clearfix] == 개요 == [[호랑거미]]속 등의 일부를 제외한 왕거미과에 속한 거미들을 아울러 이르는 단어이다. == 상세 == 배가 크고 통통한게 특징이다.[* 그러나 먹이를 먹지 못하면 마르고 홀쭉해져서 이름값을 못하는 모습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선 처마나 마을, 전봇대 등지에서 흔히 줄 치고 사는 [[산왕거미]]가 가장 대중적이다.[* 다만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산왕거미도 가장 대중적인 종에서 밀려나 버렸다. 본문에 쓰여 있듯이 처마가 있어야 하는데 점점 건물의 형태가 바뀐 것이 원인이라고 추측된다. 그 자리는 무당거미가 대신 장악해 버려서 산왕거미보다 압도적으로 개체 수가 많다. 무당거미는 밝은 곳에 서식하니까. 또한 건물 이외의 구조물 '그늘진 곳'에는 산왕거미보다 훨씬 작은 다른 왕거미류의 종이 번성하고 있다.] 손으로 만져보면 상당히 묵직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왕거미 종류의 가장 큰 특징은 역삼각형의 배인데[* 호랑거미나 먼지거미처럼 안 그런 종류도 있긴 하다.] 이런 것으로 다른 거미와 왕거미 종류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왕거미란 이름이 무색할 정도로 작은 종류도 상당히 많다. * 기생왕거미속(''Larinioides'') * 골목왕거미 * 기생왕거미 * 머리왕거미속(''Chorizopes'') * 머리왕거미 * 산왕거미속(''Araneus'') * 노랑무늬왕거미 * 당왕거미 * 마불왕거미 * 모서리왕거미 * 미녀왕거미[* 외국에서는 프링글스 캐릭터 미스터 p랑 닮아서 "프링글스 거미"라는 별명을 가졌다.] * 반야왕거미 * 방울왕거미 * 부석왕거미 * 비단왕거미 * [[산왕거미]] * 선녀왕거미 * 유럽정원거미 * 탐라산왕거미 * 애왕거미속(''Hypsosinga'') * 산짜애왕거미 * 어깨왕거미속(''Eriophora '') * 북왕거미 * 복왕갈거미 * 사할린왕거미 * 어깨왕거미 * 어리호랑거미속(''Lariniaria'') * 어리호랑거미 * 잎왕거미속(''Acusilas'') * 가랑잎왕거미(잎왕거미) * 왕거미속(''Araniella'') * 각시꽃왕거미 * 고려꽃왕거미 * 꽃왕거미 * 부리꽃왕거미 * 집왕거미속(''Neoscona'') * 각시어리왕거미 * 먹왕거미 * 석어리왕거미 * 연두어리왕거미 * 적갈어리왕거미 * 지이어리왕거미 * 집왕거미 * 호랑거미속(''Argiope'') * 꼬마호랑거미 * [[호랑거미]] * [[긴호랑거미]] [[분류:동음이의어]][[분류:왕거미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