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제국 황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90d43, #29176e 20%, #29176e 80%, #190d43); color: #FFD400" '''대한제국 장조[* 남연군의 양아버지 [[은신군]]이 [[영조]]의 동생 연령군의 봉사손이었다. 그러나 계대 문제로 [[조선시대]] 당시에 은신군의 후손들은, '우리는 연령군의 제사를 챙길 뿐, 엄연히 [[사도세자|사도세자(장조)]]의 자손'이라고 인식했고, [[왕실]]에서도 그들에게 [[영조]] - 사도세자의 후손 자격으로 [[군호]]를 주었다.(20세기 중반부터는 연령군을 조상으로 인정하고 있다.) 자세한 것은 [[연령군]], [[낙천군]], [[은신군]] 문서 참조.]의 현손[br]{{{+1 완은군 이재선 | 完恩君 李載先}}}'''}}}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51232, #94153e 20%, #94153e 80%, #751232); color: #FFD400" '''조선 장종의 현손[br]{{{+1 완은군 이재선 | 完恩君 李載先}}}'''}}} || || '''봉호''' ||완은군(完恩君) || || '''이름''' ||이재선(李載先)[* [[사도세자|장조]]의 현손 항렬 대에서는 이름에 '어진사람 인(儿)'이 들어간 글자를 공유한다. [[정조(조선)|정조]]의 증손인 [[헌종(조선)|헌종]]은 '환('''烉''')'으로 안에 포함되어있다. 그리고 [[고종(대한제국)|고종]]은 '형('''㷩''')'으로 좌우로 밖에 나뉘어 있으며, 초명 '재황(載'''晃''')'에는 '황(晃)'의 밑에 발의 형태로 들어가있다. [[은언군]]의 증손인 [[덕안군]]은 '재덕(載'''悳''')', [[청안군]]은 '재순(載'''純''')'으로 파자하지 않으면 잘 알아보기 어려운 형태이다. [[은신군]]과 [[은전군]]의 증손으로 [[완림군]]은 '재원(載'''元''')', [[완순군]]은 '재완(載'''完''')', [[완영군]]은 '재긍(載'''兢''')', [[흥친왕]]은 '재면(載'''冕''')', [[완은군]]은 '재선(載'''先''')', [[인양군]]은 '재근(載'''覲''')', [[의양군]]은 '재각(載'''覺''')', [[예양정]]은 '재규(載'''規''')'로, 고종의 초명과 마찬가지로 발의 형태로 온전히 들어가있다. [[완평군]]의 둘째 아들 '재현(載'''現''')'은 본가의 양자로 들어가 황실 종친 자격을 잃었지만 이름자에 '儿'은 그대로 있다. 유일하게 [[경은군]] '재성(載星)'이 규칙을 적용받지 않았는데, 서자인데다 작호를 받은 게 굉장히 늦은 시기여서 그런 듯하다.][* 사족으로 아이러니 한 것은, 저 중 헌종을 제외하고 장조의 실제 혈통을 물려받은 사람은 유일하게 저 규칙을 사용하지 않은 이재성 뿐이라는 것이다.(나머지는 전부 입양을 통해 족보상 후손이 된 경우이다.)] || || '''호''' ||산남(山南) || || '''부친''' ||흥선대원군 이하응 || || '''모친''' ||부대부인 여흥 민씨(적모) 계성월(생모) || ||<|2> '''출생''' ||[[1842년]] [[8월 1일]] || ||[[한성부]] 중부 정선방 돈녕부상계 니동 [[운현궁]][br](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운니동) || || '''사망''' ||[[1881년]] [[10월 28일]] (향년 39세) || [목차] [clearfix] == 소개 == [[조선]]의 [[왕족]]이자 [[무관#武官]]. [[흥선대원군]]과 계성월 사이에서 태어난 서장자(庶長子)로 [[흥친왕|흥친왕 이재면]]과 [[고종(대한제국)|고종황제]]의 형이다. == 생애 == 1842년([[헌종(조선)|헌종]] 8) 8월 1일, [[한성부]] 중부 정선방 돈녕부상계 니동(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운현궁]]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의 행적은 알 수 없다. 무과에 급제하여 [[이복동생]] [[고종(대한제국)|고종]]의 즉위 후 훈련원 주부와 훈련원 첨정을 거쳐 오위장과 남양감목관, 그리고 양주 목사와 첨지중추부사가 되는 등 주요 보직들을 맡았고 최종적으로 종2품 참판에까지 이르렀다. === 최후 === 별군직에 있던 1881년(고종 18년) 소위 ''''이재선 추대 대역 음모 사건'에 연루되었다.''' 이 사건은 [[흥선대원군]]이 실각한 후 [[여흥 민씨|민씨 일파]]가 실권을 쥐고 개국 정책을 펴자, 이에 불만을 품은 흥선대원군의 측근들인 전(前) 승지(承旨) 안기영(安驥泳) · 권정호(權鼎鎬) 등이 민씨 세력을 몰아내고 이재선을 추대하여 흥선대원군을 권좌에 복귀시키려는 음모였다. 이들은 거사 자금 · 군대 동원 · 요인 암살 등 세밀한 계획을 세우고 기회를 기다렸으나, 8월 28일 [[경기도]] [[광주시|광주부]] 장교 이풍래의 밀고로 모두 체포되었다. 직접적으로 개입은 하지 않았어도 반란 세력의 택군 대상[* 擇君. 왕으로 선택 된 대상.]이었던 이재선은 심문을 피할 수 없었다. 단, 잡히기 전에 먼저 [[의금부]]에 자수를 하기는 했다. 그래도 역모에 연루되었다는 이유로 혹독한 고문을 동반한 심문을 받았다. 결국 안기영 · 권정호 · 이두영(李斗榮) 등 많은 관련자들이 사형당하고, 이재선은 [[제주도]]로 [[유배|귀양]]을 갔다. 그러나 양사와 [[홍문관]]으로부터 계속 [[탄핵]]을 받아[* 큰아버지 [[흥인군 이최응]] 역시 그를 탄핵하는 상소를 올렸다.] 결국 같은 해 [[사약]]을 받고 사망했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때 죽지 않고 한성으로 돌아와서 사사되었다는 설과, 비공식적으로 신분을 바꾸고 살았다는 설 등이 있다. === 사후 === 1899년([[광무]] 3년)에 그의 족보 상 고조할아버지인 [[사도세자]]가 장종을 거쳐 장조의황제로 [[추존]]받았다. 황제의 4대손까지는 황족으로 대우한다는 법에 근거하여 저 조건에 해당하는 황족들은 봉호를 받았지만[* 은언군계 : 증(贈)[* 작위 수여 당시 고인.] [[덕안군|덕안군 이재덕]], [[경은군|경은군 이재성]], [[청안군(1851)|청안군 이재순]]. [br] 은신군계 : 증(贈) [[완림군|완림군 이재원]], [[완순군 이재완]], 증(贈) [[완영군|완영군 이재긍]], [[흥친왕|완흥군 이재면]]. [br] 은전군계 : 증(贈) [[인양군|인양군 이재근]], [[의양군|의양군 이재각]], [[예양정|예양정 이재규]].] 역모로 죽은 이재선은 아무 작위를 받지 못했다. 1907년(광무 11년) 7월에 [[고종(대한제국)|고종]]이 그를 사면시켰고 '완은군(完恩君)'으로 추봉했다. == 가족과 후손 == 판관(判官)을 지낸 신석완(申錫完)의 딸 [[평산 신씨]](1843. 6. 20 ~ 1922)와 혼인하여 슬하에 1남 2녀를 두었다. 장남 이주용(李𡓣鎔,? ~?)의 삶은 기록에 전해지지 않는다. 장녀의 이름은 이창화(李昌和, 1867 ~ 1937)이고 차녀는 이름이 알려지지 않았다. 부인 신씨는 [[경술국치]] 이후 1922년까지 살았다. 이창화는 3살 어린 [[평산 신씨]] 가문의 시어(侍御) 신형균과 혼인했으며 70세까지 장수했다.[[https://ko.wikipedia.org/wiki/이재선|#]] 이재선 사후 부인인 신씨는 그의 실제 혈통 상[* 완은군의 가계는 원래 인조의 3남 [[인평대군]]의 후손이나 완은군의 할아버지 [[남연군]]이 [[정조(조선)|정조]]의 이복동생 [[은신군]]의 양자로 입적했다.] 7촌 조카인[* 《인평대군파보》에 따르면, 이관용은 남연군의 친동생 이휘중의 아들이자 [[흥선대원군]]의 생가 사촌동생인 형조판서 이명응의 손자이며 군수를 지낸 이재택의 둘째 아들로 나와있다.] [[이관용(1891)|이관용]](李'土+灌'鎔)을 양자로 입적했다. 자세한 내용은 [[이관용(1891)]] 문서 참조. == 대중매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찬란한 여명 완은군.png|width=100%]]}}} || || {{{#ffd800 '''〈찬란한 여명〉의 완은군'''}}} || 1996년 [[KBS]] 〈[[찬란한 여명]]〉에서는 박현이 연기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명성황후 이재선.png|width=100%]]}}} || || {{{#ffd800 '''〈명성황후〉의 완은군'''}}} || 2001년 [[KBS]] 〈[[명성황후(드라마)|명성황후]]〉에서는 이우석이 연기했다. * [[문피아]]에서 연재 중인 [[대체역사물]] [[웹소설]] 《[[폭군 고종대왕 일대기]]》에서는 [[중국 대륙]] 내에 있는 번국 [[진나라]] [[왕]]으로 임명받고 활동하는 모습이 나온다. 자세한 내용은 [[중원(폭군 고종대왕 일대기)#s-5|문서 참고]]. * [[효명세자와 함께하는 조선 생활]]에선 이재황의 악행이 드러났을 때 형으로써 어떻게든 동생을 구해보기 위해 콩고로 향했으나 도착이 늦어 동생이 상어에게 잡아 먹히는 모습을 눈앞에서 목격하고 마음에 큰 상처를 입는다. 결국 동생은 역사에 남을 대역죄인이 되었고, 본인도 이재황의 가족으로 멸시받아 결국 빈으로 망명해 동생이 좋아하던 군밤과 와플을 파는 카페를 운영하며 살게 된다. * [[한제국 건국사]]에서는 아버지인 대원군과 민국인들의 활용법을 논의하는 모습으로 첫 등장. 이때 나름 군사식견을 보여 대원군이 민국인들이 운영하는 연무학원에 편입시켜 빡세게 구른다. 무예를 닦지 않아 다른 교육생보다 고생하긴 했지만 어찌어찌 수료는 했는지 한성 쪽 부대의 중대장으로 복무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윤준혁이 천주교 신자임을 알게 되어 추포하게 되는 해프닝이 벌어져[* 이때 걸린 과정이 어이가 없는데 미사가 끝나고 김 아녜스와 밤길을 걷던 윤준혁과 마주쳤고 연무학원 시절 교관이었던 그에게 이재선이 경례를 하자 이에 윤준혁이 응하는 과정에서 소매에 감췄던 성경이 떨어져 버린 것...]그가 천주교 의용부대를 이끌고 행주산성으로 가게 되는 나비효과를 낳는다. == 여담 == === 오해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6580b3b35893.jpg|width=100%]]}}} || || [[파일:46580b50029ea.jpg|width=100%]] || || [[파일:46580b66279d5.jpg|width=100%]] || || {{{#ffd800 '''완은군 이재선으로 잘못 알려진 청안군 이재순의 사진'''}}} || 한 때 이 사진들이 흥선대원군의 서장자인 완은군 이재선으로 잘못 알려진 적이 있었다. 그러나 '''이재선의 사진이 아니다.''' 사진의 주인공은 완은군과 족보 상 8촌이자 [[철종(조선)|철종]]의 생가 [[누동궁]]의 사손인 '''[[청안군(1851)|청안군 이재순]]'''이다. 추정하자면 아마 당시 외국인들이 이재순의 '''순'''을 ''''Sun''''과 ''''Soon''''을 혼동해서 표기했고 이 와중에 ''''Sun''''을 '''순'''이 아닌 ''''선''''으로 잘못 읽어 오해가 빚어졌다. 하지만 두 번째, 세 번째 사진 아래 설명을 보면 확실하게 ''''Soon''''으로 적혀있다. 그리고 첫 번째 사진 설명문에는 1890년에 촬영했다고 하는데 완은군 이재선은 1881년에 죽었기에 사진을 찍을래야 찍을 수 없다. 그리고 조선에서 조선인이 직접 찍은 첫 번째 사진은 1880년대 중반에 가서야 나타난다.[* 조선에서 처음으로 사진을 찍은 시기는 1871년도이긴 한데, 그 때 찍은 사진은 [[신미양요]] 때 미국 해군이 조선군 포로를 촬영한 것이다.] 즉 이재선 생전에는 조선에 사진을 촬영할만한 곳도 그런 기술을 가진 사람도 없었기에 사진을 찍을 수가 없었다. 또 하나, 밑에서 첫 번째 사진에 해당 인물에 대한 설명이 ''''Cousin''' of King' 으로 적혀있다. 비록 [[이복형제]]라 해도 엄연히 아버지가 같은 형제를 'Cousin' 으로 쓰는 것은 말이 안 된다. 'Cousin'은 4촌 뿐 아니라 더 먼 같은 [[항렬]]의 즉 형제뻘을 이르는 단어로도 쓰이며, 족보 상 고종과 8촌인 청안군 이재순은 이에 해당한다. 그래서 이 사진들 속 사람은 청안군 이재순이 맞다.[* 아랫 사진을 보면 'Fat Prince' 라고 적혀있는데 번역하면 '뚱보 공(公)'. 외국인들 사이에서 그의 별명이었다. 더 위의 관복을 입은 사진을 보면 뱃살이 나와 있다.(...)] 즉, 실제 완은군의 남아있는 사진은 '''없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이재선, version=41, paragraph=2)] [[분류:대한제국의 황족]][[분류:전주 이씨 연령군파]][[분류:서출]][[분류:조선의 무관]][[분류:1842년 출생]][[분류:1881년 사망]][[분류:독살형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