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ffd800 '''조선 정종의 증손'''[br]{{{+1 '''완성군 | 莞城君'''}}}}}} || ||<-2><#94153E> '''[[봉호|{{{#ffd800 봉호}}}]]''' ||<(> 완성군(莞城君) || ||||<:><#94153E> '''[[본관|{{{#ffd800 본관}}}]]''' ||<(> [[전주 이씨|전주]](全州) || ||||<:><#94153E> '''[[이름|{{{#ffd800 이름}}}]]''' ||<(> 귀정(貴丁) || ||||<:><#94153E> '''{{{#ffd800 생부}}}''' ||<(> 신종군 이효백(新宗君 李孝伯) || ||||<:><#94153E> '''{{{#ffd800 생모}}}''' ||<(> 예안현부인 [[최(성씨)|예안 최씨]](禮安 崔氏) || ||||<:><#94153E> '''{{{#ffd800 부인}}}''' ||<(> [[조(성씨)|배천 조씨]](白川 趙氏) || ||||<:><#94153E> '''{{{#ffd800 자녀}}}''' ||<(> 9남 8녀[* 적자녀: 4남 1녀, 서자녀: 5남 7녀.] || ||<|2><:><#94153E> '''{{{#ffd800 생몰[br]기간}}}''' ||<:><#94153E> '''[[음력|{{{#ffd800 음력}}}]]''' ||[[1454년]] ~ [[1527년]] [[3월 21일]] || ||<:><#94153E> '''[[태양력|{{{#ffd800 양력}}}]]''' ||[[1454년]] ~ [[1527년]] [[4월 21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의 왕족. 이름은 이귀정(李貴丁). [[정종(조선)|정종]]의 10남 [[덕천군]]의 [[장손]]이다. == 생애 == 덕천군의 장남 신종군 이효백의 맏아들로 1454년([[단종(조선)|단종]] 2년)에 태어났다. 생애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은 많지 않다.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중종(조선)|중종]] 시기에 주로 등장하는데, 역모 고변이나[[http://sillok.history.go.kr/id/kka_10410028_001#footnote_view3|#]] 자식의 광증을 아뢰는 등[[http://sillok.history.go.kr/id/kka_12010029_004|#]] 좋은 일로 언급된 적이 없다.(...) 1527년(중종 22년)에 세상을 떠났다. 향년 74세.[* 당시 나이 셈법인 [[세는나이]] 기준이며, 만으로는 73세이다.] == 가족 관계 == * 조부 : [[덕천군]] 이후생(德泉君 李厚生) * 조모 : 고택군부인 [[장수 이씨]](高澤郡夫人 長水 李氏) - 장천부원군 이종무(長川府院君 李從茂)의 딸 * 부 : 신종군 공간공 이효백(新宗君 恭簡公 李孝伯) * 모 : [[예안 최씨]](禮安 崔氏) - 동추 최경례(同樞 崔景禮)의 딸 * 정부인 : [[배천 조씨]](白川 趙氏) - 판관 조견석(判官 趙碩堅)의 딸 * 적장남 : 화령부수 이계성(化寧副守 李繼性) * 적차남 : 상산부수 이계보(商山副守 李繼保) * 적3남 : 변성부수 이계련(邊城副守 李繼連) * 적4남 : 함풍도정 이계수(咸豐都正 李繼壽) * 적장녀 : 정언 [[광주 이씨|이세홍]](正言 李世弘)의 처 * 첩부인 : 성씨 미상 * 서장남 : 개성부수 이계석(開城副守 李繼錫) * 서차남 : 부안령 이계종(富安令 李繼終) * 서3남 : 여산부령 이계손(礪山副令 李繼孫) * 서4남 : 파성부령 이계안(坡城副令 李繼安) * 서5남 : 서천부령 이계부(舒川副令 李繼富) * 서장녀 : 김지숙(金智叔)의 처 * 서차녀 : 송계(宋桂)의 처 * 서3녀 : 박덕린(朴德鱗)의 처 * 서4녀 : 홍사순(洪士淳)의 처 * 서5녀 : 박지(朴芝)의 처 * 서6녀 : 이천수(李千壽)의 처 * 서7녀 : [[여흥 민씨|민승서]](閔承緖)의 처 === 후손 === [[배천 조씨|조석견]]의 딸과 혼인하여 슬하에 4남 1녀를 두었고, [[첩|측실]] 사이에서 5남 7녀를 두어 총 9남 8녀를 낳았다. 다만, 저 서자녀 5남 7녀가 모두 한 사람의 소생인지 여러 사람의 소생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이중 주목할 것은 정실 소생 4남 함풍도정 이계수의 가계이다. 함풍군은 독자 이수광 하나만 낳았고 이수광은 3남을 두었는데 이수광의 막내아들이 이유간(李惟侃)이다. 그 이유간의 아들이 바로 [[인조]] 시기 유명한 재상이었던 [[이경직(1577)|이경직]]과 [[이경석]]이다. 그리고 이들의 후손 중에서 [[이정영(1616)|이정영]], 이진검, [[이광사]], [[이건창]] 등 조선 후기와 말기에 고위 관직을 역임한 인물들과, 학문적으로 강화학파라 불리며 이름을 떨친 학자들이 많이 나왔다. == 묘 == ||<-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기념물|{{{#ffffff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 || 16호 ||<|2> ← || '''17호''' ||<|2> → || 18호 || || [[배재학당 역사박물관#s-3|배재학당 동관]] || '''조석견과 완성군 이귀정 묘역''' || [[구용산수위관측소]]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ffffff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제17호}}}''' || ||<-2> {{{#fff {{{+1 '''조석견과 완성군 이귀정 묘역'''}}}[br]{{{-1 趙碩堅과 莞城君 李貴丁 墓域}}}}}}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조석견과 완성군 이귀정 묘역,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서울)|흑석동]] 54-9번지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기타 || || '''{{{#fff 수량 / 면적}}}''' || 분묘 10基, 석물 21基, 토지 2,676㎡ || || '''{{{#fff 지정연도}}}''' || [[2001년]] [[5월 10일]] || || '''{{{#fff 시대}}}''' || [[조선시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석견과완성군이귀정묘역_전경2_(촬영년도___2015년).jpg|width=100%]]}}} || || {{{#ffd800 ''' 조석견과 완성군 이귀정 묘역[*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524790&ccbaKdcd=23&ccbaAsno=0017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clearfix] ---- 묘는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서울)|흑석동]]에 있으며, 완성군의 장인 조석견 내외의 묘와, 완성군의 아들 상산군 등의 묘도 함께 있다. 묘역으로 들어가는 입구에는 정려문과 사당 충경사, 재실 1채가 있다. 2001년 5월 10일 [[서울특별시의 기념물|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제17호로 지정받았다. [각주] [[분류:조선의 왕자군]][[분류:1454년 출생]][[분류:1527년 사망]][[분류:전주 이씨 덕천군파]][[분류:서울특별시의 기념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