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와칼레오}}}[br]Wakaleo}}}''' || ||<#F93> '''학명''' || ''' ''Wakaleo'' '''[br]Clemens & Plane, 1974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류|포유강]]^^Mammali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캥거루목^^Diprotodonti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주머니사자과^^Thylacoleonidae^^||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와칼레오속^^''Wakaleo''^^'''||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와칼레오 반데를레우리(''W. vanderleuri'')^^{{{-1 [[모식종]]}}}^^[br]Clemens & Plane, 1974 * †와칼레오 올드피엘디(''W. oldfieldi'')[br]Clemens & Plane, 1974 * †와칼레오 알코타인시스(''W. alcootaensis'')[br]Archer & Rich, 1982 * †와칼레오 피티칸텐시스(''W. pitikantensis'')[br]Rauscher, 1987 * †와칼레오 스크호우테니(''W. schouteni'')[br]Gillespie ''et al''., 2017 || || [[파일:external/australianmuseum.net.au/Wakaleo_big.jpg|width=500]] || || 복원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마이오세]]에 [[오스트레일리아]]에 분포한 쌍절치목에 속하는 [[유대류]] [[포유류]]로 [[주머니사자]]의 일종이었다. == 상세 == 속명의 뜻은 [[어보리진]] 언어로 '작다'를 뜻하는 'waka'와 [[라틴어]]로 [[사자]]를 뜻하는 'leo'의 합성어로 '작은 사자'라는 뜻. 몸길이는 80cm, 몸 높이는 40cm, 몸무게는 30~56kg정도로 몸길이는 오늘날의 [[스라소니]] 정도 크기였다. . [[http://www.wakaleo.net/wp-content/uploads/2013/04/Wakaleo-01.jpg|복원 과정]] 주머니사자과의 다른 동물들이 적극적인 육식동물이었지만, 와칼레오의 경우는 어금니의 형태가 다른 주머니사자와는 달라서 [[곰]]처럼 잡식을 했다는 의견이 있다.[* 특히 반데를레우리(``W. vanderleuri``)종에서 두드러진 특징.] 특히 다른 주머니사자에서 보이는 어금니의 송곳니 형 돌기가 미발달했다는 듯. 대신 아래 턱 앞니가 꽤 긴 편이어서 다른 주머니사자에 비해 많이 발달한 편이었다. 사냥 방식은 다른 주머니사자와 마찬가지로 오늘날의 [[표범]]과 비슷하게 나무 위에서 먹이를 급습하는 방식으로 추정된다. [[분류:주머니사자과]] [[분류:고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