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달서구의 고등학교]][[분류:2000년 개교]][[분류:남녀공학 고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대구광역시 달서구의 고등학교)] ||[[파일:와룡고등학교전경.png|width=100%]] [[파일:와룡고등학교풍경.png|width=100%]]|| || {{{#white '''▲ 와룡고등학교 전경'''}}} || ||<-2> '''[[달서구|{{{#000000,#dddddd 대구광역시 달서구}}}]]의 [[일반계 고등학교|{{{#000000,#dddddd 일반계 고등학교}}}]]'''[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파일:와룡고등학교교표.png|height=70]]||{{{#!wiki style="margin: -5px 0" '''{{{+1 와룡고등학교}}}'''[br]臥龍高等學校[br]{{{-1 WARYONG HIGH SCHOOL}}}}}}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 와룡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white '''개교'''}}} ||'''2000년 3월 1일[* 학교홈페이지 연혁 참고.]''' || || {{{#white '''유형'''}}} ||'''일반계 고등학교''' || || {{{#white '''성별'''}}} ||'''남녀공학''' || || {{{#white '''형태'''}}} ||'''공립''' || || {{{#white '''교장'''}}} ||'''최면숙''' || || {{{#white '''교감'''}}} ||'''조광제[* 인근 [[신당중학교]]의 음악 교사였다.]''' || || {{{#white '''교훈'''}}} ||'''깊은 생각, 바른 행동''' || || {{{#white '''교화'''}}} ||'''장미''' || || {{{#white '''교목'''}}} ||'''느티나무''' || || {{{#white '''학생 수'''}}} ||'''517명 (2023.3.9)[br](남학생 196명 / 여학생 321명)'''|| || {{{#white '''교직원 수'''}}} ||'''78명 (2023.3.9)'''|| || {{{#white '''관할 교육청'''}}} ||'''[[대구광역시교육청]]'''|| || {{{#white '''주소'''}}} ||'''[[대구광역시]] [[달서구]] [br]선원로23북길 20 ([[이곡동|이곡동]])''' || || {{{#white '''홈페이지'''}}} ||[[http://www.waryong.hs.kr]] || [목차] [clearfix] == 개요 == 와룡고등학교(臥龍高等學校, WARYONG HIGH SCHOOL)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이곡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로 2000년 3월 1일에 개교했다. == 학교 연혁 == > ''' "창의적이고 도덕적인 세계시민" ''' * 1997-11-06: 대구광역시 교육위원회 와룡고등학교 설립안 의결 * 2000-03-01: 와룡고등학교 개교. 초대 한길호 교장 취임 * 2000-03-03: '''제1회 입학식 거행, 신입생 421명 입학''' * 2001-03-02: '''제2회 입학식 거행''' * 2001-12-28: 2001 교육활동 유공학교 표창(교육감) * 2002-03-01: 창의성 시범학교 지정(교육청) * 2002-03-02: '''제3회 입학식 거행'''[* 2002년 3월 2일은 토요일이었으나 당시에는 토요일도 등교를 했었기 때문에 이날 입학식을 거행한 것으로 추정된다. 제2회(2001년)~제10회(2009년)동안의 입학식 날짜는 학교홈페이지에 안내되어있지 않아 정확하지 않다. 여긴 당시 3월 달력을 참고하여 추정한 입학식 날짜가 적혀있다.] * 2003-02-12: '''제1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407명(남207명, 여200명)) * 2003-03-03: '''제4회 입학식 거행''' * 2003-10-29: 창의성 시범학교 연구 발표 * 2003-12-26: 2003 교육활동 유공학교 표창(교육감) * 2004-02-12: '''제2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401명(남239명, 여162명), 졸업생 누계 808명)''' * 2004-03-01: 제2대 김해룡 교장 취임 * 2004-03-02: '''제5회 입학식 거행''' * 2004-10-26: 교기 [[스쿼시]]부 창단 * 2005-02-15: '''제3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412명(남312명, 여100명), 졸업생 누계 1,220명)''' * 2005-03-02: '''제6회 입학식 거행''' * 2006-02-10: '''제4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477명(남265명, 여212명), 졸업생 누계 1,697명)''' * 2006-03-01: 제3대 엄재길 교장 취임 * 2006-03-02: '''제7회 입학식 거행''' * 2007-02-08: '''제5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431명(남216명, 여215명), 졸업생 누계 2,128명)''' * 2007-03-01: 방과후학교 시범학교지정(대구광역시교육청) * 2007-03-02: '''제8회 입학식 거행''' * 2007-08-03: 2007 방과후학교 운영 경진대회 장려상 수상 * 2007-10-12: 전국체전 동메달 획득(스쿼시부) * 2007-12-04: 방과후 학교 시범학교운영 최우수교 수상 * 2007-12-26: 교육감표창(연구시범학교 운영) * 2008-02-13: '''제6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493명(남256, 여237명), 졸업생 누계 2,621명)''' * 2008-03-01: 국가인권위원회 지정 인권교육 시범학교지정 * 2008-03-03: '''제9회 입학식 거행''' * 2008-09-01: 제4대 김점득 교장 취임 * 2008-10-16: 전국체전 은메달, 동메달 획득 * 2008-12-31: 학력향상(3학년) 우수교 표창 * 2009-02-11: '''제7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486명, 졸업생 누계 3,107명)''' * 2009-03-02: '''제10회 입학식 거행''' * 2009-03-13: 방과후 학교 거점학교 운영 * 2009-11-04: 교훈비 제작 * 2009-12-23: 교육감 표창(인권교육실천 연구학교운영) * 2010-02-08: 체육관 신축 및 급식소 이전 * 2010-02-10: '''제8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471명, 졸업생 누계 3,578명)''' * 2010-03-02: '''제11회 입학식 거행(입학생 398명)''' * 2010-10-10: 전국체전 동메달 획득 * 2010-12-19: 2010 학교평가 및 교육시책부문 평가 우수상 수상 * 2011-01-04: 학력 향상(3학년) 우수교 표창 * 2011-02-09: '''제9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508명, 졸업생 누계 4,086명)''' * 2011-03-02: '''제12회 입학식 거행(입학생 444명)''' * 2011-04-16: 제5회 전북연맹회장배 전국스쿼시 선수권대회 여고부 우승 * 2011-07-27: 제33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 경진대회 금상 수상 * 2011-12-21: 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우수학교 선정 * 2011-12-21: 과학, 환경교육우수학교 선정 * 2011-12-21: 독서 글쓰기 교육 우수학교 선정 * 2011-12-21: 방과후학교 수준별 강좌 운영 우수학교 선정 * 2012-02-08: '''제10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442명(남 218명, 여 224명), 졸업생 누계 5,248명)''' * 2012-03-02: '''제13회 입학식 거행(입학생 427명)''' * 2012-04-28: 전국스쿼시 선수권대회 여자고등부 1위 * 2012-06-22: 정보올림피아드 은상 * 2012-09-01: 제5대 김종윤 교장 취임 * 2012-10-15: 제93회 전국체육대회 스쿼시부 금상 * 2012-12-24: 2012학년도 교육활동 유공학교교육감 표창 * 2012-12-31: 2012학년도 고등학교 학력 향상 우수교 선정 * 2012-12-31: 2012학년도 학교평가 최우수교 교육감 표창 * 2013-02-06: '''제11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385명, 졸업생 누계 5,633명)''' * 2013-03-01: 특수학급 신설 Wee Class 설치운영 * 2013-03-04: '''제14회 입학식 거행(입학생 434명)''' * 2013-10-20: 제94회 전국체육대회 스쿼시부 금상, 라틴댄스 금상 * 2013-12-26: 2013학년도 100대 교육과정 우수교 교육감 표창 * 2013-12-31: 2013 학교평가 우수교 선정 * 2014-02-06: '''제12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435명. 졸업생 누계 5,348명)''' * 2014-03-03: '''제15회 입학식 거행(입학생 349명)''' * 2014-12-31: 2014학년도 교육활동 유공학교 교육감 표창 * 2015-02-05: '''제13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415명, 누계 5,763명)''' * 2015-02-12: 2014. 자율형 창의경영학교 운영 우수교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표창 * 2015-03-01: 제6대 피창수 교장 취임 * 2015-03-02: '''제16회 입학식 거행(입학생 304명)''' * 2015-05-16: 제15회 회장배 전 한국스쿼시선수권대회 남고부단체3위 * 2015-08-01: 제11회 대한체육회장배 전국스쿼시경기대회 남자3위, 남고부 단체 3위 * 2015-12-15: 2015.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향상도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2016-02-03: '''제14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430명, 졸업생 누계 6,193명)''' * 2016-03-02: '''제17회 입학식 거행(입학생 278명)''' * 2016-03-14: 2016. 대구시교육청 교실수업 개선 실천 거점학교 * 2016-03-29: 2016. 대구시교육청 일반고 교육역량강화 제5클러스터 중심학교 * 2016-10-11: 제97회 전국체육대회 스쿼시경기대회 고등부 남자 동메달 * 2016-12-19: 2016.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우수프로그램 운영 최우수교 교육감 표창 * 2016-12-21: 2016.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우수프로그램 운영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표창 * 2017-02-08: '''제15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347명, 졸업생 누계 6,540명)''' * 2017-03-02: '''제18회 입학식 거행(입학생 281명)''' * 2017-06-23: 2017. 대구광역시과학전람회 우수상 * 2017-09-16: 우리학교 최고밥상 경연대회 우수상(교육감) * 2017-10-24: 제98회 전국체육대회 스쿼시경기대회 고등부 남자 금메달, 고등부 여자 동메달 획득 * 2017-12-15: 2017. 2차 학교폭력 제로학교 교육감 표창 * 2018-02-07: '''제16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297명, 졸업생 누계 6,837명)''' * 2018-03-01: 제7대 최정화 교장[* 와룡고등학교 교감이었다가 몇년 후 교장으로 다시 학교를 찾았다.] 취임 * 2018-03-02: '''제19회 입학식 거행(입학생 209명)''' * 2018-06-28: 중국어 중점학교 신규 지정(과정형성형) * 2018-11-01: 제6회 창의적체험활동 동아리 축제 시상(대상1, 금상2, 은상1, 동상1) * 2019-01-31: '''제17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273명, 졸업생 누계 7,110명)''' * 2019-03-04: '''제20회 입학식 거행(입학생 231명)''' * 2019-12-31: 2019 교육활동 유공학교 교육감 표창(인성교육부문) * 2020-02-06: '''제18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280명, 졸업생 누계 7,390명)''' * 2020-03-02: '''2020학년도 와룡고등학교 제1학년 입학허가(입학생 178명) ''' * 2020-03-03: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한 휴업기간 연장 * 2020-06-03: 2020학년도 등교 개학 * 2020-09-01: 제8대 이상훈 교장 취임 * 2021-02-05: '''제19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199명, 졸업생 누계 7,589명)''' * 2021-03-02: '''제22회 입학식 거행(입학생 167명)''' * 2021-10-09: 제102회 전국체육대회 스쿼시경기 개인 남자 단식 동메달 * 2022-01-06: '''제20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211명, 졸업생 누계 7,800명)''' * 2022-02-24: 2022 수능유공 교육부장관 표창 * 2022-03-02: '''제23회 입학식 거행(입학생 166명)''' * 2023-02-01: '''제21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177명, 졸업생 누계 7,977명)''' * 2023-03-02: '''제24회 입학식 거행(입학생 183명)''' * 2023-09-01: 제9대 최면숙 교장 취임 == 학교 생활 == === 학교 생활 === * '''등교''' 전학년: 8시 10분[* 학생부 선생님들이 돌아가면서 복장을 검사한다.] * '''지각''' 지각생 관리는 각 반 담임 교사의 재량껏 이루어진다.[* 중학교와 달리 벌점 제도가 활성화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주로 각 반 벌청소로 대체한다.] 1교시 시작 시간인 8시 30분까지 교실에 도착하지 못하면 무단 지각으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 '''아침 독서 및 학급 조회''' 8시 10분 ~ 8시 30분 * '''수업''' 수업 시간: 50분 쉬는 시간: 10분 1교시 수업 시작: 8시 30분 월요일 화요일 목요일 금요일: 7교시로 진행되며 주로 교과 수업이 이루어진다. 수요일: 6교시로 진행되며 5,6교시엔 주로 동아리, 진로, 봉사, 체험 활동 또는 자습이 이루어진다. 8, 9교시: 각자 신청한 방과후 보충수업을 듣는다. * '''점심''' 4교시 후 50분간 점심 시간을 가진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20년~2022년 4월'동안은 3학년은 4교시, 1,2학년은 5교시 후 40분동안 점심 시간을 가졌다.] * '''자율 학습''' 하루 일과 이후 6시 10분까지 오후 자율 학습(오자) 신청자들이 각자 자기 반에서 자습을 진행한다. 석식 이후 9시까지 야간 자율 학습(야자) 신청자들이 각자 자기 반에서 자습을 진행한다. 야자 이후 10시30분까지 심자반 신청자들이 심자실에서 자습을 진행한다.[* 심자는 전교권 학생(학년별 약 50명)만 신청 가능하다.] 몸이 좋지 않거나 학원 시간과 겹치는 등 자율 학습을 빠져야할 땐 담임 교사에게 꼭 말해야 한다. 심자 신청자들 중 평일에 최소 요일을 다 채울 수 없는 사람들은 토요일에 학교를 와 토요일 자율학습(토자)를 진행한다. * '''석식''' 8, 9교시 또는 오자 이후 6시 10분부터 50분동안 석식 시간을 가진다. * '''전국연합학력평가(모의고사)''' [[수능 시간표]]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 '''중간고사/기말고사'''[* 과목마다 시험 범위가 따로따로 나오니 잘 체크하길 바람.] 한 과목당 수업 시간과 동일한 50분의 시간이 주어지며 20분동안의 쉬는 시간을 가진다. 1교시: 8시 50분 ~ 9시 40분 2교시: 10시 5분 ~ 10시 55분 3교시: 11시 20분 ~ 12시 10분 중간고사는 보통 3일, 기말고사는 보통 4일동안 진행되며 시험 시간표는 주로 '화(수)~금'으로 계획된다. 하루에 2~ 3과목 정도 시험을 친 후 하교하며[* 2학년부터는 학급내 선택 과목이 겹치지 않는 등 운이 좋으면 1교시만 하고 바로 하교할 수도 있다.] 진로 선택 과목[* 기하나 과학II과목 등 A B C로 점수를 내는 과목을 말한다.]이나 제2 외국어 과목[* 한문, 중국어, 일본어 등.], 기술가정, 정보 등은 주로 중간고사 없이 기말고사만 치루어진다. === 복장 === * '''교복''' 2019학년도에 착한 교복 시범 학교로 선정되어 그이후로 교복의 디자인이 바뀌었다.[* 기존 정장식의 동복은 후드티로 바뀌었다.][* 교복 디자인 변경에 반대하는 학생들도 적지 않다.] 교복은 학교의 안내에 따라 학교주관구매로 구입하며 하복 및 동복 디자인은 아래와 같다. [* 남녀공용이다.] 하복: 남색에 체크 무늬 카라의 반팔 티셔츠[* 원래는 흰색이었으나 상의 안이 비치는 문제때문에 디자인이 바뀌었다.][* 왼쪽 소매 부분에 와룡고등학교 교표가 그려져있다.], 남색 반바지, 남색 긴바지[* 짧은 바지, 긴 바지는 선택이다.] 동복: 연회색 후드티[* 왼쪽 소매 부분에 WARYONG HIGH SCHOOL라는 뜻의 WRHS가 흰색으로 새겨져있다.][* 착한 교복으로 바뀐 후 교복대신 교복과 디자인이 비슷한 회색 후드티 사복을 입고 등교하는 학생들이 빈번하다.], 검은색 바지, 검은색 후리스 집업 점퍼[* 후드티와 마찬가지로 왼쪽 소매에 WRHS라는 글자가 흰색으로 새겨져있다.][* 은근 뻣뻣하고 꽉 낀다. 따라서 구매할 예정이라면 사이즈를 넉넉하게 구입하길 바람.] * '''체육복''' 학기초마다 학교에 체육복 업체가 와서 하교 후 뒷문 쪽에서 구매 가능하다. 1년에 약 2번씩 각각 2~3일동안 구매, 교환, 환불이 진행되며 이 시기를 놓치면 개인적으로 업체를 찾아가야한다.[* 매점에서도 구매 가능.] 하복 및 동복 디자인은 아래와 같다. 하복[* 하복 체육복은 학생들에게 인기가 그렇게 많진 않다.]: 하늘색에 검정색 카라의 반팔 티셔즈, 검정색 체육복 바지 동복[* 외투보다는 바지를 많이 입는다.]: 회색과 남색 계열의 외투, 다리부분에 굵은 흰색 선이 있는 남색 체육복 바지 * '''생활복''' 생활복은 따로 없으며 교복과 체육복으로 대신한다. === 학교 행사 === * '''체육한마당(창체전일제)'''[* 1, 2 학년만 참가한다.] 5월 말쯤에 진행하는 체육대회이다. 일반적인 체육 활동 및 경기뿐만 아니라 '선생님 얼굴 그리기' 등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져 학생과 교사 모두 즐겁게 참여할 수 있다. 각 반마다 반티를 정하기 때문에 학기초부터 sns에서 치열한 눈치 싸움을 확인할 수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과 2021년 '체육한마당'은 취소되었다. 코로나19 감염병 등급 조정으로 2022년부터는 정상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 '''동아리 발표회'''[* 3학년은 동아리 활동 비중이 적기 때문에 1, 2학년 위주로 진행된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이후 11월말쯤에 진행된다. 1년동안 각 동아리의 활동 결과물[* 만들기나 그림 동아리의 작품들은 전시되기도 한다.]을 보고서로 제출하고 발표하는 시간을 갖는다. 강당에서 부스 체험도 이루어지며 1년동안 성실하게 동아리 활동에 임한다면 동아리 입상[* 최우수상, 우수상, 장려상.]도 가능하다. * '''날미르제''' 11월말이나 12월초쯤에 진행하는 학교 축제이다. 밴드부 공연이나 댄스 공연 등을 볼 수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과 2021년 '날미르제'는 취소되었다. 코로나19 감염병 등급 조정으로 2022년부터는 정상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 '''수련 활동''' 1학년들은 8월 말쯤에 1박2일로 수학 여행(수련 활동)을 간다. * 21회 졸업생은 고등학교 입학과 동시에 코로나19 유행이 번져[* "우리의 학창시절은 조금, 특별했습니다. [[코로나19|초대하지 않은 손님]] 덕에 선생님과 친구들을 화면 너머로 먼저 만나고, 마스크를 쓴 채로 생활해야 했습니다." - 2023 와룡고등학교 졸업앨범 편집후기 中] 3년간 체육 대회, 수학 여행 등 제대로된 학교 행사가 없었다. === 학교 시설 === * '''본관'''[* 본관의 특별실은 위인들의 이름을 사용해서 나름 개성있다.] || {{{#white 지하 1층[* 점심 시간에 지하 1층으로 내려가면 누구보다 빠르게 급식실에 도착할 수 있다.]}}} ||{{{#black,#white 도서관, 체육예술부, 기계실, 전기실, 중앙 감지실, 창고}}} || || {{{#white 1층}}} ||{{{#black,#white 보건실, 가사실, 화학 실험실, 과학 준비실, 중국어 전용 교실, 중국어 준비실, 진로진학 상담실, 교장실, 행정실, 회의실, 평가 관리실, 문서실, 인쇄실, 숙직실, 학습 도움실1,2,3, 시청각실, 샤워실(남), 창고}}} || || {{{#white 2층}}} ||{{{#black,#white 1학년 교실, 교무실, 1학년 교무실, 미술실, 가우스실[* 수학자.], 방송실, 체육실(무용실), 회의실, 아나바다실, 여직원 휴게실, 남직원 휴게실}}} || || {{{#white 3층}}} ||{{{#black,#white 2학년 교실, 2학년 교무실, 음악실, 오일러실[* 수학자이자 물리학자.], 바이런실[* 시인.], 셰익스피어실[* 시인이자 극작가.], 정보실, 컴퓨터 1실, 수학교과 교실, 영어교과 교실, 특별실, 선택교과 A실}}} || || {{{#white 4층}}} ||{{{#black,#white 3학년 교실, 3학년 교무실[* 교내 교무실 중 유일하게 미닫이문이 아닌 여닫이문으로 되어있다.], 파스칼실[*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이자 철학자이자 종교사상가.], 학생 생활 지원부, 선택교과 B실, 선택교과 C실, 위클래스}}} || || {{{#white 5층}}} ||{{{#black,#white 자습실[* 간혹 벌레가 나오는 편이다.] , 1,2학년 자습실, 3학년 자습실}}} || * '''신관(날미르관)'''[* '용의 비상'이라는 뜻으로 힘차게 날아오를 기상을 나타낸다.] || {{{#white 1층}}} ||{{{#black,#white 학생 식당, 교직원 식당, 조리실, 교사 연구실}}} || || {{{#white 2층}}} ||{{{#black,#white 강당, 물리 실험실, 물리 준비실, 기술실}}} || || {{{#white 3층}}} ||{{{#black,#white 생물 실험실, 생물 준비실, 지구과학 실험실, 지구과학 준비실}}} || * '''화장실'''[* 건물을 지을 때 와룡고는 남녀 분반이었기 때문에 모든 층이 남자 화장실은 앞반(남자반)쪽에, 여자 화장실은 뒷반(여자반)쪽에 오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남녀합반이 이루어진 현재는 문과반(앞반) 남학생, 이과반(뒷반) 여학생들이 화장실이 멀어 고생하고 있다.] || {{{#white 본관 1층}}} ||{{{#black,#white 여자 화장실, 남자 화장실[* 담배를 피는 학생들 때문에 담배 냄새가 나기도 한다.], 여직원 화장실, 남직원 화장실}}} || || {{{#white 본관 2층}}} ||{{{#black,#white 여자 화장실, 남자 화장실, 여직원 화장실, 남직원 화장실}}} || || {{{#white 본관 3층}}} ||{{{#black,#white 여자 화장실, 남자 화장실}}} || || {{{#white 본관 4층}}} ||{{{#black,#white 여자 화장실, 남자 화장실}}} || || {{{#white 본관 5층[* 교실이 없어 한적하다.]}}} ||{{{#black,#white 여자 화장실, 남자 화장실}}} || || {{{#white 신관 1층}}} ||{{{#black,#white 여자 화장실, 남자 화장실}}} || || {{{#white 신관 2층}}} ||{{{#black,#white 여자 화장실, 남자 화장실}}} || || {{{#white 신관 3층[* 문이 잠겨있을 수도 있다.]}}} ||{{{#black,#white 여자 화장실, 남자 화장실}}} || * '''기타''': 운동장, (매점) === 중국어중점학교 === 2019학년도부터 와룡고등학교는 학생들의 중국어 의사소통 능력 함양 및 중국 문화 이해를 통한 글로벌 인재 육성을 위해 중국어중점학교(중국어 특성화학교)를 운영해왔다. 1학년은 '중국어Ⅰ' 과목을 필수로 이수해야하며 2, 3학년 교양 선택 과목에 '중국어Ⅱ'와 '중국 문화' 과목이 있고 방과후에 중국어회화반을 개설하는 등 학생들이 중국의 언어와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마련했다.[* 중국 문화 축제나 UCC 제작 대회도 있었다.] 많은 프로그램을 진행한 만큼 그에 따른 학습 성과도 있었으나 학생들의 수요가 예상한 것에 크게 미치지 못하여 2021년을 마지막으로 3년만에 중국어중점학교 운영을 종료하게 되었다. == 상징 == === 교훈 === [[파일:와룡고교훈.png]] * '''교훈''': 깊은 생각 바른 행동 === 교화 === [[파일:와룡고 교화.png]] * '''교화''': 장미 [[장미]]는 여름에서 늦가을까지 가장 오랜시간에 걸쳐 피는 꽃으로서 사랑과 봉사의 정신을 상징하여 남을 배려하는 아름다운 마음이 와룡인의 모습과 같다. === 교목 === [[파일:와룡고 교목.png]] * '''교목''': 느티나무[* 인근 [[성산고등학교(대구)|성산고등학교]]와 교목이 같다.] [[느티나무]]는 나무결이 아름답고 그늘이 깊어 누구나 쉬어갈 수 있는 아름다운 나무로서 봉사정신으로 남과 더불어 삶을 나누는 와룡인의 모습을 상징한다. === 교가 === [[파일:와룡고 교가.png]] * '''교가''' 최재운 작사 / 강석중 작곡 === 교표 === [[파일:와룡고등학교교표.png]] * '''교표''' 바탕의 청색은 무한한 기상과 꿈을 상징하며 글씨의 노란색은 빛을 상징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밝은 빛을 밝히라는 뜻을 말한다. 테두리는 장미꽃 봉오리 모양으로 사랑과 봉사를 상징하며 훗날 필 기상을 예상하여 나타낸다. 가운데 그림은 고등학교를 나타내며 독수리의 날개와 같이 힘찬 비상을 나타낸다. 아래 문양은 '와룡'[* 자세히 보면 'ㅇㅘㄹㅛㅇ'이라고 쓰인걸 알 수 있다.]의 고유 명칭을 나열하여 나타내었으며 웅비하는 모습을 표현한다. === 학교 경영 비전 === [[파일:와룡고경영.png]] * '''학교 경영 비전''' 바른 인성과 미래 역량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 == 사건·사고 == *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국정 농단 사태]]와 관련해 학생들의 교내 시국선언문 대자보 게시가 학교 측의 반대[*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기말고사를 앞둔 면학 분위기 저해' 및 '미성숙한 가치관을 가진 미성년자의 글'이라는 것이 주요 불허 사유]로 무산되었다. [[https://www.newsmin.co.kr/news/15105/|기사 참고]] == 출신 인물 == * [[손동표]] - [[아이돌]] 그룹 [[X1]]&[[미래소년]]의 멤버.[* 재학중 [[영동고등학교(서울)|영동고등학교]]로 전학.]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성서동서서한타운건너 (00874)'''}}}}}} || || [[간선버스(대구)|{{{#ffffff 간선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c78cf; font-size: .95em" [[대구, 경산 버스 509|{{{#ffffff 509(방천리공영차고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c78cf; font-size: .95em" [[대구 버스 524|{{{#ffffff 524(매곡)}}}]]}}}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지선|{{{#ffffff 지선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d12; font-size: .95em" [[대구 버스 성서3|{{{#ffffff 성서3(매곡)}}}]]}}} || ||<-3>[include(틀:지도, 장소=성서동서서한타운건너, 너비=100%, 높이=200px)]||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성서동서서한타운앞 (00875)'''}}}}}} || || [[간선버스(대구)|{{{#ffffff 간선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c78cf; font-size: .95em" [[대구, 경산 버스 509|{{{#ffffff 509(소라아파트건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c78cf; font-size: .95em" [[대구 버스 524|{{{#ffffff 524(범물1동행정복지센터앞)}}}]]}}}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지선|{{{#ffffff 지선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d12; font-size: .95em" [[대구 버스 성서3|{{{#ffffff 성서3(매곡)}}}]]}}} || ||<-3>[include(틀:지도, 장소=성서동서서한타운앞, 너비=100%, 높이=200px)]||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성서국민체육센터앞 (03954)'''}}}}}} || || [[간선버스(대구)|{{{#ffffff 간선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c78cf; font-size: .95em" [[대구, 경산 버스 509|{{{#ffffff 509(방천리공영차고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c78cf; font-size: .95em" [[대구 버스 524|{{{#ffffff 524(매곡)}}}]]}}}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지선|{{{#ffffff 지선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d12; font-size: .95em" [[대구 버스 성서3|{{{#ffffff 성서3(매곡)}}}]]}}} || ||<-3>[include(틀:지도, 장소=성서국민체육센터앞, 너비=100%, 높이=200px)]||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성서서한2차타운1 (02082)'''}}}}}} || || [[간선버스(대구)|{{{#ffffff 간선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c78cf; font-size: .95em" [[대구, 경산 버스 509|{{{#ffffff 509(소라아파트건너)}}}]]}}}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c78cf; font-size: .95em" [[대구 버스 524|{{{#ffffff 524(범물1동행정복지센터앞)}}}]]}}}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지선|{{{#ffffff 지선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d12; font-size: .95em" [[대구 버스 성서3|{{{#ffffff 성서3(매곡)}}}]]}}} || || [[급행버스(대구)|{{{#ffffff 급행버스}}}]]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c2323; font-size: .95em" [[대구 버스 급행1|{{{#ffffff 급행1(동화시설집단지구2)}}}]]}}} || ||<-3>[include(틀:지도, 장소=성서서한2차타운1, 너비=100%, 높이=200px)]|| }}} === 도시철도 === ||<-3> {{{+2 '''성서산업단지역'''}}} || ||<-3> [[대구 도시철도 2호선|[[파일:Daegu2.svg|width=30]]]] || || [[문양역|{{{#!html
문양 방면}}}]][[계명대역|계명대]][br]← 1.2 ㎞ || [[대구 도시철도 2호선|{{{#!html
2호선
(221)
}}}]] || [[영남대역|{{{#!html
영남대 방면}}}]][[이곡역|이 곡]][br]0.8 ㎞ → |||| ||<-3>[include(틀:지도, 장소=성서산업단지역, 너비=100%, 높이=200px)]|| [*성서산업단지역에서가는길 8번 출구로 나와 성서체육공원 방향으로 15분정도 직진한다.] == 기타 == * 한 학년당 보통 7~8 학급으로 이루어진다. * 문과보다 이과 인원의 수가 현저히 적기 때문에 이과 학생들은 좋은 성적을 받기 비교적 까다롭다. * 인근 [[와룡중학교]], [[이곡중학교]], [[신당중학교]], [[성지중학교(대구)|성지중학교]], [[서재중학교]]에서 많이 입학하는 편이다. * 학교 리로스쿨로 성적[* 중간고사, 기말고사, 종합, 모의고사 등. ] 확인이 가능하다. [* 리로스쿨 비밀번호를 모르면 확인 불가하다.] * 매년 4월, 9월에 학교 홈페이지 교육마당에 각각 1학기, 2학기 학년별 평가계획이 정리되어 올라오니 확인해보자. * 2021년 2학기에 들어 스쿼시부 건물이 학교 뒷편에 지어졌다. * 새학기가 시작되고 얼마 안 있으면 학교 곳곳에 벚꽃이 피는데 이때 중앙 현관 앞과 학교 뒷편 주차장은 사진 찍으려는 학생들의 핫플레이스가 된다. [* 3학년은 이맘때쯤 학교 벚꽃 나무 아래서 반별 단체 졸업사진 촬영을 한다.] * 학교 건물 중앙이 뻥 뚫려있다. * 주변에 [[경원고]]와 [[심인고]]라는 큰 남고가 있어서 그런지 여학생의 비율이 남학생보다 높은 편이다.[* 문과반은 거의 여고인 수준.] * 와룡고는 보통 문과 남학생들의 수능 고사장을 담당한다. * 4층 서편에 원래 게시판이 있던 자리에 문구가 다 떨어져 이제 '로 코'만 남게 되었다. '글로벌 코리아'로 추정된다. * 야자가 끝나고 9시가 넘으면 문이 다 잠긴다. * 수능 이후 3학년은 4교시만 하고 바로 하교한다. 따라서 이때 빠지는 5,6교시[* 3학년은 2학기가 되면 수강하는 과목이 적기 때문에 수업 시수에 따라 시간표를 짜면 매일 한 교시가 남는다.] 수업을 수능 전 2학기동안 7교시에 매주 번갈아가면서 채운다. * 인근 고등학교 중에 학생 수가 가장 적은 편에 속해서 적은 인원들끼리 경쟁해야하기 때문에 좋은 내신 등급을 받기 까다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