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애슬론 백작부인[br]{{{+1 앨리스 메리 빅토리아 어거스타 폴린}}}[br]Princess Alice of Albany'''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lice-Athlone.jpg|width=100%]]}}}|| || '''이름''' ||앨리스 메리 빅토리아 어거스타 폴린[br](Alice Mary Victoria Augusta Pauline)|| || '''출생''' ||[[1883년]] [[2월 25일]][br][[버크셔]] [[윈저 성]]|| || '''사망''' ||[[1981년]] [[1월 3일]] (향년 97세)[br][[런던]] [[켄싱턴 궁전]]|| || '''배우자''' ||[[알렉산더 케임브리지|제1대 애슬론 백작 알렉산더 케임브리지]][br],,(1904년 결혼 / 1957년 사망),,|| || '''자녀''' ||메이, 루퍼트, 모리스|| || '''아버지 ''' ||[[레오폴드 조지 덩컨 앨버트|올버니 공작 레오폴드 왕자]]|| || '''어머니''' ||[[헬레네 프리데리케 아우구스테|발데크피르몬트의 헬레네 공녀]]|| || '''형제''' ||[[카를 에두아르트]]||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 [[빅토리아 여왕]]의 4남인 [[레오폴드 조지 덩컨 앨버트|올버니 공작 레오폴드 왕자]]와 헬레네 공녀의 장녀이다. [[카를 에두아르트]]의 누나이기도 하다. 빅토리아 여왕의 손주들 중 가장 마지막까지 생존했으며, 역대 영국 왕자·공주들 중 가장 장수했다. == 생애 == === 어린 시절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95325-1340801156.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95373-1340801283.jpg|width=100%]]}}} || ||<-2> 어린 시절의 앨리스 공주 || 1883년 2월 25일 [[윈저 성]]에서 [[레오폴드 조지 덩컨 앨버트|올버니 공작 레오폴드 왕자]]와 올버니 공작부인 헬레나의 장녀로 출생했다. 1883년 3월 26일 윈저 성에서 세례를 받았으며, 이름은 둘째 고모인 [[앨리스 모드 메리|헤센 대공비 앨리스]]에게서 따와 '앨리스'로 지어졌다. 1년 뒤인 1884년 7월 19일에는 동생 [[카를 에두아르트|찰스 에드워드]]가 태어나서 누나가 되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95307-1340800719.jpg|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95993-1340803121.jpg|width=100%]]}}}|| || [[1883년]], [[레오폴드 조지 덩컨 앨버트|아버지]]와 함께 || [[1887년]], 어머니, [[카를 에두아르트|남동생]]과 함께 || 아버지 [[레오폴드 조지 덩컨 앨버트|올버니 공작 레오폴드 왕자]]는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물려받은 [[혈우병]] 환자였는데, 앨리스 또한 레오폴드 왕자로부터 이 유전자를 물려받아 혈우병 보인자였다. 레오폴드 왕자는 혈우병으로 인해 1884년 3월 28일, 30세의 젊은 나이로 나이로 요절했다. 이 때 앨리스는 갓 돌이 지났었고, 동생 [[카를 에두아르트|찰스 에드워드]]는 [[유복자|태어나기도 전이었다.]] === 결혼과 가정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7117-1316600972-01.jpg|width=100%]]}}}|| || 결혼 사진 || 1904년 2월 10일, 20세의 앨리스는 7촌인 [[알렉산더 케임브리지|테크의 알렉산더 공자]][* 앨리스는 [[조지 3세]]의 현손녀고, 알렉산더는 조지 3세의 증손자다.]와 [[윈저 성]] [[세인트 조지 예배당]]에서 결혼했다. 알렉산더는 앨리스의 사촌오빠 [[조지 5세|웨일스 공 조지]]의 아내 [[테크의 메리]]의 남동생이기도 했다. 두 사람 사이에서는 2남 1녀(메이, 루퍼트, 모리스)가 태어났다. 하지만 혈우병 보인자였던 앨리스의 영향으로 장성하여 자손을 남긴 것은 외동딸 메이 뿐이었다.[* 장남 루퍼트는 1928년에 [[교통사고]]로 인한 [[뇌출혈]]로 사망했고, 차남 모리스는 출생 5개월만에 요절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280px-Princess_Alice,_Countess_of_Athlone_with_children.jpg|width=100%]]}}}|| || 장녀 메이, 장남 루퍼트와 함께 || 남편 [[알렉산더 케임브리지|애슬론 백작 알렉산더]]가 [[남아프리카 연방]]의 총독으로 임명되자, 앨리스 또한 남편을 따라 남아프리카에서 거주하게 되었다. 이후 남편이 [[캐나다]]의 총독이 되어 캐나다에서 거주하기도 했다. 캐나다에 있는 동안 [[제2차 세계대전|전쟁]]을 피해 많은 왕족들이 캐나다로 찾아왔는데 그 중에는 [[올라프 5세|올라프 왕세자]]와 [[메르타 소피아 로비사 다그마르 티라|메르타 왕세자비]], [[샤를로트(룩셈부르크)|샤를로트 여대공]], [[페타르 2세]], [[요르요스 2세]], [[부르봉파르마의 지타 공녀|지타 황후]], [[빌헬미나 여왕]][* 참고로 앨리스와 빌헬미나 여왕은 이종사촌 지간이다.], 그리고 [[율리아나 여왕|율리아나 공주]] 등이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무렵, 미군은 [[나치 독일]]에 협력했던 앨리스의 유일한 남동생 [[카를 에두아르트]]를 체포했다. 앨리스는 남동생이 투옥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남편과 함께 독일로 건너가 미군들에게 석방을 요청했으나 그들은 카를 에두아르트에게 5천 마르크의 벌금형을 내렸다. 이 일로 인해 카를은 거의 파산했다. === 말년과 사망 === 남편 [[알렉산더 케임브리지]]가 1957년 [[런던]]의 [[켄싱턴 궁전]]에서 사망한 이후, 앨리스는 줄곧 그곳에서 거주하다 1981년 1월 3일 9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무려 [[빅토리아 여왕]] 시기에 태어나서 [[에드워드 7세]], [[조지 5세]], [[에드워드 8세]], [[조지 6세]], [[엘리자베스 2세]]의 즉위와 [[찰스 3세|찰스 왕세자]]까지 보고 사망한 것. 장례식은 [[윈저 성]] [[세인트 조지 예배당]]에서 열렸으며 많은 영국 왕족들이 참여했다. 유해는 먼저 세상을 떠난 [[알렉산더 케임브리지|남편]]과 아들이 묻혀있는 프로그모어에 안장되었다. == 가족 == === 조상 === ||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13> 올버니의 앨리스 공녀[br]{{{-2 (Princess Alice[br]of Albany)}}} ||<|6> [[레오폴드 조지 덩컨 앨버트|올버니 공작[br]레오폴드 왕자]][br]{{{-2 (Prince Leopold,[br]Duke of Albany)}}} ||<|3> [[앨버트 공|작센코부르크고타의 앨버트 공자]][br]{{{-2 (Prince Albert[br]of Saxe-Coburg and Gotha)}}} || || [[에른스트 1세|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에른스트 1세]][br]{{{-2 (Ernest I,[br]Duke of Saxe-Coburg and Gotha)}}} || || 작센고타알텐부르크의 루이즈 공녀[br]{{{-2 (Princess Louise[br]of Saxe-Gotha-Altenburg)}}} || ||<|3> [[빅토리아 여왕]][br]{{{-2 (Victoria)}}} || || [[에드워드 어거스터스|켄트와 스트래선 공작[br]에드워드 왕자]][* [[조지 3세]]의 4남이다.][br]{{{-2 (Prince Edward,[br]Duke of Kent and Strathearn)}}} || || [[마리 루이제 빅토리아|작센코부르크잘펠트의 빅토리아 공녀]][br]{{{-2 (Princess Victoria[br]of Saxe-Coburg and Saalfeld)}}} || ||<|7> [[헬레네 프리데리케 아우구스테|발데크피르몬트의 헬레네 공녀]][br]{{{-2 (Princess Helen[br]of Waldeck and Pyrmont)}}} || ||<|3> [[발데크피르몬트 후국|발데크피르몬트]] 공[br]게오르크 빅토어[br]{{{-2 (George Victor,[br]Prince of Waldeck and Pyrmont)}}} || || [[발데크피르몬트 후국|발데크피르몬트]] 공[br]게오르크 2세[br]{{{-2 (George II,[br]Prince of Waldeck and Pyrmont)}}} || || 안할트베른부르크샤움부르크호임의 엠마 공녀[br]{{{-2 (Princess Emma[br]of Anhalt-Bernburg-Schaumburg-Hoym)}}} || ||<|3> [[나사우]]의 헬레네 공녀[br]{{{-2 (Princess Helena[br]of Nassau)}}} || || [[나사우]] 공작[br]빌헬름[br]{{{-2 (William,[br]Duke of Nassau)}}} || || [[뷔르템베르크]]의[br]파울리네 공주[* [[프리드리히 1세(뷔르템베르크)|프리드리히 1세]]의 손녀이다.][br]{{{-2 (Princess Pauline[br]of Württemberg)}}} || === 자녀 === ||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 '''1녀''' || 레이디 메이 아벨 스미스[br]{{{-2 (Lady May Abel Smith)}}} || [[1906년]] [[1월 23일]] || [[1994년]] [[5월 29일]] || 헨리 아벨 스미스 경[br]슬하 1남 2녀 || || '''1남''' || 트레마톤 자작 루퍼트 케임브리지[br]{{{-2 (Rupert Cambridge, Viscount Trematon)}}} || [[1907년]] [[4월 24일]] || [[1928년]] [[4월 15일]] || || || '''2남''' || 테크의 모리스 공자[br]{{{-2 (Prince Maurice of Teck)}}} || [[1910년]] [[3월 29일]] || [[1910년]] [[9월 14일]] || || [[분류:1883년 출생]][[분류:1981년 사망]][[분류:색스코버그고타 가문]][[분류:영국의 공주]][[분류:윈저 가문]][[분류:테크 가문]][[분류:윈저 출신 인물]][[분류:프로그모어 안장자]][[분류:국가 지도자의 배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