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우크라이나의 축구선수]][[분류:1996년 출생]][[분류:2012년 데뷔]][[분류:FC 메탈리스트 하르키우/은퇴, 이적]][[분류:FC 디나모 트빌리시/은퇴, 이적]][[분류:FC 탐보프/은퇴, 이적]][[분류:FC 토르페도 모스크바/현역]][[분류:자포리자주 출신 인물]] ||<-2> [[파일:OleksandrKapliyenko.png|width=100%]] || ||<-2> '''{{{#fff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No. 25}}}''' || ||<-2> '''{{{#FFF 올렉산드르 막시모비치 카플리옌코[* 러시아식 이름은 알렉산드르 막시모비치 카플리옌코 (Алекса́ндр Макси́мович Каплие́нко)][br](Олександр Максимович Каплієнко)}}}''' || ||<|2> '''{{{#fff 출생}}}''' ||[[1996년]] [[3월 7일]] ([age(1996-10-14)]세) || ||[[자포리자주]] || || '''{{{#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우크라이나)] || || '''{{{#fff 신체 조건}}}''' ||179cm, 72kg || || '''{{{#fff 포지션}}}''' ||[[레프트백]] || || '''{{{#fff 주발}}}''' ||왼발 || || '''{{{#fff 유소년 클럽}}}''' ||[[FC 메탈루르흐 자포리자]] (2009~2012) || || '''{{{#fff 소속 클럽}}}''' ||[[FC 메탈루르흐 자포리자]] (2012~2016) [br] [[FC 메탈리스트 하르키우]] (2016) [br] [[알란야스포르]] (2016) [br] [[FC 체르노모레츠 오데사]] (2017) [br] [[FC 스몰레비치]] (2018) [br] [[FC 메탈루르흐 자포리자]] (2019) [br] [[FC 디나모 트빌리시]] (2019) [br] [[FC 탐보프]] (2020~2021) [br] [[FC 토르페도 모스크바]] (2021~) || || '''{{{#fff 국가 대표}}}'''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우크라이나 U-17]] (2012~2013) 5경기 [br]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우크라이나 U-18]] (2013~2014) 4경기 [br]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우크라이나 U-19]] (2014~2015) 4경기 [br]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우크라이나 U-20]] (2015~2016) 2경기 [br]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우크라이나 U-21]] (2016) 3경기 || [목차] [clearfix] == 개요 == 올렉산드르 카플리옌코는 [[FC 탐보프]]의 축구선수이다. == 선수 경력 == 자포로제 지역에서 축구를 시작해 메탈루르크 자포리자에서 데뷔를 해 2014년에는 체르노모레츠 오데사를 상대로 데뷔전을 치렀다. 데뷔 시즌에는 2경기를 뛰었다. 2014-15시즌에는 팀의 주전으로 도약하였다. 이후, 메탈루르크가 해체당하면서 자유계약 선수가 되었다. 이후 2016년 2월 17일에는 메탈리스트 하르키우로 이적하였다. 2019년 여름에는 조지아의 명문 클럽인 디나모 트빌리시로 이적하였다. 이후, 다른 선수들과 함께 팀의 리그 우승을 함께했다. 2020년 2월에는 [[FC 탐보프]]와 2년 6개월 계약을 맺었다. 다만 탐보프의 재정불안이 겹치면서 출전을 보이콧하고 있다. 결국 2021년 겨울이적시장에 상호 계약해지를 한 것으로 보인다. == 국가대표 경력 == 우크라이나 연령별 국가대표팀의 단계를 차곡차곡 밟아나갔다. == 수상 경력 == '''FC 디나모 트빌리시 소속''' * [[에로브눌리리가]] 우승: 2019 == 같이 보기 == [include(틀:FC 토르페도 모스크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