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蘊酒法. [[조선]] 후기 1700년대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작자 미상의 [[한글]] 요리책. 의성 김씨 대종가의 종손들이 소장하고 있었으며, 현재는 서울의 궁중음식연구원에 소재 중이다. == 내용 == 책의 권두서명은 "술법"이라고 하고 겉표지에는 온주법이라 적혀 있는데 이는 필사본 한글 고조리서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온주법의 온(蘊)은 간직한다는 뜻으로 [[술]]을 만드는 법을 모아놓은 책이라는 의미이다. 현재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의성 김씨 집성촌 청계공 종택에 소장되어 있다. 조리에 사용되는 조미료는 [[후추]], [[생강]], [[사탕]], [[천초]], [[겨자]] 등으로 [[고추]]는 사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책에 [[빙사과]]가 나오고 빙사과의 문헌 상의 첫 등장이 1789년이니, 온주법은 대략 1700년대에 편찬된 것으로 여겨진다. == 구성 == * [[술|주류]] 급주, 하절삼일주, 향감주, [[이화주]](3), 녹미주, 녹파주, 정향극렬주, 청명주, 감점주(3), 하향주, 정향주, 석향주, 구가주, 청명불면주, 황금주, 소국주, 열주, 신방주, 오호주, 감향주, [[사절주]], 방세주, 지주, 삼해주(2), 삼해주(2), 서왕모유옥 경장주, 지주, 지황주, 천문동주, 오가피주, [[소자주]], 구기자주, 창출주, 안명주, [[백자주]](3), 송엽주, 계당주, 백화주, 국화주, 연엽주(2), [[포도주]], 과하주, 과하절미주, 적선소주, 사미주, [[소주]] 많이 나는 법 * [[주식]] [[약밥]], 잣죽 * [[장]] 즙장, 잡장 * [[부식]]류 동아채, [[열구자탕]], 제육 장만하는 법, 제육새끼집, 늙은 [[쇠고기]] 삶기, 강선탕, 누치 먹는 법, 토란탕, 표고·진이탕, 메밀 줄기 김치 숙채 * 음청류 제호탕, [[수단(음료)|수단]] * 병과류 두텁단자, 전약법, 약과법, 연사과, [[강정]], 밤다식, 송화다식, 동아정과 * 조약법 신선 천문동 먹는 법, 창출환, 주자 독서환, 용안불로방, 총명탕, 사미주, 감창약, 창중약, 초학의 * 기타 생육회, 어육회, 건어육, [[두부]] 등 == 특징 == 온주법에 기록된 음식은 총 56항, 130종으로 그 중에서 주류가 44항, 57종으로 가장 많다. 이 외에도 술과 장을 담지 않는 날이 적혀 있으며, 뒤편에는 조약법(造藥法) 9항과 기타 염색, 의복 관리방법 등이 적혀 있다. [[안동]]지역 전통술은 [[수운잡방]] 59종, [[음식디미방]] 51종, 온주법 54종, 총 164종의 술이 기재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같은 이름의 음식이더라도 조리서에 따라 조금씩 다른 부분이 있는데 각 조리서 간의 편찬 연대 차이를 생각해 볼 때 시간이 지나며 조금씩 음식 만드는 법이 달라져왔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운잡방과 온주법에 나오는 송엽주의 경우, 수운잡방의 송엽주는 송엽을 물과 함께 넣어 끓여 졸인 후 [[쌀가루]]를 넣어 [[죽]]을 만들고 이어 누룩과 섞어 익힌 후 21일만에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온주법의 송엽주는 각 계절에 다른 방향에서 솔잎을 따서 가루를 만들어 술과 함께 섞어 마시도록 설명하고 있다. 즉 수운잡방은 송엽을 넣어 술을 익히는 방식이고 온주법은 술에 솔잎가루를 섞는 방식이다. 우리 나라 음식 조리법의 변화를 확인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앞으로의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분류:조선의 요리서]][[분류:의성 김씨]][[분류:개인 소장 문화재]][[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