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애틀랜타 호크스/선수단)]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오콩우22-23.png|width=100%]]}}} || ||<-2> '''애틀랜타 호크스 No. 17''' || ||<-2> '''{{{+2 온예카 오콩우 }}} [br] Onyeka Okongwu''' || ||<|2> '''출생''' ||[[2000년]] [[12월 11일]] ([age(2000-12-11)]세) || ||[[캘리포니아|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출신학교'''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 || '''신장''' ||203cm (6' 8") || || '''체중''' ||109kg (240 lbs) || || '''포지션''' ||[[파워 포워드]] / [[센터(농구)|센터]] || || '''드래프트''' ||'''[[NBA 드래프트/2020년도|2020 NBA 드래프트 1라운드 6순위]] [br] [[애틀랜타 호크스]] 지명''' || || '''소속 팀''' ||[[애틀랜타 호크스]] (2020~) || || '''등번호''' ||17번 - 애틀랜타 || || '''계약''' ||2020-21 ~ 2023-24 / $26,422,143 2024-25 ~ 2026-27 / $62,000,000|| || '''연봉''' ||2023-24 / $8,109,063 || || '''SNS'''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BigO21_, 크기=20)] | [[https://www.instagram.com/big0/|[[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온예카 오콩우는 [[미국]] 국적의 [[포워드(농구)|포워드]], [[센터(농구)|센터]]이다. == 유년기 == [[나이지리아]] 이민자 출신의 부모님에게서 태어난 오콩우는 [[캘리포니아]] 토박이로 자라며 농구를 시작했고 치노 힐스 고등학교에 입학했다. 이때 만난 사람들이 그 유명한 볼 삼형제. 그리고 알다시피 치노 힐스 고등학교는 캘리포니아 최강의 팀으로 거듭나며 오콩우 역시 캘리포니아 최강의 빅맨으로 거듭났다. == 선수 경력 == ===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 [[더마 드로잔]], [[니콜라 부세비치]] 등을 배출해낸 명문 학교 USC에 진학했다. 그리고 1학년 때부터 기대에 부흥하며 팀의 중심으로 자리잡았다. 데뷔전에서 20득점 13리바운드 8블록을 기록했다. 이후에도 계속해서 더블 더블 및 수많은 블록을 찍어대며 [[Pac-12]] 최고의 빅맨으로 등극했으나 코로나로 인해 Pac-12 토너먼트와 NCAA 토너먼트가 취소됐다. 1학년 성적이 16.2득점 8.6리바운드 2.7블록. 그리고 오콩우는 미련 없이 NBA 드래프트 참여를 선언했다. 이번 드래프트에서 수비에서는 오콩우를 따라올 빅맨은 없고, 계속해서 5~7순위로 언급되고 있다. 그러나 왼쪽 발 부상이 변수. === 클럽 경력 === ==== [[애틀랜타 호크스]] ==== || [[파일:온예카오콩우ATL.jpg|width=100%]] || || {{{#fff '''영입 오피셜'''}}} || 11월 19일 2020 NBA 드래프트에서 전체 6순위로 애틀랜타 호크스에 지명됐다. 드래프트 지명 당시 가족들에게 둘러싸여 눈물을 흘리는 모습을 보였다. 2+2년 26,422,143$ 루키 계약을 체결했다. 드래프트 때부터 있던 왼쪽 발 부상으로 팀에 합류하지 못하다 1월 16일에야 데뷔전을 가졌다. 14분 4득점 5리바운드라는 아쉬운 데뷔전을 가졌다. ===== 2021-22 시즌 ===== 21-22시즌 어깨부상으로 시즌 절반을 결장할 예정이다.. 부상 복귀 이후 공격력에서만큼은 리그 최고 수준의 폼을 보여주는 트레이 영의 투맨게임 앨리웁 파트너로 좋은 활약을 보여주고 있다. 리그의 트랜드에 맞는 기동성 좋은 빅맨이기에 좋은 활약이 기대된다. '''시즌 기록: 48경기 20.7분 출장, 야투 69.0% 3점 0% 자유투 72.7%, 8.2득점 5.7리바운드 1.1어시스트 0.6스틸 1.3블록 0.9턴오버, PER 19.8에 TS 71.4%, WS/48 .202, BPM 0.8에 VORP 0.7''' ===== 2022-23 시즌 ===== [youtube(7crYDhb_B1c)] [[클린트 카펠라]]의 부상으로 주전 센터로 기회를 받았다. 태생적인 스몰사이즈 빅맨이기에 7풋의 장신 빅맨들에게 오펜시브 리바운드를 헌납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줬다. 오콩우가 리그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뱀 아데바요]]처럼 핸드오프 옵션을 갖추거나 상대 빅맨을 끌어당길 수 있는 외각슛 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 '''시즌 기록: 80경기 23.1분 출장, 야투 63.8% 3점 30.8% 자유투 78.1%, 9.9득점 7.2리바운드 1.0어시스트 0.7스틸 1.3블록 1.0턴오버, PER 19.4에 TS 67.8%, WS/48 .185, BPM 0.8에 VORP 1.3''' ===== 2023-24 시즌 ===== == 플레이 스타일 == 운동 능력이 매우 좋고 [[뱀 아데바요]]와 비교될 만큼 골밑 수비에 아주 강한 모습을 보인다. 달리는 농구 또한 가능하고 현대 빅맨들이 갖춰야 할 미드레인지 슛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빅맨들이 그렇듯 자유투에서 약한 모습을 보여준다. 슛 또한 발전되곤 있지만 아직 강점이라고 내세울 수는 없다. == 여담 == 오콩우에게는 형이 있었는데 형 또한 치노 힐스 고등학교 농구부에서 활약했다. 하지만 2014년 스케이트보드 사고로 세상을 떠났다. 그 이후 오콩우는 형의 등번호 21번을 달고 뛰었다. 하지만 [[도미니크 윌킨스|애틀랜타 호크스의 21번]]은 이미 있어서 17번을 배정받았다. [각주] [[분류:미국의 농구 선수]][[분류:로스앤젤레스 출신 인물]][[분류:2000년 출생]][[분류:2020년 데뷔]][[분류:파워 포워드]][[분류:센터(농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