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노벨문학상 수상자)] ||<-3>
{{{+1 '''{{{#white Octavio Paz}}}'''}}}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Octavio Paz.png|width=100%]]}}} || ||<-3>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obel_Prize.png|width=30]]''' [[노벨문학상|{{{#white '''1990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 ||<-2> '''{{{#white 본명}}}''' ||'''옥타비오 파스 로사노''' (Octavio Paz Rozano)|| ||<-2> '''{{{#white 출생 }}}''' ||[[1914년]] [[3월 31일]], [[멕시코]] [[멕시코시티]]|| ||<-2> '''{{{#white 사망}}}''' ||[[1998년]] [[4월 19일]] (향년 84세), [[멕시코]] [[멕시코시티]]|| ||<-2> '''{{{#white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멕시코)]|| ||<-2> '''{{{#white 모국어 }}}''' ||[[스페인어]]|| ||<-2> '''{{{#white 직업 }}}''' ||시인, 작가, 외교관|| ||<-2> '''{{{#white 학력 }}}''' ||[[멕시코 국립자치대학교]] ^^(법학, 문학 / [[학사]])^^|| ||<-2> '''{{{#white 경력 }}}''' ||1962~1968 주인도 멕시코대사관 대사[* 밑의 그의 사상관을 보면 알겠지만 인도대사관 생활은 그의 불교적 시관에 영향을 준 요소로 보인다.] [br] 1970~1974 [[하버드 대학교]] 교수 [br] 1981 [[미겔 데 세르반테스|세르반테스]] 상 수상[* 스페인어권의 노벨상격.] [br] 1982 노이슈타트 국제 문학상 수상|| ||<-2> '''{{{#white 대표작 }}}''' ||''태양의 돌'' (''Piedra de sol'')-1957 외 다수|| ||<-2> '''{{{#white 사상 }}}''' ||[[초현실주의]], [[실존주의]]|| ||<-2> '''{{{#white 가족관계 }}}''' ||배우자 엘레나 가로(이혼), 마리 호세, 딸 헬레나 파스 가로|| ||<-2> '''{{{#white 종교 }}}''' ||[[가톨릭]]|| [목차] [clearfix] == 소개 == >(한국어 번역) >한 커다란 순간에 우리는 무너진다, 그리고 우리는 >우리의 뭉친 힘이 허물어지고 있는 것을 겨우 알아 낸다. >인간이란 결국 올 데 갈 데가 없다, 인간이란 결국 행복하다 >함께 [[빵]]을 나누고, [[태양]]을 나누고, [[죽음]]을 나누고, >살아 있다는 것을 잊고 살았던 우리의 삶에 대한 경악; > >(스페인어 원문) >por un instante inmenso y vislumbramos >nuestra unidad perdida, el desamparo >que es ser hombres, la gloria que es ser hombres >y compartir el [[빵|pan]], el [[태양|sol]], la [[죽음|muerte]], >el olvidado asombro de estar vivos; > >-[[태양의 돌]] (창비판(2013), 역자 민용태) [[멕시코]]의 시인으로, '''[[스페인어]]권 문학의 거성'''이자 멕시코의 국민 작가로 평가받는다. == 생애 == [[1914년]] [[멕시코]]의 가난한 가정에 태어났다. 파스의 가족은 [[1910년]] [[프란시스코 마데로]]가 일으킨 [[멕시코 혁명]](revolución Mexicana)으로 인해 파산했기 때문이다. 대략 [[라 쿠카라차]]로 대표되는 비극적인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파스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가톨릭계 학교와 멕시코대학에 진학하였다. 파스는 어린 시절부터 문인이었던 할아버지에게서 문학을 접했고, 이윽고 글쓰기에 몰두하여 19세의 나이에 첫 시집을 낼 정도로 왕성하게 활동하였다. 이후 파스는 1937년 법학 공부를 그만두고 [[스페인 내전|내전]]이 한창이던 스페인에 방문하여 '제2차 세계 문학가 회의'에 참석하여 파시즘 반대운동을 벌였다. 또 스페인에서 멕시코로 귀국하는 도중 그는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에 들러 그의 작품의 사상적 기반이 되는 [[초현실주의]]를 접했다. 동년에 파스는 엘레나 가로와 결혼했으나 20여년 뒤에 이혼한다. 1945년 파스는 파리에서 '고독의 미궁'을 썼는데, 이 작품이 이후 [[뉴욕 타임즈]]에 소개되어 명성을 얻게 된다. 이후 1946년 파스는 외교관이 되었고, 1960년대에 그는 주인도 대사로서 근무하며 [[인도]]의 많은 문인들을 만나, 동양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시풍을 완성시킨다. 또, 1965년 파스는 두 번째 아내 마리 호세와 재혼하여 이후 평생을 같이 살게 된다. 그러나 1968년 10월 [[멕시코]] 정부가 [[68혁명]]의 영향을 받은 민주화 운동 세력을 향해 무력을 행사하면서 [[틀라텔루코 학살|최소 30여명에서 최대 300여명에 이르는 학생과 시민을 학살한 사건]]이 일어나, 파스는 정부에 반기를 들고 대사직을 그만둔다. 이후 파스는 케임브리지를 비롯한 유수의 대학의 교수로서 강의하였다. 또 그는 이 시기 문학활동에 전념하여, 마침내 1990년 [[노벨문학상]] 수상의 영예를 거머쥐게 되었다. 1998년 그는 지병이었던 암으로 별세하였다. == 작품 == * 1933 ''Luna Silvestre'' (야생의 달) [* 처녀작] * 1937 ''Entre La Piedra Y La Flor'' (돌과 꽃 사이) [* 스페인 내전기에 반파시스트 운동을 하면서 지은 작품이다.] * 1950 ''El Laberinto De La Soledad'' (고독의 미궁-수필) * 1949 ''Libertad bajo palabra'' (가석방 상태의 자유) * 1951 ''Águila o sol?'' (독수리인가 태양인가) * 1956 ''La estación violenta'' (격렬한 계절) * 1957 ''' ''Piedra De Sol'' ''' ([[태양의 돌]]) [* 일장석이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다.][* 태양의 돌이란 고대 [[아즈텍]] 문명의 역법과 세계관을 나타낸 부조를 의미한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64353&cid=42635&categoryId=42635|링크 참조]].] * 1962 ''Salamandra'' (도룡뇽) * 1967 ''Blanco'' (하양) * 1969 ''Ladera este'' (동쪽 비탈길) * 1979 ''Hijos del aire/ Airborn'' (공기의 아들들) [* 영어로도 되어 있는 까닭은 이 작품이 영국 시인 찰스 톰린슨(1927-2015)과 함께 짓고 발표한 시집이기 때문이다. 두 시인은 이전에도 함께 시집을 낸 적이 있었다.] == 여담 == * 일본의 [[하이쿠]] 시인인 [[마츠오 바쇼]](1644~1694)를 매우 좋아해 [[1984년]] 아내 마리 호세와 같이 그의 암자를 방문하기도 하고, 바쇼의 하이쿠인 '오쿠로 가는 작은 길'의 스페인어 번역을 맡을 정도로 대단한 바쇼의 팬이었다고 한다. * 또 그는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의 영향을 받아 [[장자]] 사상에도 심취해 있었다고 한다. 그의 시 중에서 [[호접몽]]에 대해서 다룬 것까지 있을 정도이니 말다했다. [[분류:멕시코의 시인]][[분류:멕시코의 외교관]][[분류:멕시코 남성 작가]][[분류:노벨문학상 수상자]][[분류:1914년 출생]][[분류:1998년 사망]][[분류:멕시코시티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