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광주시의 행정동]] [include(틀:광주시의 읍면동)] ||<-2> '''[[광주시|{{{#000000,#dddddd 광주시}}}]]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오포2동}}}'''[br]五浦二洞 | Opo 2(i)-dong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광주시 || || '''행정표준코드''' || 5540312 || || '''관할 법정동''' || 매산동, 양벌동 || || '''하위 행정구역''' || 15통 99반 || || '''면적''' || 15.09㎢ || || '''인구''' || 34,000명[* 2023년 4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2,253.15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광주시 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임종성]] ,,(재선),, || ||<-2> '''경기도의원 | 제3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오창준 ,,(초선),, || ||<-2> '''광주시의원 | 다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최서윤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황소제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양벌로215번길 7[* 양벌동 371-2] || || [[https://www.gjcity.go.kr/csc/opo2/main.do?mId=0800000000&token=1681971770809|오포2동 행정복지센터]] || [목차][clearfix] == 개요 == [[경기도]] [[광주시]]의 법정동이자 행정동. == 특징 == [[2022년]] 9월, [[오포읍]]이 4개의 [[행정동]]으로 분리되었다. 양벌리와 매산리가 그대로 [[법정동]]으로 전환되었다. == 관할 법정동 == === 매산동 === ||<-2> '''[[광주시|{{{#000000,#dddddd 광주시}}}]]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매산동}}}'''[br]梅山洞 | Maesan-dong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광주시 || || '''행정표준코드''' || 4161011900 || || '''관할 행정동''' || 오포2동 || || '''면적''' || 7.29㎢ || 행정구역 통·폐합 시에 매곡리(梅谷里)[* [[조선시대]] 초기에 어느 지관이 이 곳을 지나다가 이 땅이 '매화낙지형'(梅花落地形)이라 하였다고 하여 이 마을을 '梅谷里'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독산리(獨山里)[* 이 마을 뒤편에 묘(墓)같이 생긴 산이 따로 떨어져 있다고 해서 이 마을을 '딴뫼'라 하고 한자로 '獨山洞'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것이다.], 외곡리(外谷里)[* 옛날에 이 마을에 백마산(白馬山)의 줄기기가 두 갈래로 갈라진 곳에 매곡동(梅谷洞)이 있고 그 밖에 이 마을이 위치하고 있다고 해서 '밧골'이라 하고 [[한자]]로는 '外谷洞'이라 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세 마을을 합하여'梅山里'라 부르게 되었다. [[https://www.gjcity.go.kr/portal/contents.do?mId=0101090000|출처]] 2021년 5월 기준 인구 7,323명. [[특수전학교]]가 위치해 있으며, 45번 국도를 통해 용인 처인구 모현읍과 연접하고 있다. [[난개발/경기도|산골짜기 안쪽으로 공장지대가 형성되어 있다.]] 인근의 [[모현읍]]에도 같은 이름의 매산리가 있지만, 모현 매산리는 문형동과 붙어있다. [clearfix] === 양벌동 === ||<-2> '''[[광주시|{{{#000000,#dddddd 광주시}}}]]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양벌동}}}'''[br]陽筏洞 | Yangbeol-dong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광주시 || || '''행정표준코드''' || 4161012000 || || '''관할 행정동''' || 오포2동 || || '''면적''' || 7.90㎢ || 행정구역을 통폐합할 때 양촌리(陽村里)[* [[조선시대]] 후기부터 이 마을에는 양(楊)씨 성을 가진 사람들이 집단으로 거주하였다고 하는데, 그리하여 마을이름을 '楊村'이라고 하다가 후일에 '陽村'으로 쓰게 되었다고 한다.], 벌리(筏里)[* 이 마을 앞에 넓은 농경지가 있어서 '벌촌(筏村)이라 부르게 되었다.], 둔전동(屯田洞)[* [[고려시대]]부터 지방에 주둔하고 있는 군대의 식량을 대기 위하여 군사들의 힘으로 농경지를 개척하는 밭을 '둔전'(屯田)이라 하는데 이 마을이 바로 그러한 마을이었다. 따라서 이름을 '둔전말'이라 부르게 되었다.] 세 자연부락을 묶어 '양벌리'(陽筏里)라고 했던 것이다. [[https://www.gjcity.go.kr/portal/contents.do?mId=0101090000|출처]] [[2021년]] 5월 기준 인구 27,409명. 오포읍에서 인구가 두 번째로 많은 지역으로, [[장지동]]과 [[역동]]에 인접해 있는 동네이다. 광주 시민 체육관과 [[롯데칠성음료]] 공장이 위치해 있다. 공장 북쪽의 양벌초등학교 인근, 남쪽의 매양중학교 인근 상권으로 나뉘어 있다. 양벌도서관이 2021년 12월 개관했으며 로컬푸드 복합센터, 실내 수영장 및 물놀이 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라고 한다. [clearfix] == 교통 == === [[철도]] === * 광주시내(경안동) 쪽으로 가는 시내버스들을 이용해 [[수도권 전철 경강선|[[파일:GyeonggangLine_icon.svg|width=20]]]] [[경기광주역]]을 오갈 수 있다. === 버스 === '''[[KD 운송그룹]]의 사실상 [[독점]] 구역이다.''' 동네마다 경유하는 버스는 다르지만, 광주 시내는 물론 서울[* 광역버스는 물론 일반버스(!!)노선도 존재한다]과 성남, 분당, 수원, 용인 등 다양한 행선지가 있어 버스로 이동할 수 있는 지역은 매우 다양한 편이다. * '''[[직행좌석버스]]''' || {{{#fff 노선번호}}} || {{{#fff 기점}}} || {{{#fff 주요 경유지}}} || {{{#fff 종점}}} || {{{#fff 버스회사}}} || {{{#fff 배차간격(분)}}} || {{{#fff 비고}}} || || [[용인 버스 1005|1005]] || 한국외대 || 양벌동ㆍ태전동ㆍ삼동ㆍ갈현동ㆍ야탑역ㆍ판교역ㆍ경부고속도로 || 강남역 || 30~50 || [[경기고속]] ||<|3> [[용인시]] 면허 || || [[용인 버스 1113|1113]] || 에버랜드 || 외대사거리ㆍ양벌동ㆍ경기광주역ㆍ광주시청ㆍ중부고속도로ㆍ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ㆍ천호역 || 강변역 || 30~40 || [[대원고속]] || || [[용인 버스 1117|1117]] || 한국외대 || 양벌동ㆍ장지동ㆍ삼동ㆍ모란역ㆍ복정역ㆍ잠실역 || 강변역 || 15~30 || [[대원고속]] || || [[경기광주 버스 G3202|G3202]] || 광주터미널 || 경기광주역ㆍ양벌동ㆍ태전지구ㆍ도곡역ㆍ한티역ㆍ선릉역 || 삼성역 || 20~30 || [[경기고속]] || || * '''[[시내버스|일반시내버스]]''' || {{{#fff 노선번호}}} || {{{#fff 기점}}} || {{{#fff 주요 경유지}}} || {{{#fff 종점}}} || {{{#fff 버스회사}}} || {{{#fff 배차간격(분)}}} || {{{#fff 비고}}} || || [[경기광주 버스 17-1|17-1]] || 송정동 || 경기광주역ㆍ양벌동ㆍ문형동ㆍ신현동ㆍ야탑역ㆍ모란역ㆍ단대오거리역 || 금광동 || 30~120 || [[경기고속]] || || [[경기광주 버스 17-1|17-1A]] || 송정동 || 경기광주역ㆍ양벌동ㆍ봉골ㆍ신현동ㆍ야탑역ㆍ모란역ㆍ단대오거리역 || 금광동 || 80~125 || [[경기고속]] || || || [[경기광주 버스 17-3|17-3]] || 송정동 || 광주시청ㆍ광주터미널ㆍ경기광주역ㆍ양벌동ㆍ광남동ㆍ추자동 || 봉골종점 || 1일 4회 || [[경기고속]] || || || [[경기광주 버스 2-1|2-1]] || 지월리 || 경화여고ㆍ경안동주민센터ㆍ경기광주역ㆍ장지사거리ㆍ양벌동 || 양벌대주1차A || 10~30 || [[경기고속]] || || || [[용인 버스 20|20]] || 안터입구 || 용인터미널ㆍ유림동ㆍ둔전역ㆍ포곡읍행정복지센터ㆍ초부리ㆍ외대사거리ㆍ매산동ㆍ양벌동ㆍ경기광주역ㆍ역동사거리 || 경안동 || 12~16 || [[경남여객]] || [[용인시]] 면허 || || [[경기광주 버스 34-1|34-1]] || 송정동 || 경안동ㆍ경기광주역ㆍ매산동공원묘지 || 광주공원 || 1일 8회 || [[경기고속]], [[대원고속]] || || || [[경기광주 버스 34-12|34-12]] || 송정동 || 경안동ㆍ경기광주역ㆍ광남중ㆍ고산동ㆍ오포1동행정복지센터ㆍ매산동공원묘지 || 광주공원 || 1일 4회 || [[경기고속]], [[대원고속]] || || || [[경기광주 버스 34-13|34-13]] || 광주공원 || 매산동공원묘지ㆍ광남중ㆍ경안중ㆍ경기광주역ㆍ경안동 || 송정동 || 1일 1회 || [[대원고속]] || || [[경기광주 버스 34-16|34-16]] || 송정동 || 경안동(→ 경기광주역 → 경안중/← 광주경찰서 ← 광남중)ㆍ매산동공원묘지 || 광주공원 || 1일 1회 || [[경기고속]], [[대원고속]] || || [[경기광주 버스 60|60]] || 송정동 || 광주터미널ㆍ경기광주역ㆍ양벌동ㆍ매산동ㆍ외대사거리ㆍ문형동ㆍ오리역ㆍ죽전동ㆍ성복역ㆍ경기대후문ㆍ창룡문ㆍ장안문ㆍ경인지방병무청 || 수원역 || 30~60 || [[대원고속]] || * '''[[마을버스]]''' || {{{#fff 노선번호}}} || {{{#fff 기점}}} || {{{#fff 주요 경유지}}} || {{{#fff 종점}}} || {{{#fff 버스회사}}} || {{{#fff 배차간격(분)}}} || || [[경기광주 버스 광주1|광주1]] || 양벌어린이공원 || 매양중학교ㆍ양벌동ㆍ경기광주역ㆍ금호리첸시아 || 광주터미널 || [[광주도시관리공사]] || 40 || || [[경기광주 버스 광주14|광주14]] || 장지차량등록사업소 || 태전지구ㆍ추자동ㆍ대주2차아파트 || 매산1통 || [[광주도시관리공사]] || 1일 7회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오포읍, version=282, paragraph=8.3, title2=오포읍, version2=282, paragraph2=8.4, title3=오포읍, version3=300, paragraph3=3.2,)]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