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펠|[[파일:1970 오펠 로고.png|width=20%]]]]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972 오펠 디플로마트.png|width=100%]]}}} || || {{{#000 '''2세대 후기형 차량'''}}} || || {{{#fff '''Diplomat'''}}} || [목차] '''Opel Diplomat''' == 개요 == [[독일]]의 자동차 제조사이자 [[스텔란티스]] 산하의 [[오펠]] 브랜드에서 생산했던 고급 승용차이다. == 상세 == === 1세대(디플로마트 A, 1964~1968) === || [[파일:오펠 디플로마트 A.png|width=100%]] || || {{{#fff '''오펠 디플로매트 A'''}}} || [[1964년]] 2월에 출시되었으며, [[1938년]]과 [[1937년]]에 등장한 [[오펠 아드미랄]] 및 [[오펠 카피텐]]과 함께 대형차 라인업을 이끌었고[* 흔히 'KAD'라는 이름으로 불리곤 했다.] 이들 모두 동일 차량의 [[배지 엔지니어링]] 사양이기도 했다. [[1959년]]에 출시되어 [[1963년]]까지 판매된 [[오펠 카피텐|카피텐 P-LV]]의 후속 차종이었다. 약 200인치 가까운 크기로 커진 탓에 이전 차량들보다 더 큰 편이며, 이 때문인지 판매량은 좋지 못했다고 한다. || [[파일:오펠 디플로마트 쿠페.png|width=100%]] || || {{{#fff '''오펠 디플로매트 A 쿠페'''}}} || [[1965년]]부터 [[1967년]]까지 쿠페 사양이 존재했으며, 가격은 25,500마르크[* 현재 가치로 환산 시 약 5,384만원이었다.]였고 코치빌더인 카르만 사에서 제작했으며 총 347대가 만들어졌다. [[1967년]] 9월에 측면 럽 스트립 개선, [[ZF]] 사에서 설계한 재순환 볼 스티어링, 열선 내장 후면 윈도우가 적용된 연식변경이 이루어졌다. [[파워트레인]]으로는 99마력의 2.6L OHV I6 엔진, 123마력의 2.8L CIH형 I6 엔진이 탑재되었다. 이외에도 187마력의 4.6L [[쉐보레]] V8 엔진이 초반에 탑재되다가 [[1966년]] 10월부터 227마력의 5.4L [[쉐보레]] V8 엔진 사양이 세단 한정으로 추가되었다. 이와 함께 파워글라이드 2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되었다. [[1967년]] 연식변경 이후에는 138마력의 고성능 2.8L I6 엔진이 추가되기도 했다. 전장은 4,948mm, 전폭은 1,902mm, 전고는 1,445mm, 휠베이스는 2,845mm, 공차중량은 1,380kg~1,630kg이었다. 1세대 차량은 총 9,152대가 판매되었으며, KAD 라인업 중 카피텐은 24,249대, 아드미랄은 55,876대를 판매했다. 이는 145,618대를 판매한 이전 세대 차량인 카피텐 P-LV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였다. === 2세대(디플로마트 B, 1969~1977) === || [[파일:오펠 디플로마트 B.png|width=100%]] || || {{{#fff '''오펠 디플로매트 B'''}}} || [[1969년]] 3월에 출시되었으며, 새로운 차체, 더 정교해진 플랫폼 및 후륜 드 디온 차축이 탑재되었다. 이전 세대 차량들의 저조한 판매량을 감안했는지, 차량의 크기는 작아진 편이었다. 차량의 디자인은 [[제너럴 모터스]]제 차량에 가깝게 설계되었고, [[홀덴 브로엄]]과 유사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다. 경쟁차량으로는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벤츠의 W116형 350 사양 및 450 SE]]를 삼았으며, 심지어는 [[1973년]] 5월에 SEL 사양을 따라잡겠답시고 롱휠베이스(LWB) V8 사양까지 추가하였다. [[파워트레인]]으로는 아랫급 사양이던 [[오펠 아드미랄]]과 [[오펠 카피텐]]에도 탑재된 2.8L CIH형 I6 엔진은 그대로 탑재되었으나, 디플로마트 E라는 연료 분사 방식 사양도 존재했다.또한 5,4L 54S형 [[쉐보레]] V8 엔진도 탑재되어 터보-하이드라매틱 3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되었다.[* 이외 I6 사양에는 4단 [[수동변속기]]와 3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되었다.] [[1971년]] 10월 기준 탑재된 장비로는 H1 할로겐 헤드램프, 앞 유리 통합형 라디오 안테나, 원격 제어 방식의 후면 미러가 적용되었다. [[1972년]] 4월부터는 디플로마트 E에 탑재된 4단 [[수동변속기]]가 단종되었고 같은 해 9월에 [[오펠]] 스크립트가 왼쪽에서 중앙으로 옮겨진 그릴 개선 사양이 출시되었다. 이 시기에 나온 일부 [[오펠 아드미랄]] 차량에 '디플로마트'의 레터링이 붙었다는 일화가 존재하기도 한다.[* 이건 현재도 차량 구매자들에게 혼동을 줄 수 있는 것이고 TV 시리즈에서도 혼동이 있었다는 설도 있으나 디플로마트는 수직형 헤드램프가, 아드미랄은 수평형 헤드램프로 구별이 가능했다.] [[1977년]]까지 생산하긴 했으나 1세대처럼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는데, 8년간 KAD 차량들은 61,559대 정도밖에 생산되지 않았다고 한다. 이 중 디플로마트가 23,500대, 아드미랄이 33,000대, 카피텐이 4,976대만 생산되었고, 이들 모두 [[1978년]]에 더 작아지고 유럽적인 스타일을 갖춘 [[오펠 제나토어]]에 통합되는 형태로 단종되었다. || [[파일:비터 CD.png|width=100%]] || || {{{#000 '''이 차를 기반으로 한 비터 CD'''}}} || 여담으로 [[제너럴 모터스]] 측에서는 이 차를 기반으로 한 1세대 [[캐딜락 스빌]]의 개발을 계획하기는 했었으나, 패널 간 간극 차이가 거의 정확한 탓에 북미 공장에서의 판금 주조 및 용접 공장의 설비들을 광범위하게 바꾸지 않고서는 개발이 불가능하다 판단해 무산되었다고 한다. 대신 비터 CD의 기술적 기반이 되기도 했는데 광범위한 섀시, 파워트레인, 기계 장치 및 대시보드 등이 활용되었다. 하지만, [[1980년대]]가 되면서 [[오펠]]에서 차량의 부품을 수급받지 못했기 때문에 생산을 중단해야 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오펠의 차량)] [[분류:오펠/생산차량]][[분류:1964년 출시]][[분류:1977년 단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