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의 기술 == [[파일:LPS-L530B.jpg]] ▲ 오토리버스를 지원하는 [[LG전자|LG]] LPS-L530B 과거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가 유행할 때 등장한 기술로, [[카세트 테이프]]의 양쪽 면 중 A 면의 내용 데이터가 다 재생되면 자동으로 B 면의 내용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술이다. [[카세트 테이프]]는 안의 자기 테이프를 절반씩 나눠서 데이터를 기록하고 재생하는데, 오토리버스 기능이 없으면 A 면의 내용 데이터가 다 재생된 후 테이프를 꺼내 B 면으로 뒤집어 플레이어에 넣는 번거로움을 거쳐야 한다. 이런 번거로운 일을 할 필요가 없는 오토리버스는 당시 혁신적인 기술이었다. 오토리버스가 이토록 편리하다보니 당연히 오토리버스가 있고 없고에 따라 카세트 플레이어의 가격도 달라질 수 밖에 없었고, 오토리버스를 지원하면 고급 기종으로 취급되었다. [[파일:WM-7.jpg]] ▲ 세계 최초로 오토리버스 기능을 채택한 [[소니]] WM-7 참고로 이 기술은 [[일본]] 개그맨 [[게키단 히토리]]의 할아버지가 발명한 특허 기술이라고 한다. 그러나 [[게키단 히토리]]의 할아버지는 이 특허 기술을 당시 [[소니]] 사장인 [[모리타 아키오]]에게 공짜로 줘버렸다고 한다. === 작동 방식 === 작동 방식을 설명하려면 우선 카세트 테이프 데크의 구조와 작동 원리를 알아야 한다. 카세트 테이프 데크의 구조는 우선 까만색의 카세트 테이프를 감는 두 개의 구동축이 있다. 카세트 테이프에 하얀색의 이빨이 있는 부분에 맞물리는 부분이다. 오토리버스 모델은 이 구동축에 두 개의 모터가 달려 있다. 재생 전용 또는 녹음/재생 및 소거 헤드가 달린 기록/재생부를 보면 재생 전용 데크에는 재생 전용 헤드가 있고, 녹음/재생 겸용은 소거 헤드와 녹음/재생 겸용의 헤드가 있다. 재생할 때는 자기 테이프를 마찰시켜서 자기 테이프 속 수많은 전자석들을 읽어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녹음 시엔 소거 헤드가 기록을 지우고 흩어놓은 자기 테이프의 전자석들을 전기 신호로 다시 배열한다. 기록/재생부는 카세트 테이프를 플레이하면 위로 올라와 자기 테이프에 밀착하고 재생이 끝나면 내려간다. 기록/재생부를 보면 까만색의 작은 롤러 둘이 헤드 양 옆에 있는데 이 녀석들은 핀치 롤러이며, 구동축이 있는 부분의 바로 아래에 작고 가는 쇠막대 캡스턴과 맞물려 테이프를 이동시킨다. 오토리버스의 작동 방식은 한 쪽면을 감던 구동축이 테이프가 다 감겨 더 이상 테이프를 감을 수 없게 되면 3초 정도 대기한다. 이 때 제어부에 신호가 전달되면 제어부에서 명령을 내려 테이프를 감던 구동축의 모터를 멈추고 동시에 위로 올라와 자기 테이프와 밀착하던 기록/재생부가 밑으로 내려가서 재생 전용 또는 녹음/재생 헤드가 180도 회전 후 기록/재생부가 다시 위로 올라온다. 그리고 테이프를 감지 않던 구동축의 모터를 돌린다. 이렇게해서 반대쪽 기록면의 데이터를 읽거나 데이터를 기록한다. == [[싸이]]의 8집 [[4X2=8]]의 10번 트랙의 노래 == [youtube(HQGFsc5MBTI)] ||(잊는다 하고 무슨 이유로 눈물이 날까요) [Hook: 타블로] [[mymy|마이 마이]] [[워크맨(음향기기)|워크맨]] [[카세트 테이프|카세트 공테이프]]에 앞뒷면으로 빼곡히 너를 위한 노래 학교가는 버스에서 오토리버스 잊혀지고 버려지는 것들 Just like us [Hook: 싸이] 마이 마이 워크맨 카세트 공테이프에 앞뒷면으로 빼곡히 너를 위한 노래 학교가는 버스에서 오토리버스 잊혀지고 버려지는 것들 Just like us [Verse 1: 싸이] 기억을 거슬러 보면 그래 산다는 건 담배연기처럼 들이마셨다가 내뿜어 하늘과 땅을 오갔었던 두근거림이 익숙함으로 변할 때쯤 감정은 시들어 휘발되어가는 삶과 세상은 빨라도 너무 빨라 그래 구닥다리야 나는 잊혀진다 헌신하다 헌신짝처럼 뜨거웠던 연탄재처럼 추억을 거슬러보면 우리네 삶이란 건 한 폭의 수채화처럼 번지고 얼룩져 좋은 기억 따위로 좋은 추억 따위로 남겨지기 위해 전부를 던진 건 아니었어 생을 살듯 하루를 살았다 그 찰나의 시간을 평생처럼 살았다 때로는 마음이 찢어질 듯이 아파도 나를 닮은 아픔이라서 품에 안았다 (눈물이 날까요) [Hook: 타블로] 마이 마이 워크맨 카세트 공테이프에 앞뒷면으로 빼곡히 너를 위한 노래 학교가는 버스에서 오토리버스 잊혀지고 버려지는 것들 Just like us [Hook: 싸이] 마이 마이 워크맨 카세트 공테이프에 앞뒷면으로 빼곡히 너를 위한 노래 학교가는 버스에서 오토리버스 잊혀지고 버려지는 것들 Just like us [Verse 2: 타블로] 새벽이 오면 함께 찾아오는 허기 늘 속이 허전해 어쩌면 배와는 상관없지 Whatever 피도 살도 안되는 의미 부여 일단 채울 수 있는 것부터 라면 끓여 TV 앞 조촐한 식탁이 되어버린 옛 교재들 눈앞엔 최신작 못 본 영화들 툭하면 천만 넘는 것 같네 나와 대화 안 통할 사람 천만 명인 거야 Damn 면은 불고 리모컨만 만지작 결국 몇 번 봤던 옛 영화를 틀고 다시 봐 며칠 전 친한 형이 했던 말 "듣던 것만 듣고 보던 것만 보면 늙은 거야" 쉿 내 헤드폰엔 여전히 [[Illmatic]] 아님 [[유재하]] [[사랑하기 때문에|1집]] 다신 듣고 볼 수 없는 게 너무나 많아서 시린 가슴 주변에 늘 과거를 두르네 자꾸 왜 (눈물이 날까요) [Hook: 타블로] 마이 마이 워크맨 카세트 공테이프에 앞뒷면으로 빼곡히 너를 위한 노래 학교가는 버스에서 오토리버스 잊혀지고 버려지는 것들 Just like us [Hook: 싸이] 마이 마이 워크맨 카세트 공테이프에 앞뒷면으로 빼곡히 너를 위한 노래 학교가는 버스에서 오토리버스 잊혀지고 버려지는 것들 Just like us [Ending: 싸이] 매일 이별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멜로디 잊고 잊혀지고 추억을 뒤로하고 새것만 찾는 우리 이야기 버리고 버려지고 세상을 적시고 말라버리는 여름날의 소나기처럼 우린 늘 그래 미친 듯이 죽을 듯이 그러다가 언제 그랬냐는 듯이 오토리버스|| [[싸이]]의 정규 8집 [[4X2=8]]의 숨은 명곡으로, [[타블로]]가 피쳐링한 곡이다. 이제는 찾아보기 힘든 [[카세트 테이프]]를 매개체로 해 80~90년대에 대한 회상을 풀어낸 곡으로 [[B.I]]가 작사에 참여했는데, 오토리버스가 무엇인지 몰라서[* [[B.I]]가 어릴 때는 휴대용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는 사양길을 걷고 거의 다 [[MP3 플레이어]]로 대체되던 시기였다.] [[http://sports.chosun.com/news/news.htm?id=201705080100048550003451&ServiceDate=20170507|애먹었다고 한다.]] [[1993년]]에 출시된 [[이정옥(가수)|이정옥]]의 "숨어우는 바람소리"를 [[샘플링]]했다. 참고로 [[이정옥(가수)|이정옥]]의 "숨어우는 바람소리"는 제7회 [[MBC 신인가요제]]에서 대상을 수상한 곡이다. 가사에서 [[mymy|특정]] [[워크맨(음향기기)|브랜드]]가 반복 언급되었다는 이유로 [[한국방송공사|KBS]]에서 방송 부적격 판정을 받았으나, [[KBS 제2라디오|KBS 해피FM]] "[[양파의 음악정원]]" [[2019년]] [[3월 18일]] 방송에서 이 노래가 선곡되어 금지가 해제된 것으로 보인다. 데모 버전 제목은 "코스모스에게"였고, [[B.I]]는 [[싸이]] 벌스 일부와 아웃트로에 참여하였다. == [[유희왕 러시 듀얼]]의 카드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오토리버스(유희왕))] [[분류:기술]][[분류:노래]][[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