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879년 출생]][[분류:1940년 사망]][[분류:제1차 세계 대전/군인]][[분류:제2차 세계 대전/군인]][[분류: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군/군인]][[분류:친위대(나치 독일)/인물]] [include(틀:역대 국제형사경찰기구 총재)]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0101 0%, #CC0000 20%, #CC0000 80%, #B70101)" '''{{{#white 국제형사경찰기구 제5대 총재[br]슈츠슈타펠 상급지도자[br]{{{+2 오토 슈타인호이슬}}}[br]Otto Steinhäusl}}}'''}}}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오토 슈타인하우슬.jpg|width=100%]]}}} || ||<-2><:>'''본명'''||오토 슈타인호이슬[br]Otto Steinhäusl || ||<-2><:><|2>'''출생''' ||<(> [[1879년]] [[3월 10일]] || ||<(>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width=28]]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2><:><|2>'''사망''' ||<(> [[1940년]] [[6월 20일]] || ||<(>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width=28]] [[나치 독일]] [[오스트마르크]] [[빈(오스트리아)|빈]] || ||<-2><:>'''정당'''||[[오스트리아 국가사회주의 노동자당]] || ||<-2><:>'''복무'''||[[슈츠슈타펠]] (1930년 ~ 1940년) || ||<-2><:>'''최종계급'''||[[슈츠슈타펠]] 상급지도자 || ||<-2><:>'''주요 서훈'''||안슐루스 메달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슈타인하우슬.jpg|width=100%]] || || [[슈츠슈타펠|SS]][[상급대령]] 오토 슈타인호이슬 || [[슈츠슈타펠]] 상급지도자 및 국제형사기구의 5대 총재를 역임했다. == 초기 행적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태어난 슈타인호이슬은 [[1930년]] 초기에 빈의 경찰국장이 되었다. 당시 오스트리아 지하조직이던 [[오스트리아 나치당]]의 [[슈츠슈타펠|친위대]]에 입대했다. 또 독일 프로이센 주의 비밀경찰 [[게슈타포]]의 대리직도 맡았고 [[1933년]] [[7월]]에는 [[오토 슈트라서]]를 유괴해 형무소에 넣은 후 독일로 보낼 계획을 추진했지만 실패했다. 나치당원에 의한 [[엥겔베르트 돌푸스]] 암살의 여파로 슈타인호이슬은 단체조직의 혐의로 투옥되기도 했다. == [[인터폴]]의 총재 == [[오스트리아 합병|오스트리아가 합병]]된 후 친위대 국가지도자인 [[하인리히 힘러]]는 오스트리아에 있던 국가형사경찰 위원회([[인터폴]])의 총재인 미하엘 스크블 박사를 추방하고 슈타인호이슬을 석방시켜 그를 빈의 경찰국장에 앉히는 동시에 친위대 대령계급을 주어 [[1938년]] [[4월]]에 [[인터폴]]의 총재직에 취임시켰다. 이 때 인터폴의 회합에서 이후 인터폴의 모임은 [[베를린]]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결정했다. == 최후 == 당시 슈타인호이슬은 [[결핵]]을 앓고 있었다. 결국 [[1940년]] [[6월 20일]]에 결핵에 의한 합병증으로 61세로 사망했는데 인터폴 총재의 자리는 국가보안본부장이던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에게 승계되어 인터폴의 본부도 [[베를린]]으로 옮겨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