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의 이동통신사)] ||<-2> {{{+3 '''오키나와 셀룰러'''}}}[br]{{{+1 '''沖縄セルラー | Okinawa Cellular''' }}} || ||<-2> [[파일:오키나와 셀룰러 전화 로고.svg|width=60%]][br]{{{-3 기본 }}} || ||<-2> [[파일:오키나와 셀룰러 전화 로고 슬로건 포함.svg|width=60%]][br]{{{-3 슬로건 포함 }}} || || '''기업명''' ||오키나와 셀룰러 전화 주식회사[br]沖縄セルラー電話株式会社^^{{{-1 ([[일본어]])}}}^^[br]Okinawa Cellular Telephone Company^^{{{-1 ([[영어]])}}}^^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 || '''형태''' ||주식회사, 공개회사 || || '''업종''' ||정보통신업 || || '''사업''' ||전기통신사업 || || '''창립일''' ||[[1991년]] [[6월 1일]] || || '''핵심 인물''' ||스가 타카시^^{{{-1 (대표이사 사장)}}}^^ || || '''기업 규모''' ||[[대기업]] || || '''모기업''' ||[[KDDI|[[파일:KDDI 로고.svg|height=20px]]]] || ||<|2> '''본사''' ||[[오키나와현]] [[나하시]] 마쓰야마 1초메 2-1번지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沖縄セルラー電話, 너비=100%, 높이=100)]}}} || || '''서비스[br]이동통신''' ||--2세대: [[PDC]][* 2003년 3월 31일 서비스 종료], [[cdmaOne]][*2 2022년 3월 31일 서비스 종료][br]3세대: [[CDMA2000]][*2 2022년 3월 31일 서비스 종료]--[br]4세대: [[LTE|LTE-FDD]], [[Mobile WiMAX]][br]5세대: [[NR]] || ||<|2> '''링크''' ||[[https://okinawa-cellular.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s://www.okinawa-cellular-biz.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Biz]] [[https://okinawa-cellular.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채용]] || ||[[https://www.facebook.com/au.okinaw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px]]]] [[https://www.instagram.com/okinawa_au/|[[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px]]]]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okinawa_au, 크기=20px)] [[https://page.line.me/auokinawa|[[파일:라인 아이콘.svg|width=20px]]]] [[https://www.youtube.com/channel/UCWrrUjZgYglKX03c4izh3k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px]]]] || ||<-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기업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or: #ddd" || '''증권코드''' ||[[도쿄증권거래소|TYO]] : [[https://finance.yahoo.com/quote/9436.T|9436]] || || '''시가총액''' ||1조 4,084억원 ^^(2022년 6월 3일 기준)^^ || || '''매출''' ||6,805억 1000만원 ^^(2020년 3월 기준)^^ || || '''영업이익''' ||1,396억 6000만원 ^^(2020년 3월 기준)^^ || || '''순이익''' ||1,019억 6000만원 ^^(2020년 3월 기준)^^ || || '''자산총액''' ||1조 567억 3000만원 ^^(2020년 3월 기준)^^ || || '''자본금''' ||141억 4,581만원 ^^(2022년 기준)^^ || || '''종업원 수''' ||374명 ^^(2020년 3월 기준)^^ || }}}}}}}}} || [목차] >'''[ruby(Our Challenge\, Timeless, ruby=Our Mind\, Timeless)]''' >---- >30주년 기념 브랜드 슬로건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Imy9Rg5m8Y)]}}}|| || {{{#ffffff '''오키나와를 위해 5G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2023편''' }}} || [clearfix] == 개요 == 오키나와 셀룰러 전화는 [[KDDI]] 계열 지역 이동통신 사업자로 오키나와 내에서 통신사업을 전재하고 있다. 메인 브랜드는 au, 서브 브랜드는 [[UQ모바일]], povo 이며 약칭은 OCT, 통칭은 au 오키나와 셀룰러 또는 au 오키나와 이다. 2021년 이동통신기준, 가입자 73만명을 소유 및 점유율 50% 초과하여 꾸준히 [[오키나와]]내에서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2022년 4월 1일에 오키나와에서 [[Y!모바일]] 브랜드로 사업전개하던 경쟁사 [[Y!모바일|윌컴 오키나와]]가 모기업 [[소프트뱅크]]에 흡수합병되어 소멸됨에 따라 일본내에서 최후의 지역이동통신사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 사업 == === 이동통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KDDI, 앵커=이동통신)] === FTTH === 2010년 1월에 오키나와의 지역통신사인 오키나와 통신 네트워크을 인수함에 따라 동년 3월 14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한 [[FTTH]] 서비스로 au 히카리 추라(auひかり ちゅら) 브랜드로 사업을 전개중이다. === [[UQ 모바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UQ 모바일)] === povo === [[https://povo.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px]]povo 홈페이지]] [[NTT도코모]]의 ahamo, [[소프트뱅크]]의 [[LINEMO]]를 대항하기 위해 모기업 [[KDDI]]가 만든 온라인 전용 MVNO로 오키나와내에서는 오키나와 셀룰러 전화가 대행하고 있다. == 계열사 == 아래의 계열사와 같이 오키나와 셀룰러 그룹으로 형성하고 있다. === 현존 === * [[https://www.otnet.co.jp/|오키나와 통신 네트워크]] * [[https://marche.okinawaclip.com/|오키나와 셀룰러 아그리 & 마르쉐]] * [[http://7369.jp/|어뮤즈먼트 드림]] === 이전 === * UQ 모바일 오키나와 == 기타 == * 2010년 4월에 [[오키나와 셀룰러 스타디움 나하]]의 시설 명명권을 취득하여 현재까지 소유하고 있다. [[분류:KDDI]][[분류:인터넷 서비스 제공사업자]][[분류:일본의 통신회사]][[분류:1991년 기업]][[분류:오키나와현]]